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angga, a source of literary interest

향가, 문학적 재미의 원천

  • 신재홍 (가천대학교 한국어문학과)
  • Received : 2016.04.29
  • Accepted : 2016.06.01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study shows the points of interest and the meanings contained within Hyangga which are derived from three literary characteristics: easy-to-understand structure of dialectic thinking, old-fashioned and universal lyric, and the sense of a place from the past that it reveals. Hyangga is a literary genre that is structured on dialectic thinking in its form and contents. The construction of meaning in these poems happens three stages, which is explicit in four-line and eight line Hyangga as well as in ten-line Hyangga. Therefore, to enjoy Hyangga, it makes more sense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thoughts contained in Hyangga. A deeper understanding and enjoyment of the thoughts contained in Hyangga can be gained by thinking dialectically. The poems of Hyangga that have survived to present day have peculiar and rich lyrics. The emotions and thoughts contained in Hyangga are a combination of the universal human being and historically peculiar ones. The literary interests of Hyangga come from its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and the concreteness and reality of emotions expressed in its poems. Its beautifully and aesthetically described emotions resonate deep within us. The poems of Hyangga reveal features relating to spaces. We are able to get a sense of places from the past by reading their description in these poems. The places mentioned in Hyangga bring about a connection between our past and our present because they describe the same place but in a different period. Hyangga is a literary genre depicting the emotions and thoughts derived from places that belong to our people's territories. Therefore, the sense of place that Hyangga awakens in us reveals how we exist in the flow of our history. To sum up, the point of interest and meaning contained within Hyangga reveal the structure of dialectic thinking, the lyrics of those days, and the feeling of a sense of place. If these boundaries can be extended, there will be a wider scope for enjoying Hyangga.

본고는 향가의 재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하였다. 향가의 문학적 재미와 의미는 향가를 통해 사유하고, 느끼고, 자아를 찾는 데 있다고 보았다. 이는 어떤 문학 장르라도 가능하지만 그 속에서 향가만이 갖는 재미의 영역을 찾는다면, 변증법적 사유 구조 즐기기, 당대성을 지닌 서정주의에 젖어들기, 작품의 장소를 자아와 관련짓기 등을 들 수 있다. 향가는 형식과 내용 면에서 변증법적 사유 구조에 기초한 문학 장르이다. 10행 향가가 3구 구성의 형식일 뿐 아니라 4행, 8행 향가에서도 3단의 의미구성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향가를 향유하는 데에는 장르 자체에 내재한 변증법적 사유 구조를 체화하는 경험이 중요하다. 변증법적 사유를 통해 향가 이해가 심화되는 한편 향가를 향유함으로써 변증법적 사유 자체를 즐길 수 있다. 현존 향가는 모두 개성 있고 풍부한 서정을 보여 준다. 향가에 담긴 정서는 인간 보편의 정서와 함께 역사적 특수성에서 나온 정서가 합쳐진 것이다. 향가의 문학적 흥미는 그 서정의 보편성과 특수성, 구체성과 핍진성에서 연유한다. 굳세고 의연한 기상이나 금기를 깰 정도의 풍류가 깃든 정서 등 신라 시대에 사람들의 마음을 휘어잡은 매력과 미감을 지닌 정서로서 오늘날 우리에게도 울림이 크게 다가온다. 향가의 장소성은 개별 작품에 담겨 있고, 우리가 작품을 감상할 때 그 장소성의 관여에 따라 재미와 의미를 얻는다. 향가와 관련된 장소는 오늘날에도 그 좌표축에 위치하고 있기에 향가가 향유되었던 과거와 오늘의 우리를 연결하는 고리가 된다. 향가는 우리 삶의 터전인 이 땅에서 일어난 사건의 장소에서 감흥을 얻어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향가의 장소성은 우리가 한민족의 일원으로서 역사의 흐름 속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이와 같이 향가의 재미와 의미는 변증법적 사유 구조, 서정주의, 장소성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영역들을 확장해 나간다면 향가 향유의 드넓은 지평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