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Grandmaternal Child Care on Intergenerational Contacts: Focusing on Long-Term Reciprocity Relationships

모(母)의 손자녀 돌봄이 성인자녀와의 접촉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장기적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 하석철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홍경준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2.15
  • Accepted : 2016.03.27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revious grandmaternal child care affects contacts between older mothers and their adult children.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intergenerational long-term reciprocity relationships. In this study, data from the first wave (in 2006) to the forth wave (in 2012)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yielded a sample of 1,925 elderly mothers and 7,460 adult children. This study employed multi-level analyses considering hierarchical structures between the mothers and their adult children. In this study, past grandmaternal child care was measured by providing care behavior and unit of time for care. Intergenerational contacts was measured by frequency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ontacts. The results showed that adult children who previously received child care from their mothers were more likely to contact to their mothers. Additionally, the increasing amount of time for elderly mothers to provide care to their grandchildren led to more frequent contacts between elderly mothers and their adult children. The findings proved that grandmaternal child care was in important position in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elderly mothers and their adult children.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과거에 발생한 모(母)의 손자녀 돌봄이 이후 모와 성인자녀의 세대 간 접촉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세대 간 장기적 상호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고, 연구의 수행을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의 1차부터 4차 연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의 대상자는 1,925명의 노모와 7,460명의 성인자녀이었으며, 다수의 자녀가 한 명의 모에 내재되어 있는 관계적 구조를 고려하여 다수준 분석(multi-level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과거 발생한 모의 손자녀 돌봄은 그것의 행위 유무와 시간적 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세대 간 접촉 수준은 모와 성인자녀의 대면 및 비대면 접촉 수준을 통해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과거 모에 의해 제공된 아동 돌봄은 그것의 행위 존재 자체만으로도 이후 성인자녀와 모 간의 접촉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에 의해 제공된 아동 돌봄의 시간적 양 역시 이후 모와 성인 자녀 간의 접촉 수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세대 간 관계에서 조모에 의한 손자녀 돌봄이 세대 간의 호혜적 관계 성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이론적 및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