DOI QR코드

DOI QR Code

'우리 몸' 단원에 대한 증강현실 교육콘텐츠의 제작과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Objects on the Unit of 'Our Body' on Augmented Reality

  • 투고 : 2017.10.09
  • 심사 : 2017.10.31
  • 발행 : 2017.11.30

초록

Because the lessons of 'our body' are based on indirect experiences and simple experiments, various methods are needed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In this study, seventeen AR contents were created to be used in five subjects in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The learning contents implementation were made using QCAR (QualComm's Augmented Reality) and Unity 3D (Unity 3D) program, which are augmented reality software development kits (SDKs). In order to find out the applicability, we applied the developed contents to one grade 5 classroom equipped with internet environment.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ir perception of the program and interviewed. As a result, the developed AR learning contents appeared to be available. It was expected to help improve learning and was pointed out that improvement of internet condition and development, also, was needed expansion of various contents should be complem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계보경, 김영수 (2008).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4(4), 193-224.
  2. 고윤호 (2004). 증강현실 기술과 미래. 산업기술연구논문집, 19(1), 87-95.
  3. 교육부 (2011). 5-6학년군 과학 5-2 교과서. 서울.
  4. 구민재 (2009).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학습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사회교과 내용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권정아, 신동훈 (2015). 과학사를 활용한 '우리 몸' 단원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과학 태도,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4(3), 325-337.
  6. 김경현 (2009). 증강현실 콘텐츠 활용수업의 효과성 분석 -초등학교 영어과목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3(3), 359-370.
  7. 김윤수, 이주홍 (2014).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개방형 U-러닝 시스템 설계 및 프로토타입 제작 : 2009년 개정 과학과 교육 과정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19(10), 135-149.
  8. 김준우, 맹준희, 주지영, 임광혁 (2010). 멀티 터치스크린과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과학 실험 학습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461-471. https://doi.org/10.5392/JKCA.2010.10.8.461
  9. 김진숙 (2008).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학습자 참여 촉진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 1853-1856.
  10. 노경희, 지형근, 임석현 (2010).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2), 1-13. https://doi.org/10.5392/JKCA.2010.10.2.001
  11. 류지헌, 조일현, 허희옥, 김정현 (2006). 증강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 모델 해외 연구 동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2. 박혜원, 신영준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13. 성유정 (2013). 증강현실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개념이해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여선민 (2009). 증강현실 기반 콘텐츠 활용 수업의 효과성 분석.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윤영주 (2008). 초등학생의 인체에 관한 선개념 유형별 5E 순환학습모형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명숙, 신영준 (2015). '우리 몸' 단원에서 스토리텔링 활용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3(1), 1-16.
  17. 이상윤, 김갑수 (2012). 증강현실기반 도형영역 학습 객체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6(4), 451-462.
  18. 이재민, 최종수 (2011). 증강현실 기반의 초등과학교육 콘텐츠 제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514-520.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514
  19. 이지수 (2009).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증강 현실 기반 과학 학습 프로그램 개발.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장상현, 계보경 (2007).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콘텐츠의 교육적 적용. 한국콘텐츠학회지, 5(2), 79-85. https://doi.org/10.20924/CCTHBL.2007.5.2.079
  21. 최유미, 문영순 (2015). '증강현실' 기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한 효과적인 초등 STEAM교육에 관한 연구 -과학과 미술융합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11(2), 85-108.
  22. 하윤희 (2008). Science Writing Heuristic 실험 수업이 과학탐구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반의 체험형 학습 콘텐츠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 연구보고 KR 2005-32. p. 49.
  24. Azuma, R. T. (1997).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In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 6(4), 355-385. https://doi.org/10.1162/pres.1997.6.4.355
  25. Billinghurst, M., Grasset, R. & Looser, J. (2005). Designing augmented reality interfaces. Computer Graphics, 39(1), 17-22. https://doi.org/10.1145/1057792.1057803
  26. Jaakkola, R. O. & Slaughter, V. (2002). Children's body knowledge: Understanding 'life' as a biological goal.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3), 325-342. https://doi.org/10.1348/026151002320620352
  27. Romero, L., Santiago, J. & Correia, N. (2004). Contextual information access and storytelling in mixed reality using hypermedia. ACM Computers in Entertainment, 2(3), 1-16. https://doi.org/10.1145/973801.973802
  28. Shelton, B. E. (2003). How augmented reality helps students learn dynamic spatial relationship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Washington.
  29. Bang, S. H. (2012). A study on strategies of self-directed learning to promote smart learning. Lifelong Learning Society Association, 8(1), 93-112. https://doi.org/10.26857/JLLS.2012.04.8.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