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niversal Gestures in Nongŭm: The Dynamic Techniques of Taegŭm Performance

소통을 위한 몸짓 - 농음의 문화상호적 해석 -

  • Received : 2016.07.11
  • Accepted : 2016.08.05
  • Published : 2016.08.30

Abstract

The Korean $taeg{\breve{u}}m$, a horizontal bamboo flute,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wind instru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ymbolized by its unique timbre and diverse techniques, this instrument transmits the beauty of Korea, and has become acknowledged even in international music scenes. Being a $taeg{\breve{u}}m$ player, composer, and ethnomusicology researcher, I have developed creative collaborations with musicians from Asian, electro-acoustic, jazz, and Western art music traditions developed outside my country of origin and tried to overcome musical boundaries through the 'intercultural performances' (after Turner 1988). Zooming in one collaboration, I detail the process of music creation and performance, collaborating with prominent Korean composer Kim $Taes{\breve{o}}ng$ (b.1967), who was commissioned by myself to write two compositions for the $taeg{\breve{u}}m$ and Western art music. The purpose is twofold: firstly, the moderniza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Korean flute is briefly tracked down within the context of Western Art music. Secondly, a performance project is illustrated with the support of technical apparatuses such as DVD and CD recordings and delves further into the question of the 'cultural relativism' (Michael Tenzer, 2006: 7) through the interactive process. The performance-as-research, as a tool 'actualizing' (Richard Schechner 2003: 32) the hybridity, touches on critical domains in Ethnomusicology. The corresponding two parts discover, as Alan Merriam's(1964) 'tripartite model' suggests, the 'context' of Korean and Western cultures, the 'behaviour' of collaborating and performing and the 'sound' of improvised and composed productions in the course of music making.

한국의 전통악기, 대금은 악기의 특이한 음색과 다양한 기법으로 한국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전하면서 동시에 국제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대금 연주가 및 음악인류학 연구자로서 활동하고 있는 본인은 대금 연주를 통해 클래식, 동아시아 음악, 전자 음악, 재즈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주가들과 한국 외 세계 여러 곳에서 협업을 진행해 왔다. 공연을 기반으로 한 협업은 음악간의 문화적 간극을 극복하고자 한 빅토르 터너 (Victor Turner)가 주장한 '다문화적 퍼포먼스 (Intercultural Performances)'를 지향하는 연구 주제와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그 중의 한 예로서 한국 전통 음악과 클래식 음악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 공연 연구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본인이 한국의 저명한 작곡가 김대성(1967년생)에게 위촉한 대금과 서양 악기를 위한 두 곡, '님'과 '청'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협업 내용은 리차드 셰크너 (Richard Schechner)의 공연 이론 (Performance Theory)을 기반으로 음악 인류학 및 공연 연구의 핵심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본 공연 연구의 목적을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대금의 현대화 과정을 클래식 음악의 문맥 안에서 구체적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두번째, 본 공연 작업은 영상과 음원 등의 자료를 이용해 분석되고 이를 마이클 텐저 (Michael Tenzer)의 '문화적 상대화 (Cultural Relativism)' 개념에 적용시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