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to Intangible Heritage and Its Meaning

무형문화재 '원형규범'의 이행과 의미 고찰

  • Lee, Jae Phil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Research & Archiving Division)
  • 이재필 (국립무형유산원 조사연구기록과)
  • Received : 2016.02.29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of recognizing masters of craft and performance skills in 1970, the principle of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which was already in general use, was adopted as a legal principle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hile the concept "original form" can be related to tangible elements of heritage through the Act, the intangibility of craft and performance skills does not allow their pinpointing at a particular temporal period or the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master from the past as the basis of an original form. Therefore, those craft or performance skills that are available at the point of recognition of relevant masters must serve as the basis of the original form for the intangible heritage concerned. This means that the principle of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of intangible heritage has been implemented not based on a fundamental form of materiality, but rather on the craft or performance skills that may be held by a master at the time of his/her recognition as a "temporary original form." This principle has been observed through intangible heritage transmission and education policies for recognized masters and their trainees, contributing to establish an elitist transmission environment in which public were denied to join the education on intangible heritage. Even with policies guided by the principle of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designated craft and performance skills have been transformed contingent upon given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us hindering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Despite the intrinsic limitations of the principle of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when applied to intangible heritage, this principle has served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protect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from external influences such as modernization and Westernization, and also as an ultimate goal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heritage, engendering actual policy effects. The Act on the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comes into effect in March 2016 takes the constantly evolving nature of intangible heritage into consideration and resultantly adopts a concept of "essential form" (jeonhyeong) in place of "original form" (wonhyeong). This new concept allows for any transformations that may take place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intangible heritage concerned, and is intended to mitigate the rigidity of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essential form," which is manifested as the unique significance, knowledge, and skills delivered by the intangible heritage concerned, should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and principles related to heritage conservation. Therefore, the new concept can be understood not as a rupture, but more as a continuum of the concept of "original form."

1970년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제도가 도입되면서 '원형규범'이 채택되었다. 규범으로 채택되기 이전에도 '원형'은 문화재 보존의 방향으로 통용되고 있었다. 법규상 원형의 개념은 형태적인 개념이다. 그러나 구전 및 실연에 의해 전승되어온 무형문화재의 특성상 과거 어느 시점에 누구에 의해 실연되는 것을 원형의 형태로 확인하거나 특정할 수 없으므로, 지정 인정행위의 시점에서 현존인이 실연하는 기 예능을 중심으로 원형을 설정하고 보유자를 인정하였다. 따라서 근원적 실체로서 '원형' 이 아닌 지정 인정 당시의 보유 기 예능이 '잠정적 원형'으로 설정되면서 '원형보존' 정책이 시행되었다. 원형보존 정책은 '원형'을 보유한 보유자의 전수교육과 전승자 양성을 통하여 시행되었으며, 보유자(보유단체)를 중심으로 한 배타적인 전승환경이 조성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이러한 원형보존 정책에도 불구하고 지정 당시의 기 예능은 사회적 환경과 수요에 맞게끔 변화가 진행되어 보존하고자 했던 형태적 의미의 '원형'은 보존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형규범은 근대화, 서구화 등 외부환경으로부터 우리 전통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사회적 실천의 지침 내지는 지향점을 지닌 시대적 담론이었으며, 무형문화재 보존정책의 당위적 지침으로 정책적 실효를 거두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2016년 3월 시행될 예정인 무형법은 무형문화재의 변화적 속성을 고려하여 '원형' 대신 '전형'을 도입하였다. '전형'은 무형문화재 주변부의 변화를 인정하여 원형의 경직성을 탈피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법규상 '전형'에 해당하는 고유한 가치, 지식, 기법이 문화재 보존의 지침 또는 원칙에 따라 유지되어야 하므로 전형은 원형과의 단절보다는 관련성과 연장선에서 볼 수도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재청, 2008,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291호
  2. 문화재청, 2007.5,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289호
  3. 문화재청, 2000.11,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263호
  4. 문화재청, 2000.6,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260호
  5. 문화재관리국, 1988,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178호
  6. 문화재관리국, 1995, 무형문화재 공예종목발굴기능조사 연구보고서 제222호
  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0, 개정문화재보호법 해설
  8. 문화재관리국, 1977, 제2분과 문화재위원회 회의록(1976년) 문화재 제11호
  9. 문화재관리국, 1972, 제2분과 문화재위원회 회의록(1971년) 문화재 제6호
  10. 문화재청, 2011, 무형문화유산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정연구,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11.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2006, 중요무형문화재 원형보존과 재창조 가이드라인
  12. 배영동, 2005, 문화콘텐츠화 사업에서 '문화원형' 개념의 함의와 한계 인문콘텐츠 제6호, 인문콘텐츠학회
  13. 송준, 2009, 한국 무형문화재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성경린, 1982, 중요무형문화재 보존전승 문화재 15호, 문화재관리국
  15. 이보형, 1987, 중요무형문화재와 창자자와의 관계 월간 춤 12월호
  16. 이재필, 2011, 무형문화재 보호제도의 이행과정과 그 성과에 관한 검토 문화재 제44권 4호
  17. 임석재, 1982,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앞으로의 방향 문예진흥 84,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8. 임재해, 2007, 무형문화재의 가치 재인식과 창조적 계승 한국민속학 제45집
  19. 정병호, 1988,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의 개선방안-민속놀이와 민속무용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제21호
  20. 채희완, 1988, 전통연희의 창조적 계승문제 한국의 민속예술, 문학과지성사
  21. 한양명, 2006,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분야의 원형과 전승문제에 대한 반성적 검토 한국민속학 44집
  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문화재관리국, 1996,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시 전승자 선정기준과 조사방법의 개선방안 중요무형문화재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23. 허용호, 2015, '원형'의 신화, '전형'의 논리-발탈에서의 원형과 전형논란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의 생산적 재고, 무형유산학회 가을 정기학술대회 및 총회
  24. 경향신문, 1968.6.12, "민족문화개발위신설"
  25. 경향신문, 1968.6.8, "탈춤의 정수모아 율동과 극과 무대의 조화를"
  26. 경향신문, 1968.5.6, "천년이어 온 찬불가무 사라져가는 원형보존"
  27. 경향신문, 1968.3.27, "탈춤 산대놀이 무대화"
  28. 경향신문, 1962.10.3, "국보재지정과 무형문화재"
  29. 동아일보, 1967.5.11, "국악현대화운동에 대한 건의"
  30. 동아일보, 1966.6.30, "고고한 겨레의 선율-양악에 쫓긴 민속악보화.정리시급-"
  31. 한겨레, 1990.4.7, "판소리, 민요 등 무형문화재발표회-10일부터 8개 종목 원형보존 점검무대-"
  32. 한겨례, 1989.10.15, "안성남사당 전통성 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