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Poverty on Happiness of Childre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빈곤이 아동의 사회적 자본을 통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Baek, Hye Young (Dept. of Child Welfare and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ang, Hyunah (Dept. of Child Welfar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백혜영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강현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Received : 2016.03.30
  • Accepted : 2016.05.12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s social capital(both within and outside the family) and happiness would vary depending on poverty, as well as the effects of poverty on the happiness of children through their social capital. The 2013 Korea Youth General Survey data were utilized. We analyzed data from 766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9 and 12, as well as their parents. Data were examin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The results showed that poor children had lower levels of social capital(both within and outside the family) and happiness than non-poor children. Second, poverty had indirect effects one happiness. In particular, poverty affected children's happiness through their social capital obtained both from within and outside the families. The mediating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including various interventions for children in poverty that may improve their social capital, which influences children's happ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여부에 따라 아동의 가족내 사회적 자본, 가족외 사회적 자본 및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빈곤여부가 가족내 사회적 자본과 가족외 사회적 자본을 통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3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를 통해 수집된 만9세~만12세에 해당하는 766명의 아동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한 2차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가족내 사회적 자본 뿐만 아니라 가족외 사회적 자본도 부족하며, 행복감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곤여부는 아동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매개변수로 투입된 가족내 그리고 가족외 사회적 자본을 통해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경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빈곤가정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내, 외의 사회적 자본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