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D Efficiency Analysis Case of the Machine Tools Industry by Using DEA

DEA를 활용한 민간 기업의 R&D 효율성 분석 사례: 공작기계 A사를 중심으로

  • 전수진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이진수 (부경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 홍재범 (부경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16.05.23
  • Accepted : 2016.08.16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is case analyzed the efficiency of 79 R&D projects performed within one private research center in machine tools industry. DEA was used for efficiency analysis. Input variables were R&D investment expense and man-month. Output variables were achievement rate on target development period and expected net sales within 5-years. Samples are divided into product development, Pri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ntrol technology development. The key result is that Prior technology showed the lowest efficiency because of high uncertainty. It was so difficult to determine its goals and to make its specific plans. With respect to scale, the proportions of CRS(constant returns to scale) were 34.6%, 14.3% and 38.9% for product development, prior technology, control technology respectively. As for IRS(increase returns to scale), they were 53.8%, 85.7% and 38.9% for product development, prior technology, control technology respectively. As for DRS(decrease returns to scale) they were 11.5%, 0% and 22.2% for product development, prior technology, control technology respectively. On the whole, in this case, insufficient input was more problematic than excessive input, which means the lack of investment in R&D. Prior technology can be the source of the futur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To operate inefficient DMU efficiently, the optimal input should be managed and it is derived from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group.

본 사례는 공작기계산업의 A사에서 수행한 R&D 개발완료 과제 79건을 대상으로 R&D 효율성을 DEA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DEA 분석에서 투입변수는 R&D 투자비와 연구인력 맨먼스, 산출변수는 개발기간 목표달성률과 예상매출액(5년간)으로 설정하였으며, 표본은 제품, 선행기술, 제어기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선행기술은 제품성능을 위한 요소기술과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고 제어기술은 컴퓨터를 토대로 수치제어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제품, 제어기술, 선행기술 순으로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선행기술의 효율성이 가장 낮았다. 그 이유는 선행기술의 불학실성에 기인한다. 선행기술은 개발목표를 정하기 어렵고 개발계획도 수립하기 어렵다. 심지어 운영하는 과정에도 환경변화가 영향을 미친다. 투자효율성 분석결과에서 CRS는 제품 34.6%, 선행기술 14.3%, 제어기술 38.9%이다. IRS는 제품 53.8%, 선행기술 85.7%, 제어기술 38.9%이다. DRS는 제품 11.5%, 선행기술 0%, 제어기술 22.2%이다. 전체적으로 본 사례는 과다투입보다는 과소투입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R&D 투자 부족을 의미한다. 주목할 부분은 기업의 미래 경쟁력이 될 수 있는 응용기술에 대한 과소투입이 심각하다는 것이다. 비효율적 DMU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최적의 투입량을 관리해야 하며, 이것은 준거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구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철신.조근태.이원재 (2001), "기술특성을 고려한 연구생산성 측정모형", 한국경영과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 773-776.
  2. 김현우.김재희.김승권 (2012), "특허지표를 고려한 글로벌 자동차기업의 그린카 기술혁신 효율성 평가를 위한 ANP/DEA 통합모형", 기술혁신연구, 제20권 3호, p. 266.
  3. 미래창조과학부 (2014), "2013년도 연구개발활동 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4. 박만희 (2008),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학술정보(주)
  5. 박상문.박일수 (2013), "기술이전 경험과 수행과제 수가 개인의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연구, 제21권 제3호, pp. 95-119. https://doi.org/10.14383/SIME.2013.21.3.004
  6. 박상혁.한승헌.김대환 (2007), "건설R&D사업의 효율성평가를 위한 DEA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255-260.
  7. 박석종.김경화.정상기 (2011), "과학기술적 성과 관점에서 정부 R&D 사업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4권 2호, pp. 205-222.
  8. 박정희.문종범 (2010), "DEA를 이용한 지역산업 기술개발 사업의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3권 제4호, pp. 2047-2068.
  9. 백철우.이순배 (2010), "질적 성과를 고려한 R&D 효율성 분석연구", 생산성논집, 제24권 제4호, pp. 251-274.
  10. 서호준 (2013), "공공부문에 대한 효율성 측정 기법의 적용: 국내 중소기업 신용보증기관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7권 제1호, pp. 141-167.
  11. 신태영.박병무 (1998), "거시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연구개발투자의 정책효과 분석", 과학기술정책, 정책자료, 98-15, pp. 1-28.
  12. 안상인.권성훈.송성환.배영임 (2009), "DEA를 이용한 R&D 효율성의 국제 비교 분석", 한국경영과학 / 대한산업공학 춘계공동학술대회, pp. 1356-1363.
  13. 윤정목 외 3명 (2014), "DEA를 통한 산업단지 내 강소기업의 효율성 평가 및 특성에 관한 연구: R&D 투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제27권 제10호, pp. 1747-1765.
  14. 이광민.홍재범 (2012b), "DEA를 활용한 광역시도별 수협상호금융 영업점의 효율성 분석", 산업혁신연구, 제28권 제2호, pp. 35-57.
  15. 이동규 (1993),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효율성에 관한 DEA의 적용", 경영논집, 제9권 제1호, pp. 89-123.
  16. 이상현.김상영.이상준 (2011) "자료포락분석 기법을 이용한 지역산업 기술개발 사업의 파급효과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9권 제6호, pp. 1-11. https://doi.org/10.14400/JDPM.2011.9.6.001
  17. 이성화.조근태 (2012), "R&D 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사업화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0권 제1호, pp. 265-290.
  18. 이원재.권철신.조근태 (2001), "기술특성을 고려한 연구생산성 측정모형", 한국경영과학회 /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pp. 771-774.
  19. 이장균 (2014), "제조업 혁신 정책의 현황 평가와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VIP 리포트, 576호, pp. 1-25.
  20. 이장재 (1996), "연구개발생산성의 개념과 측정 접근방법", 과학기술정책동향, 제89호, pp.28-39.
  21. 이철행.조근태 (2014), "DEA를 이용한 보건의료기술 R&D 사업의 효율성 분석과 전략적 포트폴리오 모형", 대한산업공학회지, 제40권 제2호, pp. 172-183. https://doi.org/10.7232/JKIIE.2014.40.2.172
  22. 이형진.정선양 (2014), "DEA를 활용한 국방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pp. 355-363.
  23. 임성묵 (2009), "DEA에서의 투입.산출 요소 선택 방법", 대한산업공학회, 제22권 제1호, pp. 44-55.
  24. 임호순.유석천.김연성 (1999), "연구개발사업의 평가 및 선정을 위한 DEA/AHP 통합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제24권 제4호, pp. 1-12.
  25. 장정주 (2010), "사회적 기업의 경영 효율성 평가를 위한 DEA 모형 도입에 관한 연구: H지역의 간병.가사 지원업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제17권 제2호, pp. 181-193.
  26. 장진규.윤문섭.박필.신동일 (1996), "정부투자기관의 R&D 투자흐름 및 R&D 효율성 분석"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96-06, pp. 1-210.
  27. 장진규 (2001), "공공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 분석 방법론 개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1-24, 3월호, pp. 1-138.
  28. 전성욱.김성종 (2014), "경제인문사회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생산성 변화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 6066-6075.
  29. 정대철.박은경 (2008), "경남의 중소기업 R&D 실태와 효율적인 지원방안", 경남발전연구원 중점정책연구 기본연구, 10월호, pp. 1-215.
  30. 정민.한재진 (2015), "한중일 상장기업 R&D 투자 효율성 비교", 현대경제연구원, 이슈리포트, 2015권 16호, pp. 1-19.
  31. 정은재.김지수 (1999), "연구생산성 측정을 위한 DEA 접근과 비율(Ratio) 분석",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권, p. 269.
  32. 조영란.이성주.윤재욱 (2012), "신제품, 신서비스, 신기술 개발을 위한 맞춤화된 R&D 프로세스 평가 방법론", 기술혁신연구, 제20권 제2호, pp. 109-134.
  33. 조정식.안기현.강일중.권철신 (2007), "R&D 능률성 측정지표 체계의 개발",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7-12.
  34. 황석원 (2008), "표준산업분류에 의한 사업유형별 연구개발 효율성 측정과 그 지표", 과학기술정책, 제18권 제2호, pp. 103-115.
  35. 황석원 외 6명 (2009), "국가 연구개발 사업 R&D 효율성 분석 및 제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9-24, pp. 1-316.
  36. Banker, R. D., Charnes, A., Cooper, W. 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 30, No. 9, pp. 1078-109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37. Bill Scales (1997), "Data Envelopment Analysis: A Technique for Measuring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Service Delivery", Steering Committee for the Review of Commonwealth / State Service Provision, pp. 9-37.
  38. Charnes, A., Cooper, W. W., Rhodes, E. (1978). "Measuring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Vol. 2, No. 6, pp. 429-444.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39. Chen, C. T., Lin, M. H. (2006), "Using DEA to Evaluate R&D Performance in the Integrated Semiconductor Firm: Case Study of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omputer, the Internet and Management, Vol. 14, No. 3, pp. 50-59.
  40. Cooper W. W., Park, K. and Pastor, J. T. (1999), "RAM: A Range Adjusted Measure of Inefficiency for use with Additive Models, and Relations to Other Models and Measure in DEA", Journal of Productivity Analysis, Vol. 11, pp. 5-42. https://doi.org/10.1023/A:1007701304281
  41. Cooper, Seiford and Tone (2000), DATA ENVELOPMENT ANALYSIS- A Comprehensive Text with Models, Applications, References and DEA - Solver Software, Kluwer Academic Publishers.
  42. Fa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General, Vol. 120, No. 3, pp. 253-281. https://doi.org/10.2307/2343100
  43. Fitzsimmons, J. A., M. J. Fitzsimmons (1994), Service Management for Competitive Advantage, Mcgraw-Hill Inc.
  44. Hashimoto, A., Haneda. S. (2008), "Measuring the change in R&D efficiency of the Japanese pharmaceutical industry", Research Policy of elsevier, Vol. 37, pp. 1829-1836.
  45. Hatzichronoglou, T. (1997), "Revision of the High-Technology Sector and Product Classification",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Working Papers, 1997/02, OECD Publishing. pp. 3-9.
  46. Lim, S. M. (2009), "A Method for Selection of Input-Output Factors in DEA", IE Interfaces, Vol. 22, No. 1, pp. 44-55.
  47. Park, S. J., Kim, K. H., Jeong, S. K. (2011),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Efficiency of Governmental R&D Programs Regarding to the S&T Outcomes",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4, No. 2, pp.205-222.
  48. Raquel Ortega-Argiles (2009), "Is Corporate R&D Investment in High-Tech Sectors More Effective?: Some Guidelines for European Research Policy", IZA Discussion Paper, No. 3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