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Export Behaviors of Busan, Incheon and Gwangyang Port

부산항, 인천항, 광양항의 수출행태분석

  • Received : 2016.07.31
  • Accepted : 2016.09.20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ort behavior of Busan, Gwangyang and Incheon Port. The monthly data cover the perio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5. We employ six export functions composed of various exchange rates and industrial production index. This paper finds that the nominal effective exchange rate is more appropriate for explaining the export behaviors of the three ports, regardless of the narrow and wide indices which comprise 26 and 61 economies for the nominal and real indices respectively. This paper tests whether exchange rate and industrial production are stationary or not, rejecting the null hypothesis of a unit root in each of the level variables and of a unit root for the residuals from the cointegration at the 5 percent significance level. The error-correction model is estimated to find that both Gwangyang and Incheon ports are much slower than Busan port in adjusting the short-run disequilibrium and Gwangyang port is a little slower than Incheon port. The rolling regressions show that the influence of exchange rate as well as industrial production tends to decrease in all of three ports. The variance decomposition, however, shows that the export variables are very exogenous and the export of Busan Port is the least exogenous and that of Gwangyang Port the most.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conomic variables such as exchange rate and economic activity affect the export of Busan Port more strongly than that of Gwangyang and Incheon Port.

우리나라는 국토가 남과 북으로 단절되고 시장이 작아 수출의존도가 높은 경제구조이어서 항만은 우리 경제에 필수불가결하다. 이에 본고는 우리나라 대표 항만인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의 수출이 어떠한 행태를 갖는가를 밝힌다. 수출은 일반적인 형태인 환율과 경기의 함수로 정의하되 환율의 부호가 이론이 제시하는 것과 상이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환율을 미 달러화의 원화표시 명목환율, 광의와 협의의 명목실효환율과 실질실효환율 5가지로 구분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3개 항만 모두 명목실효환율이 명목환율이나 실질실효환율보다 우수한 추정 결과를 보이며, 명목실효환율에서도 광의의 명목실효환율보다 협의의 명목실효환율을 이용한 모형이 수출의 추정에 적합함을 밝힌다. 명목실효환율로 구성한 모형의 안정성을 GPH 공적분검정을 통해 밝히고 전향적 이동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환율과 경기가 항만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약해지고 있다는 것과 환율보다 경기의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보인다. 오정수정모형을 추정하여 수출에서 발생한 일시적 괴리를 조정하는 속도가 부산항에서 가장 빠르고 광양항이 가장 더디며, 부산항의 균형회복이 두 항만에 비해 상당히 빠르다는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힌다. 예측오차의 분산분해와 역사적 분해를 통해 수출은 강한 외생성을 갖는 변수이며, 이에 따라 항만의 수출이 환율과 경기와 같은 경제변수 외에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 항만의 수출에서 환율과 경기와 같은 경제적 변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경제외적 변수도 경제적 변수 못지않게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수출의 외생성이 광양항에서 가장 강하고 부산항에서 가장 약하며, 항만의 불균형 조정속도는 광양항에서 가장 늦고 부산항에서 가장 빠르다는 사실을 함께 고려하면 항만 수출불균형을 조정하는 힘은 환율과 경기보다 다른 요인들에서 나온다는 것을 의미함을 밝힌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범(2011), "환율과 경기가 우리나라의 대 동남아시아 항만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4호, 207-218.
  2. 김창범(2010), "환위험과 경기 불확실성이 우리나라의 수입물동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집 제4호, 88-100.
  3. 나호수.김현초(2009), "군산항만의 효율성 비교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2호, 277-300.
  4. 박홍균(2011), "광양.부산항의 항만물류배후단지의 효율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1호, 13-30.
  5. 윤동하.최용석(2011), "Fuzzy-AHP를 이용한 광양항과 중국항만간의 물류네트워크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4호, 91-107.
  6. 이강웅.김성국(2003), "퍼지AHP를 이용한 부산신항의 항만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제7권 제2호, 69-87.
  7. 조진행.김재진(2010), "동해항 및 속초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집 제1호, 83-104.
  8. 조진행.김재진(2011), "새만금 신항만의 수요추정 비교분석 및 개발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4호, 219-235.
  9. 최봉호.김상춘(2010), "부산항.광양항.인천항의 물동량간 인과관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집 제1호, 61-82.
  10. Akal, M.(2008), "Estimating Manufacturing Trade Structures and Elasticities in Turkey: An Inductive Approach," Journal of Economic Cooperation, Vol.29 No.3, 49-78.
  11. Baak, S.J.(2008), "The Bilateral Real Exchange Rates and Trade between China and the US," China Economic Review, Vol.19 No.2, 117-127. https://doi.org/10.1016/j.chieco.2008.02.003
  12. Bahmani-Oskooee, M. and Hegert, S.W.(2009), "The Japanese-U.S. Trade Balance and the Yen: Evidence from Industry Data," Japan and World Economy, Vol.21, 161-171. https://doi.org/10.1016/j.japwor.2008.02.001
  13. Banerjee, A.J., Dolado, J. and Mestre, R.(1998), "Error Correction Mechanism Tests for Cointegration in Single-equation Framework," Journal of Time Series Analysis, Vol.19, 267-283. https://doi.org/10.1111/1467-9892.00091
  14. Cheung, Y.W. and Lai, K.S.(1993), "A Fractional Cointegration Analysis of Purchasing Power Parity," Journal of Business and Statistics, Vol.11, 103-112.
  15. Chen, S.L. and Wu, J.L.(2005), "Long-Run Money Demand Revisited: Evidence from a Non- Linear Approach,"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Vol.24, 19-37. https://doi.org/10.1016/j.jimonfin.2004.10.004
  16. Doyle, E.(2001), "Exchange Rate Volatility and Irish-UK Trade, 1979-1992," Applied Economics, Vol. 33, 249-265. https://doi.org/10.1080/00036840122999
  17. Granger, C.W.J.(1986), "Developments in the Study of Cointegrated Economic Variables,"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48, 213-228.
  18. Ketenci, N. and U. Idil(2011), "Bilateral and Regional Trade Elasticities of the EU," Empirical Economics, Vol.40, 839-854. https://doi.org/10.1007/s00181-010-0365-8
  19. Lastrapes, W.D. and Koray, F.(1990),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Aggregate Shock under Fixed and Flexible Exchange Rate Regimes: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1959 to 1985,"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Vol.9, 402-423. https://doi.org/10.1016/0261-5606(90)90019-V
  20. Narayan, S. and Narayan, P.K.(2010), "Estimating Import and Export Demand Elasticities for Mauritius and South Africa," Australian Economic Papers, Vol.49, 241-252. https://doi.org/10.1111/j.1467-8454.2010.00399.x
  21. Sims, C.A.(1980), "Macroeconomics and Reality," Econometrica, Vol.48, 1-48. https://doi.org/10.2307/1912017
  22. Thorbecke, W.(2011). "Investigating the Effect of Exchange Rate Changes on China's Processed Exports," Journal of the Japanese and International Economies, Vol.25 No.2, 33-46. https://doi.org/10.1016/j.jjie.2010.12.001
  23. Thorbecke, W. and Smith, G.(2010), "How Would an Appreciation of the Renminbi and Other East Asian Currencies Affect China's Exports?" Review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18 No.1, 95-108. https://doi.org/10.1111/j.1467-9396.2008.0079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