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logical Utopia of the World in Mayan Popol Vuh.

마야의 경전 『포폴 부』에 구현된 심층생태학적 유토피아

  • Received : 2016.02.10
  • Accepted : 2016.03.10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is paper closely examines Popol Vuh, regarded as the Bible of the Maya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ep Ecology. Deep ecology is a concept born out of the criticisms on the existing environmental movements as superficial, and encourages the moral and ethical change of the man's attitude towards the nature, inevitably becoming "metaphysical" in character. As such the Deep ecology advocates the break away from the anthropocentricism, the dichotomous thinking and the rationalism of the modern times. Popol Vuh is a text that contains such concepts and it requires an analysis from the Deep ecological perspective beyond the existing framework of the study that simply focuses on mythological elements.

본 논문은 마야인의 성서라고 일컬어지는 "포폴 부"를 심층생태학(Deep ecology)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작업으로 준비되었다. 기존의 "포폴 부" 연구가 신화 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져왔고 무엇보다 마야의 창조 신화에 대한 우화적 요소를 소개하는 형태로 전개되어온 만큼 "포폴 부"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찾기 어려운 생태학점 관점에서 마야-키체의 경전을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신화에 가려진 포폴 부의 민낯을 찾아가는 궤적이 될 것이다. 생태학 혹은 심층 생태학적으로 작품을 고찰하고자 한 것은 무엇 보다 "포폴 부"가 다른 문화권의 창조 신화와는 층위가 다른 생태인식을 배태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심층생태학은 기존의 환경운동을 표층생태학이라고 비판하면서 태동한 개념으로, 자연을 대하는 인간 자신의 도덕적, 윤리적 변화를 촉구하는데, 이 때문에 필연적으로 '형이상학적' 차원의 성격을 띠게 된다. 이렇듯 심층 생태학은 무엇보다 근대 이후의 인간중심주의, 이분법적 사고, 이성중심주의를 탈피할 것을 주창한다. 마야의 "포폴 부"도 이러한 인식을 담아낸 텍스트로 심층생태학적 분석을 통해 이 작품에 내재한 유토피아적 세계관을 살펴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