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Sympathy and Moral Nomativity in Moral Sentimentalism of Hutcheson, Hume, and Adam Smith

허치슨, 흄,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 나타난 공감의 역할과 도덕의 규범성

  • Received : 2016.08.30
  • Accepted : 2016.09.12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scottish philosophers Francis Hutcheson, David Hume and Adam Smith share the idea that morality comes from moral sense, which is a feeling of approval or disapproval of agent's motive and action. However, they have the different views in explaining the mechanism that generates the moral sentiments. Hutcheson takes a moral sense to be a unique mental faculty that is innate to all humans, and regards it as being guaranteed by supernatural apparatus like divine Providence. Hume and Smith reject Hutcheson's concept of internal moral sense and take a stage further Hutcheson's projects of internalisation by naturalizing morality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sympathy. It is widely held that Hume's moral sentimentalism is essentially similar to Adam Smith's. Though there are important points of contact between Smith's account of sympathy and Hume's, the differences are considerable. The chief of them lies in the fact that Hume grounds our approval of virtue on our recognition of its utility and convention, and Smith does not. Smith grounds our approval of virtue on the impartial spectator's judgment, i.e., conscience. Hence for Smith, the impartial spectator is the one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and works the vehicle of practical reason. Given this, in this paper, first, I will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Hume's and Adam Smith's understandings of sympathy. Second, I will elucidate how they explain the process to produce the moral sentiment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s of sympathy. I shall finally explicate in what way Hume's and Smith's theories on sympathy work as moral normativity.

18세기 영국 도덕철학자 허치슨, 흄 그리고 아담 스미스는 데카르트와 스피노자의 합리주의적 윤리학에 반대하여 도덕은 행위자의 행위나 성격에 대해 승인 또는 불승인을 느낄 수 있는 도덕감에서 생긴다고 보았다. 이들은 '도덕감(moral sense)'이라는 개념은 공유하지만 이러한 도덕감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한다. 즉 도덕감이 발생하는 기제를 설명하기 위해서 허치슨은 도덕감이 모든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내재하는 고유한 정신적 능력으로서 신의 섭리에 의해 보증되는 것이라 보았다. 흄과 아담 스미스는 허치슨의 선천적인 내재적 도덕감의 존재를 부정하고 공감의 원리에 호소함으로써 도덕의 자연화를 시도했다. 많은 사람들은 흄과 스미스의 도덕 감정론이 유사하다고 생각하지만 '공감'에 관한 이 둘의 설명 방식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그러한 차이점을 살펴 보게 될 것이다. 흄과 아담 스미스는 허치슨이 도덕감의 근원을 신에게 둔 것에 반대하여 도덕감의 발생 기제를 공감의 원리를 통해 설명함으로써 도덕의 자연화를 시도했지만 흄은 도덕의 궁극적 기준을 사회적 효용성 또는 관습적 규약에 둠으로써 외적인 기준을 택한 반면, 아담 스미스는 궁극적인 도덕적 기준으로 '공평무사한 관망자'의 판단 즉 '양심'이라는 내적 기준을 택했다. 스미스의 공평무사한 관망자는 개별성과 보편성 간의 간격을 메꾸고 실천적 이성을 작동케하는 수단이라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나는 공감에 관한 흄과 아담 스미스의 입장의 차이점을 밝히고 이러한 각각의 입장이 도덕의 규범성으로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이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