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 on the Health Inequality in China

중국 건강불평등 현상에 대한 고찰

  • Xue, Mi (Department of Food and Resource Economics, Korea university) ;
  • Lim, Jae Young (Department of Food and Resource Economics, Korea university)
  • 미설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
  • 임재영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 Received : 2016.05.16
  • Accepted : 2016.06.23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 the health status of Chinese, which suggests that there might be the phenomena of health inequality in China. We used the year 2000, 2004 and 2009 pooled cross-sectional data of China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HNS), and utilized the Ordinary Least Square model (OLS) and Ordered Logit Estimation Method for this purpos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socioeconomic status and year dummy variables have a meaningful impact on Chinese health statu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phenomenon of health inequality has existed in China since 2000.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중국인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건강불평등 현상의 존재 여부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인의 건강 상태와 사회경제적 특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자료원인 중국 건강 영양 자료(China Health and Nutrition Survey)의 2000년, 2004년, 2009년 자료를 병합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Ordinary Least Square model (OLS) 모델과 Ordered Logit 모델을 이용해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실증분석 결과를 소개하면, 사회경제적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들이 중국인의 건강 수준을 나타내는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들 변수가 중국인의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던바, 이를 토대로 2000년 이래로 중국의 건강불평등 현상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