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ct 9 : Science Fiction as Social Critique

<디스트릭트 9> 사회비평으로서의 공상과학

  • Cho, Peggy C. (Kyung Hee University)
  • Received : 2016.02.09
  • Accepted : 2016.03.10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District 9, a film released in 2009, reworks the sci-fi genre to explore the human encounter with "other" alien populations. Like Avatar, released in the same year, District 9 addresses the tropes of conflict over land and human-alien hybridity and introduces non-humans and aliens, not as invaders, but as objects of human oppression and cruelty. Unlike many other science fiction films where the encounter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occurs in an unidentifiable future time and location, District 9 crosses genre barriers to engage with urban realism, producing a social critique of contemporary urban population problems. The arrival of aliens in District 9 occurs as part of the recorded human past and the film's action is carried out in the present time in the specifically identified city of Johannesburg. A distinctly anti-Hollywood film that locates the action at the street level, District 9 plays out human anxieties about contact with others by referencing the divisions and conflicts historically attached to South Africa's sprawling metropolis and its current problems of urban poverty and illegal immigrants. Focusing on how this particular urban setting frames the film, the study investigates the ways Blomkamp's sci-fi film about extra-terrestrials presents a curious postcolonial mix of aliens and immigrants surviving in abject conditions in an urban slum and forces a realistic examination of the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faced by South Africa's largest city and by extension other major global cities. The paper also examines the film's representation of the human-alien hybrid and its potential as a force to resist human exploitation of the other. It also claims that though the setting is highly local, District 9 speaks to a wider global audience by making obvious the exploitative practices of profit-seeking multinationals. A sci-fi film that is keen on making a social commentary on urban population conflicts, District 9 resonates with the wider sense of insecurity and fear of others that form the horizon of the uncertain and potentially violent contemporary human world.

이 연구는 2009년에 개봉한 영화 District 9이 인간과 외계인의 접촉을 주제로 삼는 SF 장르를 재작업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같은 해에 개봉한 영화 Avatar처럼 District 9은 인간과 외계인 간의 갈등과 혼종성의 문제를 재고하고 인간과 대비되는 비인간들을 침략자가 아닌, 인간들의 억압과 잔인함의 대상으로 소개한다. 많은 공상과학 영화가 불분명한 미래의 시점에서 발생하는 반면, District 9 영화는 SF 장르의 경계를 넘어 도시 리얼리즘을 가까이 하며 현재의 도시 인구 문제들에 대한 비평을 제공한다. 외계 생명체는 인간의 기록된 과거의 한 부분으로 등장하게 되며 이 영화의 사건은 명확하게 확인되는 현재 시점과 요하네스버그라는 잘 알려진 도시에서 발생된다. 명백한 반-할리우드 영화인 District 9은 남아프리카의 대도시와 역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분열과 갈등, 그리고 도시 빈곤과 불법 이민의 문제점들을 다루면서 타자와의 접촉에 대한 인간의 불안감을 탐구한다. 이 논문은 이 특정 배경이 어떻게 이 영화를 구성하는지 그리고 외계인들이 도시 슬럼가의 비참한 환경에서 인간 이주민들과 혼합체를 이루며 도시 인구 정책아래에 생존하는 과정을 그려내면서 남아프리카의 가장 큰 도시와 오늘날의 대도시들이 직면한 현대의 사회 문제점들의 현실적인 검토를 어떻게 유도하는지를 들여다본다. 또한 이 논문은 이 영화에서 나타난 인간과 외계생물체 간 이루어진 하이브리드를 통해 타자에 대한 인간의 착취에 저항하는 힘으로써의 잠재력에 대해 살펴본다. 비록 이 영화의 배경은 매우 지역적이지만, District 9은 영리를 추구하는 다국적기업의 명백한 착취의 관습을 그려냄으로써 보다 더 넓은 범위의 세계 관객에게 일침을 가하기도 한다. SF 영화이면서 도시 인구 충돌에 대해 사회 비평을 시도하는 영화 District 9은 불안정감과 타자에 대한 공포감이 가득한 불확실하고 잠재적 폭력성을 가진 현대 인간 세계를 그리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