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역사 서술과 공간의 표상 - 영화 <군중낙원>을 중심으로

Post-Historical Description and Spatial Attribute - Focusing on the Movie Paradise in Service -

  • 투고 : 2016.05.10
  • 심사 : 2016.06.08
  • 발행 : 2016.06.30

초록

이 글은 특정 시기 타이완의 현대사를 다룬 영화 <군중낙원>의 영화적 서사 구축방식과 탈역사적 서술 양상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군중낙원>은 어떠한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역사적 사건의 의미를 보여준다거나 공식 역사적 담론 속에서 과거를 해석하려 하기 보다는, 그 시대를 살아간 인간들의 고뇌와 아픔에 주목하는 서술적 특징을 갖고 있다. 즉 거대 역사 서술적 맥락에서 서사를 구성하거나 리얼리즘적 관점에서 진지함을 견지한 성찰적 태도로 현실을 바라보려는 영화적 태도에서 벗어났다. 때문에 이전 시기 타이완 뉴웨이브 영화들과는 다른 면모를 갖게 되었고 역사 서술 텍스트로서 탈역사적 논의에 의해 새로운 담론장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 영화는 탈역사적 서술을 위한 하나의 방식으로 공창이라는 특수한 공간을 통한 판타지를 창조하려 했다. 뉴청저는 영화 속에서 공창을 국가 권력과 시대 배경하에 억압당한 남성을 위로하는 곳으로 묘사했지만 남성들을 위해 희생되는 여성의 공간으로 그리진 않았다. 따라서 이 영화가 시대와 역사적 비극에 의해 곤경에 처한 보편적인 인간들의 미시적 역사를 복원시키려 했다면, 그 대상은 남성에만 해당되는 것이지 또 다른 약자인 여성은 배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군중낙원>은 영화의 재현에 의해 역사와 시대에 관한 서술이 어떻게 공식 역사적 담론과 집단의 기억을 균열내고 개개인의 서사에 주목하여 어떻게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는지 그 일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고 있지만 동시에 남성중심주의적 서술에서는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를 낳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arrative-building method and the post-historical descriptive aspects of the movie Paradise in Service, which deals with the modern history of Taiwan. Although Paradise in Service tells the history of a certain time period, it focuses on the anguish and agony felt by people who lived during that age rather than on the meaning of historical events or interpretation of the past in terms of official historical discourse. That is, as it avoids looking at the present by composing a narrative in the descriptive historical context and from bearing weight from the viewpoint of realism, it gain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new field of discourse through a post-historical discussion using descriptive historical texts. However, the movie tries to create fantasy through a special type of licensed prostitution as a means of post-historical description. In other words, when this movie tries to reproduce the microscopic history of common people in trouble because of a historical tragedy, it considers only men and excludes "weak" women. Thus, although Paradise in Service has meaning in that it gives an example of how movies can disrupt official historical discourse and group memory and rewrite history by focusing on individuals, it is limited by its male-centris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