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useness of Rimbaud's Barbare : Autotextuality and Meaning

랭보의 「야만」의 난해성 : '자기텍스트성'과 '의미'

  • Received : 2016.05.10
  • Accepted : 2016.06.08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Rimbaud's prose poem, Barbare in Illuminations, is known for its abstruseness with regard to forms, themes, metaphors.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poem's grammatical structure to make sense of such an inscrutable piece of work, then discusses its autotextuality in order to decipher its meaning by comparison with Rimbaud's other works. Autotextuality, a method of literary interpretation of Rimbaud's prose poem presented by Steve Murphy, refers to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author's works. Despite some previous researches focusing on the intertextuality of Barbare, previous authors have failed not only to find its meaning but also to determine its significance. The abstruseness of Rimbaud's Barbare is sometimes considered an example of the meaningless of Rimbaud's work. However, examining the textual structure and the autotextuality builds meaning, rather than rendering the work meaningless. Barbare which consists entirely of noun phrases and metaphors means destruction, fusion and the pure power of regeneration in the original context of Rimbaud's work. This poem is Rimbaud's answer to Baudelaire's poetic question, Any of where out of World, and presents a strange scenery that uses 'the eternal female voice' to reach the Vulcan in the North Pole. Interpretation of Barbare could provide a methodology for reading the difficult Illuminations. The kind of analyses used are, for example, analysis of the text, analysis of verbal indicators, autotextuality, and an understanding of the joy and the solitude in the silence of the poem. Understanding Barbare may provide a method of interpreting the abstruseness of Illuminations. Through this approach, we can connect and combine every fragment of the Illuminations, so that we can reconstruct the story and the adventure contained therein.

랭보의 산문시집 "일뤼미나시용"의 "야만"은 형식이나 주제, 비유 등이 난해한 시로 유명하다. 본고는 작품의 난해성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문법적 구조를 분석하였고, 그런 다음 시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저자의 다른 작품과 비교하는 자기텍스트성을 분석하였다. 자기텍스트성은 스티브 머피가 제시한 랭보 산문시 해석의 방법론으로서 저자의 작품과 맺는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말한다. "야만"의 경우 일반적 상호텍스트성의 연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시의 의미를 크게 규명하지 못한다고 본다. "야만"의 난해성은 무의미 시의 예로 간주되기도 한다. 하지만 시 구조 분석과 자기텍스트성을 통해 볼 때, "야만"은 무의미가 아니라 의미를 구축하고 있다. 이 시는 일반적 운문시나 산문시와 달리 전체가 명사 구문의 비유로만 이루어져 있다. "야만"은 랭보 고유의 문맥에서 파괴, 화합, 재생의 순수한 힘을 의미한다. "야만"은 보들레르의 "이 세상 끝 어디라도"에 대한 랭보 식 답으로, 북극의 불카누스의 화산에 도달하는 영원한 여성의 목소리로 대변되는 현장이라 할 수 있다. "야만"의 읽기는 "일뤼미나시용"의 난해성을 읽어내는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 우리는 "야만"의 언어적 지표의 분석과 자기텍스트성, 그리고 시가 침묵하고 있는 희열과 고독의 이해가 하나의 접근법이 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접근법을 통해 우리는 "일뤼미나시용"의 파편을 개개의 방식으로 연결하고 조합해서 파편들의 스토리를, 모험을 재구성할 수 있으리라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