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arrative Structure of Terayama Shūji's Sekkyōbushi Misemono Opera Shintokumaru

데라야마 슈지(寺山修司)의 '셋교부시(說敎節)에 의한 미세모노(見せ物)오페라' <신토쿠마루(身毒丸)>의 서사 구조

  • 강춘애 (동국대학교 예술대 연극학부)
  • Received : 2016.01.13
  • Accepted : 2016.02.20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birth of a genre, the $Sekky{\bar{o}}bushi$ Misemono Opera, focusing on how it accepted and modernized Katarimono $Sekky{\bar{o}}bushi$. Unlike earlier studies, it argues that Terayama was clearly different from other first-generation Angura artists, in that he rebirthed the medieval story $Sekky{\bar{o}}bushi$ as a modern Misemono Opera. Shintokumaru (1978) was directed by Terayama $Sh{\bar{u}}ji$, a member of the first generation of Japan's 1960s Angura Theatre Movement. It takes as its subject the Katarimono $Sekky{\bar{o}}bushi$ Shintokumaru, a story set to music that can be considered an example of the modern heritage of East Asian storytelling. $Sekky{\bar{o}}$ Shintokumaru is set in Tennoji, Japan. The title character Shintoku develops leprosy as a result of his stepmother's curse and is saved through his fiancee Otohime's devoted love and the spiritual power of the Bodhisattva Avalokitesvara. In this work, Terayama combined the narrative style of $Sekky{\bar{o}}bushi$ with J.A. Caesar's shamanistic rock music and gave it the subtitle 'Misemono Opera by $Sekky{\bar{o}}bushi$'. He transforms its underlying theme, the principle of goddesses and their offspring in a medieval religious world and the modori (return) instinct, into a world of mother-son-incest. Also, the pedestrian revenge scene from $Sekky{\bar{o}}bushi$ is altered to represent Shintokumaru as a drag queen, wearing his stepmother's clothes and mask, and he unites sexually with Sensaku, his stepbrother, and ends up killing him. The play follows the cause and effect structure of $Sekky{\bar{o}}bushi$. The appearance of katarite, a storyteller, propelling the narrative throughout and Dr. Yanagida Kunio is significant as an example of the modern use of self-introduction as a narrative device and chorus. Terayama $Sh{\bar{u}}ji^{\prime}s$ memories of desperate childhood, especially the absence of his father and the Aomori air raids, are depicted and deepened in structure. However, seventeen years after Terayama's death, the version of the play directed by Ninagawa Yukio-based on a revised edition by Kishida Rio, who had been Terayama's writing partner since the play's premier-is the today the better-known version. All the theatrical elements implied by Terayama's subtitle were removed, and as a result, the Rio production misses the essence of the diverse experimental theatre of Terayama's theatre company, $Tenj{\bar{o}}$ Sajiki. Shintokumaru has the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istic of aphorism. That is, each part of the story can stand alone, but it is possible to combine all the parts organically.

본고는 일본 현대연극이 가타리모노 셋교부시를 수용하여 어떻게 현대화했는가에 주목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를 통하여 '셋교부시에 의한 미세모노(見せ物)오페라' 장르로 탄생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중세의 스토리텔링 셋교부시를 현대적 '미세모노 오페라'로 재탄생시켰다는 점에서, 데라야마가 언그라 1세대들과 확연히 다른 점에 대해 논했던 종래의 평가들과는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60년대 일본 언그라운동 1세대 데라야마 슈지(寺山修司)의 <신토쿠마루(身毒丸)>(1978년)는 서사적 이야기에 가락을 붙여 음송하는 가타리모노(語り物) 셋교부시(說經節) <신토쿠마루(俊德丸)>를 소재로 한 작품으로서, 동아시아 스토리텔링의 현대적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셋교 <신토쿠마루>는 계모의 저주로 나병에 걸린 신토쿠마루가 텐노지(天王寺)에서 약혼자 오토히메(乙姬)라는 여성의 헌신적인 사랑과 관음(?音)의 영력(?力)에 의해 구원되는 이야기이다. 데라야마 슈지는 셋교부시의 서사적 형식에 J.A.시저(シ?ザ?본명 寺原孝明)의 주술적인 락(rock)음악을 결합시키고 부제를 '셋교부시에 의한 미세모노 오페라(說敎節による見世物オペラ)'라고 하였다. 근원소재인 모자신 신앙(母子神信仰)의 원리로 보이는 '모도리(もどり; 회귀)' 본능의 중세적 종교 세계를 데라야마 슈지는 모자상간의 세계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셋교부시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복수장면은 신토쿠마루가 계모인 나데시코(撫子)의 복장과 가면을 쓴 드래그 퀸(drag queen: 여장)의 모습으로 이복동생 센사쿠(せんさく)를 근친상간하는 것으로 복수한다. 이 작품은 셋교부시의 전형적인 인과 구조를 따르고 있고, 작품 전반에 개입하여 전체적 서사를 진행시키는 이야기꾼(語り手, 카타리테)과 야나기타 구니오(柳田國男)박사의 등장은 서사 장치인 자기소개 기법과 코러스의 현대적 활용을 보여준다. 특히 코러스 가사에서 데라야마 슈지의 불행한 어린 시절의 기억, 즉 아버지의 부재, 아오모리현(?森?)의 대공습 경험이 자동기술법처럼 묘사되어 내용을 심층화하고 있다. 이후 니나가와 유키오(?川幸雄)의 연출 버전은 초연 때부터의 공동 극작가였던 기시다 리오(岸田理生)가 데라야마의 사후 17년을 경과해 다시 쓴 개정판으로 데라야마 슈지의 원작 <신토쿠마루>를 널리 알렸다. 그러나 그의 연출 버전에서는 데라야마가 이 작품에 붙인 부제의 요소가 전부 삭제됨으로써 극단 연극실험실 '덴조사지키(天井?敷)'가 시도한 다양한 실험연극의 줄기와 본질로부터 벗어나 있다. <신토쿠 마루>는 현대연극의 서사구조를 갖고 있지만 각 단락이 독립적인 이야기를 구성하면서도 서로 유기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갖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