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팅사고력의 역량 탐색 연구: 소프트웨어개발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ompete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Software Developer

  • 박성빈 (성균관대학교 교과교육학과 컴퓨터교육전공) ;
  • 안성진 (성균관대학교 교과교육학과)
  • 투고 : 2016.09.02
  • 심사 : 2016.09.28
  • 발행 : 2016.09.30

초록

소프트웨어 기반의 새로운 기술들이 증가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이 요구 되고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신산업분야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의 분석 및 설계 단계가 중요하며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두개의 독립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소프트웨어 개발자 300명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표준 개발 프로세스" 적용으로 인한 사고의 획일성으로 인해 창의적 문제해결 접근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탐색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IT종사 경력 10년 이상의 소프트웨어 개발전문가 111명을 대상으로 하여 컴퓨팅사고력의 9가지 역량 중에서 어떠한 역량이 소프트웨어 개발전문가에게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추상화가 중요한 역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설계단계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CT의 추상화 역량이 다른 역량의 기본이라고 판단하였다.

Due to increase in software-based new technologies, software developers are being required to creative problem solving. Especially, for a successful business change of software developers into a new industrial field, software analysis phase and design phase are important and it is an important task to strengthen these competences. In this study, two independent researches were conducted. First, a survey with 300 software developers was conducted and it was explored that uniform thinking of software developers caused by application of "standard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made it difficult to approach cre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this finding, the influences of 9 competences of computational thinking on software developers were analyzed after selecting 111 software developers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IT industry.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abstraction was an important competence. The study finding demonstrates that software developers recognized design phase as the most important thing and abstraction of CT is the basics of other compet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지은희(2014). 2014 소프트웨어 산업 실태조사 분석 연구.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2. 김진형(2016).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SW 중심사회'.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칼럼.
  3. 최계영(2013). SW 미래전략.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remuim Report.
  4. 지은희(2015).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경쟁력에 관한 연구.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5. 양병석(2015).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맞은 소프트웨어의 역할 변화. KT 경제경영 연구소, 디지에코 보고서.
  6. 류지성(2011). 소프트웨어 우수 인재 양성.확보를 위한 제언.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7. 나성현(2013). SW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제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Premium Report.
  8. 정경원(2011).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 전략.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29(1), 17-22.
  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CBD SW개발 표준 산출물 관리 가이드. 한국정보화진흥원.
  10. 특허청(2014). 특허청SW개발방법론. 특허청.
  11. Wing J. M. (2012). Microsoft Research Asia Faculty Summit 2012. Microsoft Research.
  12.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
  13. 최숙영(2016).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1).
  14. 이영준 외(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5. 박정희(2014).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6. Malcolm Gladwell(2008/2009). Outliers: The Story of Success. New York: Back Bay Books, 2008/2009, p.44.
  17.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2016). Computer Programmers (http://www.bls.gov/oes/current/oes151131.htm), Bureau of Labor Statistics.
  18. UNITED STATES DEPARTMENT OFLABOR (2016). Software Developers, Applications(http://www.bls.gov/oes/current/oes151132.htm). Bureau of Labor Statistics.
  19.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시행령 (2008). [별표1] 소프트웨어기술자의 기술등급 및 인정범위(제1조의2 관련). 법제처.
  20. 2015년도 적용 SW기술자 평균임금 공표.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2015).
  21. 창조경제 첨병 SW개발자에 연차-학위 따지는 '노임단가표'적용 여전. (2015.1.4). 전자신문.
  22. SW개발자 인건비 산정기준, SW노임등급제에서 NCS로 바뀐다. (2015.5.22). 전자신문.
  23. 국가직무능력표준(2014). 표준 및 활용 패키지, 소분류:정보기술개발, 세분류(직무):응용 SW엔지니어링. 고용노동부.
  24. 양단희(2014).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5(2).
  25. 권정인(2013).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교수-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6. CSTA(2011). Computational Thinking teacher resource second edition (http://csta.acm.org/Curriculum/sub/CompThinking.html).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CSTA)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ISTE).
  27. 송영재(2004). 소프트웨어공학: 객체지향모델링과 CBD중심. 이한출판사, 251-256.
  28. 김석전, 전용주, 김태영(2016). Google CT 수업지도안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20(1), 67-71.
  29. 최은만(2007). 소프트웨어공학(4차개정판). 정익사, 172-179.
  30. 김치수(2015). 쉽게 배우는 소프트웨어공학. 한빛아카데미.
  31.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