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과 성별 간 다집단 분석-

The Effects of Child Abuse o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Gender Differences-

  • 김재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황현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사회복지연구소)
  • Kim, Jaeyop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 Hwang, Hyunjoo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5.12.31
  • 심사 : 2016.03.13
  • 발행 : 2016.03.30

초록

본 연구는 아동학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를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소재 중 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총 1,601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에서 각 권역별로 유의 표집한 중학생 및 고등학생 1,601명이었다. 각 변수의 실태파악을 위해 기술통계, t-test를 실시하였고 조절효과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39.9%, 즉 10명 중 4명 정도의 청소년이 최근 1년 간 아동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학대 피해경험 수준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24.5%, 즉 4명 중 1명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는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 아동학대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학생의 경우 우울을 거쳐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성별을 고려하여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 abuse,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by gender. Data were gathered though questionnaires surveying 1,601 adolescents living in the Seoul and Kyeonggi areas. The results of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as follow. First, approximately 40 percent of adolesc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d child abuse in the past year. Second, 24.5 percent of adolescents were found to be at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Third, child abuse w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and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Lastly, gender differences were also found: for male students, child abuse was directly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for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suggest different intervention strategies according to gender and a necessity of intervention to prevent child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also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