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inese Utopia Literature - TaohuaYuanji & Renmiantaohua

'대동(大同)'과 '도화원(桃花源)'이후 유토피아는 어떻게 재현되는가 - 격비(格非)의 「인면도화(人面桃花)」에 대한 일고(一考)

  • Received : 2016.02.10
  • Accepted : 2016.03.10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Since the Taoyuanming of Confucius an Arcadia (Taohuayuan), utopia imagined in China has continued to this day. Such utopian imagination has been shaped by a variety of literary texts. These works depict the human desires and frustrations that form the utopian imagination. Typically, an Arcadia (Taohuayuan) has been recognized as a symbol of East Asian utopia. An Arcadia (Taohuayuan) anarchism is the utopian character of this small country, based on sensitization of the Lao strong. An Arcadia (Taohuayuan) world ruling class does not exist. But Confucius thought a utopian world is possible to imagine on the premise of 'Virtuous Policy' (德治). By the late Qing Dynasty (淸末), Kangyouwei (康有爲) had written and presented a utopia realized through the system of the "East-West stand." The literary text on utopia information in continued to experiment with implementation of the 'imagined' in the literature as "reality" of everyday life, immediately following the 1911 revolution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s an Avant garde writer, Gefei's "Renmiantaohua" was influenced by the reflexive nature of the report on the point of the experiment. Gefei's "Renmiantaohua" has been rated as an outstanding work depict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frustration of the utopian imagination. He is an inspiration to vanguard artists who focus on the desire and the frustration of the utopian imagination through the "Renmiantaohua" myths and stories that are comparable to the Sijipuseu story, which in itself perpetuates utopia in literature. In this paper, we explored the trails to implementation of a utopian imagination that has persisted since the ancient Chinese in current literary text. An Arcadia (Taohuayuan) of Confucius and Taoyuanming accompanied Gefei in the 21st century in describing the process of desire and frustration to realize utopia through a variety of traditional shape figures among other favorites. The author interprets those frustrations and desires of the human life course as just utopian imagination.

공자의 대동(大同)과 도연명(陶淵明)의 도화원(桃花源) 이후 중국의 유토피아 상상은 오늘날까지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유토피아 상상은 다양한 문학텍스트로 형상화되어 왔으며 이 작품들은 유토피아 상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과 좌절을 묘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화원(桃花源)'은 동아시아적 유토피아의 표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도화원(桃花源)은 노자의 소국과민을 바탕으로 하는 무정부주의 성격이 강한 유토피아이다. 도화원(桃花源)은 통치계급이 존재하지 않는 세상이다. 그러나 공자가 이상향으로 생각했던 대동(大同)세상은 덕치(德治)를 전제로 상상 가능한 세상이다. 청말(淸末)에 이르러 강유위(康有爲)는 "대동(大同)서"를 저술하고 이 가운데 제도를 통해 현실화된 유토피아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문학텍스트로 정전화 되었던 유토피아는 신해혁명 이후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에 이르기까지 문학 속의 '상상'을 일상의 '현실'로 구현하고자하는 실험이 계속되었다. 거페이의 "인면도화(人面桃花)"는 바로 그 실험의 지점에 대한 성찰적 보고서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다. 거페이의 "인면도화(人面桃花)"는 이러한 유토피아적 상상의 구현과정과 좌절을 묘사한 뛰어난 작품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선봉파 작가로서 거페이는 "인면도화(人面桃花)"를 통해서 유토피아적 상상의 욕망과 좌절을 시지프스의 신화와 같음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그 자체로서 유토피아는 끊임없는 생명력을 지니고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대 중국 이후 지속되어온 유토피아적 상상을 현실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흔적들을 문학텍스트 가운데서 탐색하고자 한다. 공자의 대동(大同)과 도연명(陶淵明)의 도화원(桃花源) 이후 21세기에 이르러 거페이는 작품가운데서 다양한 인물형상을 통해 전통적 유토피아를 실현시키고자 하는 욕망과 좌절의 과정을 묘사하였다. 작가는 그 좌절과 욕망의 과정이 바로 인간의 유토피아 상상의 생명력임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