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구 도시철도 경산 연장에 따른 대구-경산 간 대학생 통학통행의 도시철도 전환수요 분석 - 개통 전 SP모형과 개통 후 RP모형의 비교 -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Modal Shift for Commuting Trip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Urban Rail Transit in Gyeongsan City - Comparison between SP Model Before the Introduction and RP Model After the Introduction -

  • 투고 : 2016.09.12
  • 심사 : 2016.10.07
  • 발행 : 2016.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구 도시철도 경산 연장에 따른 대구-경산 간 대학생 통학통행의 도시철도 전환수요를 분석하기 위해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종착역(영남대역)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영남대학교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대학생들의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과 후의 교통수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면서 경산시에 위치한 영남대학교로 통학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과 후의 통학통행을 위한 교통수단 선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개통 전(2011년) SP자료와 개통 후(2013년) RP자료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SP자료와 RP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교통수단별 도시철도 전환율을 분석하고, 도시철도로의 전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두 가지 자료(SP자료와 RP자료)를 활용하여 별개의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분석결과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개통 전(2011년) SP자료와 개통 후(2013년) RP자료 모두에서 스쿨버스와 버스의 도시철도 전환율이 승용차의 도시철도 전환율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SP자료를 활용한 로짓모형 추정결과 통행시간 절약 변수가 도시철도 전환 여부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된 반면, RP자료를 활용한 로짓모형 추정결과는 거주지(거주지 동의 도시철도 통과 여부) 변수가 도시철도 전환 여부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modal shift for commuting trip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urban rail transit in a satellite city of metropolitan area. The paper uses SP(2011)/RP(2013) data collected from Yeungnam University in Gyeongsan City, which is a satellite city of Deagu Metropolitan City. So far few researches, especially using before-and-after individual SP/RP travel survey, have been conducted on analyzing university students' modal shift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urban rail transit. For this research,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Furthermore, some empirical logit models were estimated for analyzing factors affecting the modal shift. Finally, some import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Th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rom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of SP and RP data, it is found that the rate of modal shift to rail transit is relatively high especially for bus travellers. Furthermore, from the empirical SP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time sav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modal shift to urban rail transit. On the other hand, from the empirical RP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residential lo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modal shift to urban rail transi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우철 외 8인 편저, 2000, 통계학 개론, 최신 개정판, 서울: 영지문화사.
  2. 김익희.김영진, 2007, 경부선(KTX) 직결운행 도입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Vol. 25, No. 5, pp. 91-100.
  3. 김진희.정진혁.손기민, 2010, 잠재변수를 이용한 RP/SP 결합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Vol. 28, No. 4, pp. 119-128.
  4. 박용화.김연명.오성열, 2004, 고속철도 개통으로 인한 항공수요 변화에 대한 추정, 대한교통학회지, Vol. 22, No. 6, pp. 47-54.
  5. 윤대식, 2001, 교통수요분석, 서울: 박영사.
  6. 윤대식.박준호, 2011a, 대구 도시철도 경산시 연장에 따른 통행수단 변화 분석, 지역연구, Vol. 27, No. 2, pp. 43-62.
  7. 윤대식.박준호.유혜미, 2011b, 도시철도 연장에 따른 대도시 주변 위성도시 시민들의 도시철도 전환수요 분석, 교통연구, Vol. 18, No. 4, pp. 35-46.
  8. 윤대식.육태숙.윤성순, 2005, 경부 고속철도 2단계 개통후 대구시민의 지역간 통행수단 선택행태와 전환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Vol. 40, No. 5, pp. 113-127.
  9. 이영헌.박병현.김명수.도명식, 2003, 지하철 도입에 따른 교통수단선택 모형 개발, 2003년도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33-37.
  10. 임삼진.임강원.이영인.김경희, 2008, 저비용 항공 진입에 따른 항공과 고속철도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Vol. 26, No. 4, pp. 51-61.
  11. 정병두.김현.황영기, 2009, 급행철도 도입에 따른 전환수요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Vol. 27, No. 3, pp. 131-140.
  12. 조응래.박경철.김점산, 2008, 광역철도 개통에 따른 대중교통 수요변화의 실증적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Vol. 26, No. 1, pp. 25-35.
  13. Dueker, K. J. and Bianco, M. J., 1999, Light Rail Transit Impacts in Portland: The First Ten Years, Paper presented at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78th Annual Meeting, January 10-14, Washington, D.C.
  14. Fujii, S. and Garling, T., 2003, Application of Attitude Theory for Improved Predictive Accuracy of Stated Preference Methods in Travel Demand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7, pp.389-402.
  15. Golias, J. C., 2002, Analysis of Traffic Corridor Impacts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New Athens Metro System,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0, pp. 91-97. https://doi.org/10.1016/S0966-6923(01)00033-3
  16. Knowles, R. D., 1996, Transport Impacts of Greater Manchester's Metrolink Light Rail System,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4, No. 1, pp.1-14. https://doi.org/10.1016/0966-6923(95)00034-8
  17. Vuk, G., 2005, Transport Impacts of the Copenhagen Metro,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3, pp. 223-233. https://doi.org/10.1016/j.jtrangeo.2004.1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