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산재의 성립과 전개 고찰

Study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Yeongsanjae

  • 고상현 (동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
  • Ko, Sang-Hyun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6.09.30
  • 심사 : 2016.10.27
  • 발행 : 2016.12.30

초록

영산재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래 한국불교의례를 대표하는 독보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근년에 수륙재에 대한 활발한 연구로 영산재보다 수륙재가 역사적인 유래와 규모가 더 광대하고 국가주도로 설행되었음이 밝혀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영산재를 중심으로 다양한 의례가 있었던 것으로 보았던 관점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영산재의 한국적 기원과 전개과정을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영산재의 현재적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영산재는 조선초에 간행된 "진언권공"(1496)에서는 '작법절차'라는 항목으로 나타난다. 이 절차는 조선중기 인조 12년(1634)에 간행된 "영산대회작법절차"에도 나타난다. 여기에는 '영산대회작법절차'로 명시되어 있다. 이것은 조선후기 "오종범음집"(1661)이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1721)에도 영산작법, 영산대회작법으로 명시되고 있다. 근대기 <독립신문>의 기사에는 영산제로, "석문의범"(1935)에는 영산재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조선초와 그 이후의 것들에서 달라진 점은 창혼(唱魂)이 더해진다는 것이다. 이로써 조선초의 영산회가 부처님의 설법장면 등 가르침을 의례로 외형화하는 교화적인 내용이 중심이었다면, 중기 이후에는 창혼이 더해지면서 추천(追薦)의 개념이 추가되어 불교 교화와 망혼의 천도가 함께 설행되었다.

Since being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Yeongsanjae has become recognized as a unique representation of Buddhist rituals in Korea. Following vigorous research in recent years, however, Suryukjae(水陸齋) was found to have been performed for a longer period and on a larger scale than Yeongsanjae, and under state leadership. This allowed researchers to move beyond the previous perspective that Yeongsanjae(靈山齋) lay at the center of many rituals. This study aims first to examin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Yeongsanjae in Korea based on the literature, and then to discuss the meaning it holds today. Yeongsanjae was recorded as a ritual in Jineongwongong -published in 1496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also appeared in Yeongsandaehoejakbeopjeolcha -published in 1634(the 12th year of Injo's reign) in the mid-Joseon Dynasty and it was called Yeongsandaehoejakbeopjeolcha. It continued into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was called Yeongsanjakbeop or Yeongsandaehoejakbeop in the Ojongbeomeum collections(1661), CheonjimyeongyangSuryukjaeuiBeomeumsanbo collections(1721), and Jakbeobguigam(1826). In modern times, it has been called Yeongsanje in newspaper articles of TongnipSinmun (The Independent) and Yeongsanjae in Seokmunuibeom(1935). Neverthel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subsequent periods is whether mourning of the spirit(唱魂) is added. In this regard, Yeongsanho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ainly concerned Buddhist teachings realized through rituals such as sermon scenes of the Buddha. On the other hand, it was combined with Buddhist masses for the dead(追薦) from the mid-Joseon Dynasty and performed alongside with Buddhist teachings and prayers for the dead. Taking into account the seven-day Suryukjae, however, Yeongsanjae was performed daily during the day and mainly dealt with Buddhist teachings, while Buddhist masses for the dead were included when Yeongsanjae was performed independently.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상현, 2015, 불교축제의 현황과 발전 방안, 불교학보, 제70집,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 고상현, 2011, 고려시대 수륙재 연구, 선문화연구, 11집
  3. 고상현, 2009, 종교페스티벌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수륙재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2집, 동국대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pp.8-9
  4. 권영문, 1995, 화청의 서사문학적 변용, 경기대 박사학위논문
  5. 권오성, 2005, 한국범패의 역사, 한국전통음악, 민속원, pp.69-87
  6. 김영렬, 2011, 영산재의 문화 콘텐츠 만들기, 운주사
  7. 김용태, 2015, 조선후기 남한산성의 조영과 승군의 활용, 한국사상과 문화, 제78집, p.186
  8. 김응기, 2004, 영산재 작법무 범패의 연구, 원광대 박사학위논문
  9. 김종일, 1999, 현행 불교의례의 현장조사 -현행 영산재에 대한 고찰-, 불교전통의례와 연극 연희화의 방안, 엠애드
  10. 김화미, 2013, 甘露幀과 현행 재의식에 나타난 作法舞 硏究, 동방대학원대 박사학위논문
  11. 김희준, 2001, 조선전기 수륙재의 설행, 호서사학, 30집, 호서사학회
  12. 노명열, 2010, 현행 생전예수재와 조선시대 생전예수재 비교 고찰,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13. 박세민 편, 1993a,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제1집, 삼성암
  14. 박세민 편, 1993b,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제2집, 삼성암, p.127, 148
  15. 박세민 편, 1993c,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제3집, 삼성암, p.38, pp.11-16
  16. 박성철, 2005, 靈山齋의 文化的 活用모델 硏究 -'회심곡'을 중심으로-,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17. 박진태, 2006, 한국 불교축제와 공연예술의 관련양상, 공연문화연구, 12, 한국공연문화학회(구,한국고전희곡학회)
  18. 박혜정, 2011, 충청도 불교음악 연구의 현황과 전망 -내포 영산재의 음악적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음악문화연구, 2, 한국음악문화학회
  19. 백일형, 1987, 범패 팔공산제에 관한 연구 -종성.할향.합장게.칠여래.화청을 중심으로-
  20. 백일형, 1986, 범패 팔공산제에 관한 연구
  21. 법현, 2005, 한국의 불교음악, 운주사, p.16
  22. 법현, 2001, 영산재연구, 운주사, p.147
  23. 서정매, 2015, 영제범패 '영산작법' 연구,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pp.54-67
  24. 서정매, 2013, 영제 '영산작법' 절차의 시대적 변천 연구
  25. 서정매, 2012a, 부산지역 범패승 연구
  26. 서정매, 2012b, 영제 '삼귀의' 절차의 시대적 변천 연구
  27. 손인애, 2014, 경제(京制) 각배 '걸수(乞水)' 연구(1) -개성지역 범패와 관련하여-, 공연문화연구, 29,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8. 심상현, 2015, 영산재의 효율적 전승과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에 관한 연구, 정토학연구, 23, 한국정토학회, p.254, pp.35-42
  29. 심상현, 2011, 영산재 성립과 작법의례에 관한 연구, 위덕대 박사학위논문, pp.2-3, 35-42
  30. 심효섭, 2005, 조선전기 영산재 연구,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p.109, pp.65-78
  31. 심효섭, 2003, 조선전기 기신재의 설행과 의례, 불교학보, 40집,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32. 안진호, 1935, 석문의범, 만상회, p.6, 238
  33. 연제영(미등), 2014, 한국 수륙재의 의례와 설행양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05-114
  34. 윤소희, 2011, 영남범패연구
  35. 윤소희, 2010, 불교음악의 기원과 전개, 한국음악사학보, 제44집, 한국음악사학회
  36. 윤소희, 2009, 티벳 참무를 통해 본 처용무와 영산재 -샤허(夏河)의 라브랑스(拉卜楞寺)를 통하여-, 한국음악연구, 46, 한국국악학회
  37. 윤소희, 2008a, 영남범패의 소리길과 성음
  38. 윤소희, 2008b, 영남범패 전승에 관한 연구
  39. 이능화, 1932, 조선불교통사, 하권, 보련각
  40. 이보형, 2012, 한국의 종교음악연구와 과제, 한국음악문화연구, 제2집, 한국음악문화학회, pp.19-20
  41. 이성운, 2015, 영산재와 수륙재의 성격과 관계 탐색, 한국불교학, 73, 한국불교학회, pp.35-36, 417-449.
  42. 이성운, 2013, 현행 한국수륙재에 대한 검토, 한국선학, 36, 한국선학회, p.120, pp.259-260
  43. 이애경, 1999, 영산재 작법의 무용미학적 고찰, 국민대 박사학위논문
  44. 이영숙, 2003, 조선후기 괘불탱 연구,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45. 전경욱, 2008, 수륙재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양상, 제2회 법성포단오제 학술대회 법성포수륙대재, 법성포단오보존회, p.14
  46. 전인평, 1998, 티벳 불교음악에 관한 고찰 -한국음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제21집, 한국음악사학회
  47. 정명희, 2015, 조선시대 불교의식과 불교회화, 불교의례, 열화당, pp.224-225
  48. 채혜련, 2011a, 영산재 범패의 선율에 관한 연구 -박송암류 상단권공 '홋소리.짓소리'를 중심으로-, 원광대 박사학위논문
  49. 채혜련, 2011b, 영산재와 범패, 국학자료원, p.37, 45
  50. 최로덴, 2006, 티베트 불교의식의 수행적 의미 악 가 무 등의 개별적 요소에서 종합 의례까지, 영산재학회 논문집, 제4호, 옥천범음대학
  51. 최취허.안진호, 1931, 불자필람, 불교사
  52. 최헌, 2006, 부산.경남지역의 영산재
  53. 한만영, 1984 증보판, 한국불교음악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p.3
  54. 한상길, 2010, 한국 근현대신문에 나타난 불교의례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54, 한국사상문화학회, p.36
  55. 혜일명조, 2015, 수륙재의 발전적 계승을 위한 제언, 한국 수륙재와 공연문화, 글누림, p.575, pp.578-579
  56. 홍윤식, 2001, 영산재, 대원사, pp.8-17
  57. 홍윤식, 1989, 불교의식, 문화재관리국
  58. 홍윤식, 1987, 영산재,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p.9
  59. 大愚 集述, 1576, 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2집
  60.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2집, 오종범음집, 182中(한국불교전서, 12책)
  61. 한국불교전서, 제11책,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 512중, 522중, 483하, 520하
  62. 한국불교전서, 제12책, 오종범음집, 173상
  63. 한국불교신문 제604호, 2013.05.04
  64. 독립신문, 1898.10.22, "시폐 개탄론" http://www.kinds.or.kr/mediagaon/goNewsView.do
  6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소, http://e-kyujanggak.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