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istential-Practical Perspective of Nietzsche's Philosophie

니체철학의 실존적-실천적 관점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6.01.15
  • Accepted : 2016.02.21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Friedrich Nietzsche's philosophy embraces characteristics of existential philosophy and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his book "Thus Spoke Zarathustra", Nietzsche defined human beings as an existence with innate possibility for change, beings that stand at the borderline between "the last man" and "the ${\ddot{u}}bermensch$", raising a question over the meaning of human being's existential healthiness. The anthropological symptoms that Nietzsche's philosophy deals with trigger existential problems, and healing these anthropological symptoms is a precedent to healing an existence. In Nietzsche's philosophy, the ${\ddot{u}}bermensch$ is presented as a prototype of practical man with a healthy existence, born from endeavors to heal the last man prototype of a decadence that was prevalent throughout Europe at the time. Nietzsche found the root cause of nihilism found in Europe in philosophy, religion, metaphysics, and Christianity, and attempted a genealogical investigation on this aspect. In so doing, a philosophical problem surfaced whereby only one truth was used to force diverse existential styles into a uniform style. Nietzsche intensively criticized philosophy and philosophers that only studied truths from metaphysical-Christian-moral perspectives, as they overlooked the foundation of true existence and presented human beings of a feeble mind and will as a result. Nietzsche emphasized the practical role of philosophy that can contribute to the human being's ascent and growth based on realistic conditions of human existence described as the earth, that philosophy that can serve as a basis for existential transformation of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The task of philosophers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possibility of changes for all human beings and their realization. This existential practical foundation of philosophy can be called the ${\ddot{u}}bermensch$, as it is healthy man, the "greatest reality" as Nietzsche desired.

니체의 철학은 실존철학과 철학적 인간학의 특징을 포괄하고 있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인간을 "마지막 인간"과 "위버멘쉬"의 경계에 서있는 내재적 변화가능성의 존재로 설정함으로써, 니체는 인간의 실존적 건강함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 그의 철학에서 문제시되는 인간학적 증상들은 실존의 문제를 유발하며, 실존의 치유는 인간학적 증상의 치유를 전제로 한다. 이때 위버멘쉬는 당시 유럽에 만연했던 데카당스적 인간 유형으로 대변되는 마지막 인간에 대한 치유의 시도 속에서 도출된 건강한 실존을 가진 실천적 인간유형으로 제시된다. 니체는 유럽의 허무주의적 병의 근원을 철학과 종교(형이상학과 그리스도교)로 규정하며, 이에 대한 계보학적 탐구를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단하나의 진리로 다양한 실존의 양식을 획일화해 온 철학과 철학자의 문제가 드러난다. 니체에게 있어 형이상학적-그리스도교적-도덕적 진리만을 탐구해 온 철학과 철학자는 참된 실존의 토대를 간과함으로써 나약한 정신과 의지의 인간을 산출했다는 측면에서 강한 비판의 대상이 된다. 니체는 대지로 명명된 인간 실존의 현실적 조건 위에서 그의 삶의 상승과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철학, 다시 말해 인간과 삶의 실존적 변화의 토대로 작용할 수 있는 철학의 실천적 역할을 강조한다. 이때 철학자들의 과제는 모든 인간에게 적용될 수 있는 변화의 가능성과 이를 위한 실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철학의 이러한 실존적-실천적 토대 위에서 비로소 건강한 인간유형으로서의 위버멘쉬는 니체의 바람처럼 "최고의 현실"이 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