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ondestru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and Environmental Investigation of the Stupa of the Buddhist Monk Soyo in Baegyangsa Temple, Jangseong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의 비파괴 훼손도 진단과 입지환경 검토

  • Kim, Yuri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Myeong 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un, Yu Gu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Mi Hye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wa, Yong-Joo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유리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전유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미혜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좌용주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 Received : 2016.06.30
  • Accepted : 2016.10.27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e Stupa of Buddhist Monk Soyo in Baegyangsa temple, Jangseong, was erected to pay a 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Buddhist monk Soyo, who worked for Baegyangsa temple as a chief monk, and is a bellshaped stupa with the detailed pattern of a Korean traditional buddhist bell. It is composed of pinkish-grey sandstone and the body of the stupa was damaged by longitudinal cracks on the front and back areas and the exfoliation caused break-out in the most part of the sculpture on the left and right areas. According to the ultrasonic test and infrared thermography analysis for physical deterioration diagnosis, most weathering aspects appeared on the body of the stupa and some exfoliated part that could not be seen with the naked eye was detected 6.1% and 5.9% on the left and right side respectively. Hyperspectral imaging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assess biological deterio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urface of the stupa was covered 71.8 ~ 79.9% with vegetation like algae, lichen and moss.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was higher relatively on the bottom part near the ground, right and back areas of the stupa. Therefor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exfoliated part and bio-deterioration is necessary and the environment condition needs to be fixed to prevent extra damages on the stupa.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은 백양사 주지를 역임한 소요대사의 유업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범종의 세부양식이 그대로 표현되어 있는 석종형의 승탑이다. 이 승탑은 담회색의 사암으로 구성되며, 탑신석의 전 후면에는 수직균열이 관찰되고 좌 우면에는 박리 박락으로 인해 조각의 상당부분이 유실되어 있다. 초음파측정 및 적외선 열화상 분석을 실시하여 물리적 손상도를 평가한 결과, 소요대사탑은 탑신석에 풍화양상이 집중되어 나타나며, 이미 박락이 발생한 영역의 주변으로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는 박리부가 좌면에서 6.1%, 우면에서 5.9% 확인된다. 또한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 분석으로 생물학적 손상도를 평가한 결과, 승탑 좌 우면의 71.8%와 79.9%가 생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생물의 활력도는 우면, 후면과 지면에서 가까운 기단석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진단결과를 종합한 결과, 향후 지속적으로 훼손이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는 박리영역과 생물에 대한 1차적인 보존처리와 함께 보존환경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성, 2011, 최근 공간정보 획득 수단으로 소개되는 하이퍼스펙트럴 영상(Hyperspectral Images)이란 무엇인가?, 대한토목학회지, 59(7), pp.83-85
  2. 김선화.이규성.마정림.국민정, 2005, 초분광 원격탐사의 특성, 처리기법 및 활용 현황,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1(4), pp.341-369
  3. 김태우.위광재.서용철, 2012, 산림지역의 항공기 탑재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에 대한 식생-Endmember와 식생지수의 상관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 pp.52-65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3.052
  4. 류경석.김지영.전유근.한두루.이찬희, 2012,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 지질학회지, 48(6), pp.521-532
  5. 문화재청, 2016, 문화재 상세정보, 보물 제1346호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http://www.cha.go.kr)
  6. 성춘경, 2003, 조선시대 소요대사부도에 대한 고찰, 문화사학, 20, pp.209-233
  7. 유지현.이찬희.전유근, 2014, 창녕 물계서원 원정비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와 균열심도 측정, 보존과학회지, 30(4), pp.427-438 https://doi.org/10.12654/JCS.2014.30.4.11
  8. 이명성.박성미.전유근.이선명.이재만, 2013, 비파괴 기법을 이용한 태종 헌릉 신도비의 표면 훼손도 진단, 문화재지, 46(4), pp.90-107
  9. 이성민.최희수, 2013, 숭례문 육축 석재의 비파괴진단 연구, 한국공간구조학회지, 9(1), pp.57-58
  10. 이순영, 2013, 조선후기 범종형 석조부도의 양식과 특징, 문화사학, 40, pp.155-182
  11. 이영준.김영석.이민희.한준희.김민수, 2012, 석조문화재의 풍화지수 산정을 위한 초음파속도의 평가 및 보정, 한국지구과학회지, 33(2), pp.126-138 https://doi.org/10.5467/JKESS.2012.33.2.126
  12. 이찬희.이정은.신은정.김사덕, 2008, 경천사십층석탑의 암석학적 특징과 풍화훼손도, 지질학회지, 44(6), pp.765-779
  13. 이찬희.조영훈.전유근, 2009, 석조문화재 풍화도 평가를 위한 초음파 측정의 설정과 직접-간접전달방법의 상관관계, 보존과학회지, 25(3), pp.233-244
  14. 이찬희.전유근.조영훈.서만철, 2012, 울산 반구대암각화의 손상도 및 사면안정성 평가, 보존과학회지, 28(2), pp.153-164 https://doi.org/10.12654/JCS.2012.28.2.153
  15. 전우현, 2012, 도시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토지피복온도와 정규화식생지수(NDVI) 상관분석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50
  16. 전유근.이명성.김유리.이미혜.최명주.최기현, 2015, 석조문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분석의 활용, 보존과학회지, 31(4), pp.395-402 https://doi.org/10.12654/JCS.2015.31.4.07
  17. 조영훈.이찬희, 2014, 함수율과 이방성을 고려한 석조문화유산의 초음파 측정방법 설정, 보존과학회지, 30(4), pp.467-480 https://doi.org/10.12654/JCS.2014.30.4.15
  18. 조영훈.이찬희.유지현, 2013, 석조문화유산의 박리검출을 위한 수동적 적외선 열화상분석의 적용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29(1), pp.55-67 https://doi.org/10.12654/JCS.2013.29.1.06
  19. 조지현.조영훈.전유근.최준현.이찬희, 2010, 봉화 북지리마애여래좌상의 비파괴 정밀진단과 사면안정성 분석, 보존과학회지, 26(2), pp.121-132
  20. 최병길.나영우.김승현.이정일, 2014, 항공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의 PCA기법 적용을 통한 토지 피복 분류 정확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2(1), pp.81-88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1.081
  21. Gates and David M., 1980, Biophysical Ecology, Springer-Verlag, New York, 611
  22. Haboudane D., Miller J.R., Pattey E., Zarco-Tejada P.J., Strachan I.B., 2004, Hyperspectral vegetation indices and novel algorithms for predicting green LAI of crop canopies: Modeling and validation in the context of precision agricultur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0, pp.337-352 https://doi.org/10.1016/j.rse.2003.12.013
  23. Titman, D.j., 1990, Some applications of infra-red thermography to civil engineering problems, The British Journal of Non-destructive Testing, 32(12), pp.627-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