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수업 ICT 콘텐츠에 관한 연구

Study on ICT utilization contents for physical education

  • 투고 : 2016.08.22
  • 심사 : 2016.09.28
  • 발행 : 2016.09.30

초록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서의 ICT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학교 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체육수업 ICT 콘텐츠 구성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체육과에서의 ICT 활용 교육은 열약한 체육교육 시설 및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운동 기능 습득에 있어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높다. 체육수업에서의 ICT 활용의 유형은 웹 활용 학습과 응용 프로그램 활용 학습으로 나누어 활용되고 있다. 체육 이론수업 ICT 콘텐츠 구성 시 서버를 통해 각 학생들에게 해결해야할 문제를 제시하고 협동학습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팀 토론을 통해 학습문제 해결 방안을 결정 정리하여 서버를 통해 게시하면 교사와 다른 팀들은 발표된 의견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반면 실기 단원 수업일 경우는 VTR자료나 컴퓨터 S/W를 활용하여 동작의 구체적 원리 등의 익힌 후 수업에 임한다. ICT와는 가장 거리가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던 체육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전환과 함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이 겸비된다면 체육교육에서도 폭넓은 ICT 활용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ICT utiliz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presented the available physical education ICT contents configuration model. Using ICT in physical education is expected to be an alternative of overcome the bad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also highly utilized as a valuable material that can provide specific feedback in learning motor skill. The types of ICT us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being utilized divided by web-use learning and application program-use learning. In composing physical education ICT contents, the server presents a problem to be solved by each student and encourage cooperative learning. If one team determines the solving idea about learning problem through team discussion, they solve the problem by repeating the process of giving teacher and other team's feedback on determining opinion. On the other hand, the class begins after learning the principle of specific movement utilizing the VTR or computer S/W in the practical training lesson of physical education. If the good hardware and software environment combine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recognition on physical education which has been away from the ICT, it will be able expected a broad using of ICT in physical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명수, 최흥섭, 박문수,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실시간 영상정보 피드백을 제공한 수업 사례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WP16권, 제2호, pp. 61-69, 2010.
  2. 김선미, "체육 교과 교수 - 학습을 위한 ICT 활용 방법", 체육과연수자료.
  3. 김시형, "중등학교 체육교사 ICT 활용 수업의 방해 요인 개선방안", 스포츠과학논문집, 제22권, pp. 55-82, 2010.
  4. 배경숙, "인터넷 교수-학습센터에 탑재된 체육과 자료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 손준구, "초등학교 체육수업을 위한 ICT 활용가능성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7집, 제2호, pp.69-78, 2001.
  6. 안성훈, "ICT 활용 교육을 위한 문제 중심 학습의 교육용 컨텐츠 모델 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권, 제1호, pp.7-15, 2002.
  7. 안성훈, 구본주, 고대곤,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9호, pp. 141-151, 2006.
  8. 유인환, ICT와 문제 해결 과정의 통합에 기반한 정보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9. 이기은, 양해술, "ICT 학습을 활용한 이미지 트레이닝이 운동기능 향상 및 수업태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 2837-2845,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10.2837
  10. 이경남, "ICT 기술이 교육부분메 미치는 변화 및 시사점", 정보통신방송정책, 제28권, 제2호, pp. 1-14, 2016.
  11. 이태욱, "ICT활용 교수-학습 방법 연구: 중학교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2001.
  12. 임두희, "초등 체육과 수업에서의 ICT 활용 방안", 체육과연수자료
  13. 전현욱, "체육교육과 삶: 다중지능 이론과 e-Learning을 활용한 인라인스케이트 수업 사례 연구", 제22권, 제1호, pp. 152-167, 2006.
  14. 정준상, "중학교 체육수업의 ICT활용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15권, 제1호, pp. 137-157, 2008.
  15. 허명현, 김동호, "공간증강현실 기반 스포츠 클라이밍 학습 콘텐츠 사용유무에 따른 근활성도 비교 분석", 2016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제1호, pp. 875-878,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