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terminants of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Elderly Households

고령자 가구의 소비특성 및 소비패턴 결정요인

  • Received : 2016.05.31
  • Accepted : 2016.08.20
  • Published : 2016.08.30

Abstract

Although the concept of the elderly varies depending on scholars and laws, as consumption expenditure is deeply associated with income due to the nature of this study, 55 years old was set as the low limit standar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on Age in Employment and Employment Promotion for the Aged Act and the elderly households were limited to single-elderly person household and an elderly couple family household for this study. It is considere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s a significant analysis subject in terms of social welfare because it could be understood as an expressed need which was a reflection of desir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households by stereotyp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derly households, and find the determining factors for consumption patterns and thus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policies through the expressed needs of the elderly households. K-means of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by putting the consumption expenditure of the elderly households to investigate inherent structural type of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derly households, which were the investigation subjects. As a result, four groups were stereotyped and named as below: 'health care-centered type', 'saving-centered type', 'livelihood-centered type', and 'food expenses-centered typ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cision of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derly households.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the elderly households faced all different needs and problems and thus there is a need for various approach plans to solve this situation. In particular, although the elderly have been viewed as economically poor people so far,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also kind of prepared households through saving. Overall, livelihoodcentered type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and, as a factor that influenced this, marital state and household income played an important rol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more active efforts to increase the income of the elderly households are needed. In addition, age, owning of house and subjective health state were found to also have significant influence. Through these results of the study, the elderly's own improvement of awareness on health, presentation of overall standard for health state of the elderly, securement of the elderly's access to cultural life, and financial management coordination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jobs suitable for the elderly, and dissemination of communal life household, which is a cooperation residential type, were presented as institutional task in the conclusion.

고령에 대한 개념은 학자와 법령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본 연구의 특성상 소비지출이 소득과 관련이 깊으므로, 고령자고용촉진법에서 기준으로 하고 있는 55세를 고령자의 기준연령으로 설정하였으며, 고령자 가구는 고령자 1인가구와 고령자부부가족만으로 제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비특성은 욕구의 반영이라는 표출된 욕구로 파악될 수 있어 사회복지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분석 대상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자 가구의 소비형태를 유형화해서 소비특성을 파악하고, 소비패턴을 결정하는 요인을 찾아 고령자 가구의 표출된 욕구를 통해 관련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인 고령자 가구 소비 패턴의 내재적 구조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고령자 가구의 소비지출 항목을 투입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의 K-means법을 실시하였으며, 결과 4개의 군으로 유형화 되어 각각 '보건의료 중심형', '저축 중심형', '생계 중심형', '식비 중심형'으로 명칭을 부여하였다. 고령자 가구의 소비패턴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항로지스틱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자 가구는 서로 다른 욕구와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방법도 다양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특히 지금까지 노인하면 경제적 빈곤자로 인식되어 왔으나, 연구에서는 저축을 통해 준비된 가구들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생계 중심형이 가장 많았으며,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혼인여부와 가계소득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고령자 가구의 소득확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연령, 주택소유, 주관적 건강상태 등도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결론 부분에서는 보건의식에 대한 고령자 스스로의 인식 개선, 노년기의 건강 상태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 제시, 고령자의 문화생활에 대한 접근성 확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재정관리 코디, 고령자에게 맞는 일자리 개발과 보급, 협동주거형태인 공동생활가정 보급 등을 제도적 과제로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