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ylistic Interchange Patterns of Stone Stupa Construction in the Gangwon-do Region

강원도 지역 석탑 조영(造營)의 양식적 교류양상

  • Jun, Ji Hye (Dept. of Histor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6.03.31
  • Accepted : 2016.05.03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Buddhist stupas, which are a symbolic architecture of Buddhism and enshrine the Jinsinsari of Buddha, were reinvented as stone stupas appropriate for the natural soil of Korea from existing wooden stupas around the 7th century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Later, the construction of a stone stupa was expanded to local areas from the central area around the 9th century; thus, stone stupas of more diverse local colors were built in a nationwide scale, and today it is called a "country of stone stupas". While focusing on the stylistic interchanges between stone stupas, which were established in each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localiz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stone stupas that was begun actively from the 9th century, this paper selected several cases of stone stupas among about 50 stone stupas in the Gangwondo-region. First, the study compared the stone stupas and Buddhist priest tower of Seollimwonji, Jinjeonsaji, and Geodonsaji, which are located at the same temple site as the current Buddhist priest tower, from among typical Silla style stupas that match the 9 stone stupas in the Gangwon-do region. This is because stylistic interchanges were possible while there were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Buddhist statues such as stone stupas, Buddhist priest towers, stone lanterns, and Buddhist pedestals, which used the same stone material along with the expansion of Buddhism to local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 of Zen Buddhism in the 9th century. Second, a comparison was made of the stylistic similarities between the Woljeongsa Palgakgucheong (eight sides nine-storied) stone stupa and the Sinboksaji Samcheung (three-storied) stone stupa, which are totally different in regard to the number of stories and the flat form. These two stone stupas are representative Goryeo stone stupas. The Woljeongsa stone stupa is a Goguryeo-oriented stone stupa with many sided multiple stories whereas the Sinboksaji stone stupa has been known as an early case of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of Tapsin in each story. Although the two stone stupas may look very different, but through close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stylistic interchanges between them and not only the seated stone Buddha statue in the cylinder jewel case in front of the stupa but also the stone stupa established by the same master. Consequently, this paper aimed not merely to mention the simple patterns of stone stupas, but, further, to trace the interchange in patterns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period based on those patterns.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시는 불교의 상징적인 건축물인 불탑(佛塔)은 불교 전래 후 7세기 무렵 기존의 목탑에서 한국의 자연적인 토양에 적합한 석탑으로 재탄생하였다. 이후 9세기 무렵 석탑의 건립이 중앙으로부터 지방으로 확산되면서 획일성을 탈피한 다양한 석탑들이 전국적으로 건립되었고, 오늘날에 이르러 '석탑의 나라'로 불리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9세기부터 본격화되는 석탑건립의 지방화 현상에 따라 각 지방에 건립되는 석탑 사이에 어떠한 양식적인 교류가 있었는지에 대해 주목하여, 약 50여 기에 달하는 강원도 지역 석탑 중 몇 기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첫 번째로 강원도 지역의 신라석탑 중에서도 현재 승탑과 동일한 사지(寺址)에 소재하고 있는 선림원지(禪林院址), 진전사지(陳田寺址), 거돈사지(居頓寺址)의 석탑과 승탑에 대해 비교했다. 이는 9세기는 선종의 전파에 따라 불교가 지방으로 확산되면서 이와 함께 석재라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석탑, 승탑, 석등, 불대좌(佛臺座) 등의 불교 조형물 역시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양식적인 교류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층수와 평면형태가 완전히 이질적인 월정사(月精寺) 팔각구층석탑과 신복사지(神福寺址) 삼층석탑의 양식적인 공통점에 관한 비교이다. 이 두 기의 석탑은 대표적인 고려석탑으로 월정사 석탑은 다각다층의 고구려계 석탑으로, 신복사지 석탑은 매 층탑신받침을 감입한 사례로 일찍이 알려져 왔다. 즉 두 석탑은 상당히 이질적으로 보이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탑 앞에 놓인 원통형 보관의 석조보살좌상뿐만 아니라 석탑 역시 동일한 장인집단에 의해 건립되었을 만큼 양식적으로 충분한 교류가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석탑의 단순한 양식적인 언급에서 나아가 그 양식을 토대로 석탑의 조영에 따른 교류양상을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희, 2009, 고려 전기 사회변동과 불탑 미술사학 23,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 강병희, 1995, 한국의 다각다층 석탑,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3. 강지언, 1982, 답사보고서-신복사지 삼층석탑 이대사원 18.19, 이대사학회
  4. 고유섭, 2010, 조선탑파의 연구 하, 열화당
  5. 고유섭, 1955, 조선탑파의 양식변천 동방학지 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6. 권보경, 2006, 고려전기 강릉일대 석조보살상 연구 사림 25, 수선사학회
  7. 권보경, 2006, 고려전기 강릉일대 석조보살상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권희경, 1998, 월정사 탑전 석조보살좌상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과학기술학회지 4-1, 한국전통과학기술학회
  9. 김남희, 2010, 강원지역 통일신라.고려시대 석탑의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경식, 2013, 한국의 석등, 학연문화사
  11. 박경식, 2008, 한국의 석탑, 학연문화사
  12. 박경식, 2002, 통일신라 석조미술 연구, 학연문화사
  13. 박경식, 1995, 9세기 신라지역 미술의 연구 I 사학지 28, 단국대학교사학회
  14. 소재구, 2002, 선림원지 삼층석탑의 조형적 특징과 의의 강좌미술사 18, 한국미술사연구소
  15. 송일기, 2002, 오대산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출토 <全身舍利經>의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3, 한국도서관.정보학회
  16. 신용철, 2009, 신라 불탑에 있어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영향 불교학연구 23, 불교학연구회
  17. 엄기표, 2011, 고려시대 강원지역의 불교문화 문화사학 36, 한국문화사학회
  18. 엄기표, 2004,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 학연문화사
  19. 월정사, 2011,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정밀실측 조사 보고서
  20. 윤창숙, 1988, 고려 석탑의 기단양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전지혜, 2012, 백제양식석탑의 분포와 주변지역 석탑양식 비교연구 동아시아고대학 29, 동아시아고대학회
  22. 전지혜, 2011, 백제양식석탑의 양식과 건립연대에 관한 검토 불교미술사학 12, 불교미술사학
  23. 정성권, 2012, 고려 건국기 석조미술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조원창, 2005, 월정사 지하 가구기단의 편년과 성격 호서고고학 13, 호서고고학회
  25. 주경미, 2011, 고려시대 월정사 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재론 진단학보 113, 진단학회
  26. 진정환, 2013, 고려전기 불교석조미술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천득염, 2003, 백제계석탑 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28. 최경애, 2012, 오대산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앞 공양보살상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최성은, 1997, 唐末五代와 遼代의 圓筒形 高冠 菩薩像에 대한 一考察 강좌미술사 9, 한국미술사연구소
  30. 최성은, 1979, 고려초기 명주지방 석조보살상에 대한 고찰,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홍대한, 2014,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의 건립배경과 건립시기 연구 한국선학 38, 한국선학회
  32. 홍대한, 2012, 고려석탑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