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inical utility of K-CBCL 6-18 in diagnosing ADHD -focused on children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in child welfare institution-

ADHD 진단에서 K-CBCL 6-18의 임상적 유용성 -아동복지시설 심리장애 아동에의 적용-

  • Kim, Sang A (Dept. of Child Welfare &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 ;
  • Ha, Eun Hye (Dept. of Child Welfare &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
  • 김상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하은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2.22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linical utility of th Korea Child Behavior Checklist 16-18(K-CBCL 6-18) in diagnosing ADHD among children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The participants were 509 elementary school children(309 boys and 200 girls) who lived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They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ADHD Rating Scale(K-ARS) and K-CBCL 6-18. Only five scales of the K-CBCL 6-18 related with attention were used for analysis: syndrom total, externalizing total, aggressive behavior, attention problems and DSM-oriented ADHD sca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K-ARS and K-CBCL 6-18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five scales. Second, as a result of a t-test on the ADHD and the non-ADHD groups, which were divided using K-ARS, the mean scores of ADH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ADHD group for all five scales of the K-CBCL 6-18. The hit rate of all five scales of the K-CBCL 6-18 was 60 to 70 percent. The syndrom total and externalizing total scales had high sensitivity, whereas the aggressive behavior, attention problems, and the DSM-oriented ADHD scales had high specificity. In addition, all scales had high positive predictive values. Third, as the result of a t-test on the ADHD group and the emotional disorder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of the attention problems and the DSM-oriented ADHD scales. The attention problems and the DSM-oriented ADHD scales had a similar percentage of hit rate, high specificity and low sensitivity. Especially, the DSM-oriented ADHD scale revealed higher specificity than the attention problems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ive scales related to attention of the K-CBCL 6-18 are useful in diagnosing ADHD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복지시설에 거주하는 심리장애 아동의 ADHD를 진단하는 데 있어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3-2014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 재활 지원 시범 사업'에 참여하였던 심리장애 초등학생 509명이다. 그들에게 치료 전 실시하였던 사전 심리 검사 자료 중 K-ARS와 K-CBCL 6-18의 5가지 주의력 관련 지표인 문제행동총점, 외현화총점,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 DSM ADHD 척도만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K-ARS와 K-CBCL 6-18의 주의력 관련 지표와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K-ARS를 기준으로 대상 아동을 ADHD집단(n=334)과 비ADHD집단(n=175)으로 나누어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5가지 지표 모두 ADHD집단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임상적 절단점 64T, 70T를 기준으로 산출한 분류적중률은 모든 지표에서 60-70%의 백분율을 나타냈으며 문제행동총점과 외현화 총점 척도의 민감도가 높았고 주의집중문제와 DSM ADHD, 공격행동 척도의 특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종합심리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ADHD집단(n=95)과 정서장애집단(n=30)을 나누어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주의집중문제 척도와 DSM ADHD 척도에서 ADHD 집단이 정서 장애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임상적 절단점 70T를 기준으로 산출한 두 척도의 분류적중률은 약 55%의 비슷한 값을 나타냈으며 두 척도 모두 민감도가 낮고 특이도가 높았다. 종합적으로 K-CBCL 6-18 주의력 관련 지표는 ADHD를 변별해내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DSM ADHD 척도가 주의집중척도와 함께 임상 집단 내에서 ADHD 진단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복지시설과 같이 여러 검사 도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환경에서 ADHD 진단 능력이 높은 척도를 규명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