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시아 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ODA 현황과 과제

Situations and Challenges of ODA for Sustainability of Asian Cultural Heritage

  • 유재은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Yu, Jae Eu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of Korea)
  • 투고 : 2016.07.18
  • 발행 : 2016.09.30

초록

2015년 9월 UN 개발정상회의에서 Post 2015 개발의제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가 채택됨에 따라 '지속가능성'을 문화유산과 연계한 다양한 의견과 토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굳이 SDGs를 내세우지 않아도 문화유산 보존 자체가 문화유산이 가지는 자국 문화의 독자성, 특성, 다양성 등을 영구히 유지한다는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정책이나 이론적 접근이 아닌 실제적인 문화유산 ODA 사업을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아시아 문화유산 ODA와 관련한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과 향후의 방향성, 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먼저 ODA 사업이 시작된 배경이나 개념을 알아보고,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문화유산 ODA 수행국가인 일본과 중국의 사업 내용을 알아보았다. 한국의 문화유산 ODA는 라오스, 캄보디아 유적 복원을 중심으로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어 아직 규모나 내용면에서 미비한 수준이다. 문화유산 ODA의 발전을 위한 과제로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로 아시아 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ODA 사업의 장기 마스터플랜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로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나열식의 단기간 사업 대신 장기적 관점에서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할 것이다. 이미 잘 알려진 사업이 아닌 한국만이 할 수 있는 한국형 문화유산 ODA 모델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지속가능성과의 연계인데, 문화유산 보존은 결국 현지 관광 활성화와 같은 경제 활성화의 원동력이 되면서 현지인에게 그 혜택이 주어져야 한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대안으로 현지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 역량 강화를 제안한다. 자국의 문화유산은 자국 문화의 고유한 독자성과 특성이 반영된 산물로 자국민에 의한 복원이 최상이다. 이런 점에서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ACPCS 사업은 한국 고유의 특화된 프로그램으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유산 ODA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정보공유와 협력체계 구축, 중복사업 방지 등을 위한 것으로, 일본의 '문화유산 국제협력 컨소시엄'은 참고할 수 있는 사례가 될 것이다.

Various opinions and discussions have been actively in progress which are connected with cultural heritage sinc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as announced by UN Sustainable Development Summit 2015 as Post-2015 Development Agenda. Apart from SDGs,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itself stands on the basis of sustainability that originality, characteristic, d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ermanently preserved. From that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practical ODA for cultural heritage, far from theoretical approaches and policies. This paper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domestic and overseas situation related to ODA of Asian cultural heritage and the mentioned problems, future plans and challenges. First, the background and concepts about ODA were described and then ODA project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by Japan and China as typical ODA countries for Southeast Asia were introduced. ODA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 has relatively recently started for restoration work for historic sites of Laos and Cambodia and its scale and performance do not come to much yet. Therefore, to develop ODA of cultural heritage, there are suggestions as in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a long-term master plan of ODA projects for sustainability of cultural heritage. Second, based on the view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the selection and focus for ODA partner countries should be considered, avoiding short-term projects aiming at a number of countries. Not widespread existing projects by other countries, but the model of Korean ODA for cultural heritage only Korea can conduct should be prepared. The next thing is connection with sustainability, and ultimately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should result in benefit to the natives by giving an impetus to economy as well as fostering tourism of local areas. To accomplish that connection, educational training and building capacity are suggested as the most suitable alternatives. Cultural heritage of each country reflects its indigenous originality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restoration work should be conducted by people in each country as the best way. From this point of view, ACPCS hel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ill take a role of a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in Korean way. Lastly, establishment of a control tower for ODA in Korea is necessary. JCIC(Japan Consortiu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ultural Heritage), which was set up in Japan for sharing information,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system and prevention of overlapped projects will be an example we can take into conside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재성, 2014, 유네스코 '문화와 발전' 담론과 문화유산 ODA 중요성 지속가능한 문화유산 ODA의 방향과 전략, 유네스코 문화유산 개도국 협력 전략세미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동남아시아 문화유산 협력 활성화 방안 조사 연구 보고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10th Anniversary of ACPCS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The 1st ACPCS Workshop
  5. 김연수, 2016, 한국의 문화유산 국제개발협력 전략 문화유산 국제개발협력의 통합전략 모색, 2016 유네스코 유산 국제개발협력 워크숍, 유네스코한국위원회.문화재청
  6. 김지윤, 2015, 한국 ODA의 전략과 방향-KOICA 문화 ODA 추진 현황과 방향 유네스코 문화유산 개 도국 협력 전략세미나 자료집
  7. 박열한.김상헌, 2015, 한국형 문화 ODA 현안과 발전 방향,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발표집
  8.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6, 문화유산 국제개발협력의 통합전략 모색
  9.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5, 유네스코 문화유산 개도국 협력 전략세미나
  10.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유네스코 문화유산 개도국 협력 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문화유산 ODA의 방향과 전략-
  11. 유재은, 2014, 아시아권 문화재 보존과학 국제협력(ACPCS) 사업의 현황과 전망 유네스코 문화유산개도국 협력 전략세미나 -지속가능한 문화유산 ODA의 방향과 전략-
  12. 정하영, 2014, 문화유산 분야의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한 개발도상국 세계유산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연구 문화재관리학 11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13. 한경구, 2014,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보호를 위해 개발원조가 나아가야 할 길 지속가능한 문화유산 ODA의 방향과 전략, 유네스코 문화유산 개도국 협력 전략세미나,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4. 한국문화재재단, 2015, 라오스 홍낭시다 유적 보존.복원 국제 심포지엄
  15. 황원규, 2014, 개도국 지원사업의 현재와 미래 지속가능한 문화유산 ODA의 방향과 전략,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6. 사오토메 마사히로, 2016, 일본의 문화유산 국제협력 -All Japan 협력체제의 구축- 문화유산 국제개 발협력의 통합전략 모색, 유네스코 워크숍
  17. 文化庁 외, 2015, 東南アジア諸国と共に歩む -多様な文化遺産の継承と活用-, アセアン+3文化遺産フォーラム 2015
  18. 文化庁, 2015, 我が国の文化政策
  19. Kyaw Oo LWIN, 2015, Safeguarding of Cultural Heritage in Myanmar, 일본 문화청 외, ASEAN+3 Cultural Heritage Forum 2015 발표자료
  20. Ly VANNA, 2015, How to Maintain National Identity and to Strengthen Autonomy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Experience from Two Decades of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ngkor, 일본 문화청 외, 'ASEAN+3 Cultural Heritage Forum 2015' 발표자료

피인용 문헌

  1.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리디자인 패션 연구 - 남성 한복을 이용한 여성복 개발 - vol.29, pp.4, 2016, https://doi.org/10.29049/rjcc.2021.29.4.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