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심원 (1994). 인지양식에 따른 인지수준과 과학탐구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강순희, 노정원, 박종윤 (1998). 과학교육 연구에 사용된 GALT 완본과 축소본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99-413.
- 강철웅, 김형범, 정진우 (2013). 논리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학적 개념의 이해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165-173.
-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 (2006).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 교육과학기술부 (2010).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과학 4-2. 서울: 금성출판사.
-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9].
- 교육부 (2016a). 초등학교 과학 6-1. (주)미래엔.
- 교육부 (2016b). 과학 6-1 교사용 지도서. (주)미래엔.
- 교육부 (2016c). 초등학교 과학 6-2. (주)미래엔.
- 교육부 (2016d). 과학 6-2 교사용 지도서. (주)미래엔.
- 교육인적자원부 (200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3-1.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구자옥, 김성숙, 이혜원, 조성민, 박혜영 (2016).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6-2-2.
- 권도현, 권성기 (2000). 초등학생의 부력 개념 형성과 인지 수준의 관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1), 131-143.
- 김경미 (1999). 완본과 축소본 GALT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영희 (1988). 국민학교 6학년 아동의 지적 발달 수준과 '자연'교과 내용의 수준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동우 (1992). 국민학생의 논리적 사고 수준과 전류와 자기장의 학습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효남 (1995). 아동, 예비교사, 중견교사의 과학지식, 과학적 탐구 능력, 인지 수준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68-72.
- 김현재, 이철이, 채규준 (1986). Piaget 사고 유형에 의한 4, 6학년의 과학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15-33.
-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3-2.
- 백남권, 이을수, 박종호 (2006). 초등학생들의 지적발달수준과 과학교과 내용의 수준 비교: 물리 개념을 중심으로. 진주교육대학교논문집, 48, 289-306.
- 손창호 (1993). 인지수준에 따른 국민학교 자연과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영준, 동효관, 장윤경 (2009). 초등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과 식물 관찰 빈도 관계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2), 177-190.
- 우종옥, 정완호, 권재술, 최병순, 정진우, 허명 (1991). 국민학교 자연교과서 개발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이미현 (2007). 6학년 학생들의 인지 발달 단계와 자료 표현방법의 이해에 대한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수영 (2011). 초등학생의 과학-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2(1), 99-117.
-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정영근 (2004).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6.
- 임아름, 전영석 (2014), 초등학교 과학과 "전기회로" 단원 수업에서 겪는 교사와 학생의 어려움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33(3), 597-606.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3.597
- 전우수, 임성민, 윤진 (2003).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 초등과학교육, 22(1), 81-96.
- 정완호, 김영신, 권용주 (1999). 중학생들의 과학적 사고 수준과 교과서 생물 분야의 탐구활동에서 요구하는 사고수준의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3), 202-210.
- 한영신 (1991). 자연교과 내용과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간의 적합성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Craciun, D. (2010). Role-playing as a creative method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and Arts, 1(12), 175-182.
- Martin, D. J. (2000).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2nd ed.). Wadsworth/Thomson Learning.
- McSharry, G. & Jones, S. (2000). Role-play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chool Science Review, 82(298), 73-82.
- Roadrang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