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cocious puberty girls and Comparison Analysis of GnRH Test results with Diagnosis type

성조숙증 여아들의 임상적 특징 및 진단별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GnRH (Gonado Tropin Releasing Hormone) 검사결과의 비교분석평가

  • Kim, Jung-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Kwon, Won-Hy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Moon, Ki-Ch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Lee, In-W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김정인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핵의학과) ;
  • 권원현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핵의학과) ;
  • 문기춘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핵의학과) ;
  • 이인원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6.09.26
  • Accepted : 2016.10.05
  • Published : 2016.10.29

Abstract

Purpose Precocious Puberty is defined as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in girls younger than 8 years, and boys 9 years. Cause premature closure of the epiphysis is a disease that eventually decreases the final adult height. 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difference the 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results with medical records of precocious puberty in girls.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15 to December 2015 it was enrolled in the girls 118 people who visite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Pediatrics, Endocrinology Internal Medicine. True precocious puberty group (n=57), early puberty group (n=39), were divided into Premature thelarche (n=22) group. A Tanner stage, chronological age, bone age, height, body weight for each group was determined by examining the mean${\pm}$standard deviation. GnRH test result was compared LH (Basal, 30 min, 45 min, 60 min), FSH (Basal, 30 min, 60 min) for each group, Each group LH, FSH Peak value distribution, the mean${\pm}$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for the peak LH/LH basal ratio, peak LH/Peak FSH ratio.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P-value) between the value of each third group was determined. Results The average height of the true precocious puberty group $131{\pm}14.85$, the mean weight was $28.80{\pm}4.93$, the average chronological age $7.1{\pm}0.81$, the mean bone age was $9.9{\pm}0.9$, The average height of early puberty group was $134{\pm}5.10$, the average weight $28.50{\pm}4.43$, the average chronological age $8.05{\pm}0.03$, the mean bone age was $10.0{\pm}0.62$, The average height of Premature thelarche $129{\pm}6,01$, the average weight was $28.65{\pm}5.98$, the average chronological age $7.02{\pm}0.58$, the mean bone age was $8.04{\pm}1.2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to the height and weigh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chronologic age and bone age difference (P <0.0002) True precocious puberty group showed peak LH levels at 30'(82.5%), 45'(12.3%), 60'(5.3%), in Peak FSH 30'(8.8%), 60'(91.2%). Early Puberty group showed high values in Peak LH at 30'(79.5%), 45'(17.9%), 60'(2.6%), in peak FSH levels at 30'(7.7%), 60'(92.32%). In Premature thelarche Group it showed the Peak LH levels at 30'(30%), 45'(59%), 60'(9.09%), Peak FSH levels at 30'(0%) 60'(100%). When compared with the The Peak LH/basal LH ratio, True precocious puberty group was $19.09{\pm}17.15$, early puberty group was $15.23{\pm}10.88$, Premature thelarch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as $4.93{\pm}4.36$.(P <0.0001) LH Peak/FSH Peak ratio, true precocious puberty group was $1.222{\pm}0.77$, early puberty group was $1.34{\pm}1.23$, Premature thelarch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as $0.3{\pm}0.09$(P <0.0001) Conclusion In order to diagnose the true precocious puberty have a diagnostic value when the LH peak after GnRH stimulation is increased by more than two to three times compared to baseline or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an 5~10 IU/L increases. GnRH Test is a test for a long time and the patient discomfort due to repeated blood sampling, but the hypothalamus-pituitary gland- gonad axis activity evaluate and is the most basic accurate test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recocious puberty disorders.

1. 목적 성조숙증은 2차성징의 발달이 여아에서는 8세 이전 남아에선 9세 이전에 조기 2차성징이 출현하는 증상으로 골단의 조기 폐쇄를 일으켜 결국 최종 성인 신장의 감소를 가져오는 질환이다. 본 연구는 성조숙증으로 내원한 여아들의 GnRH(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자극검사 결과와 의무기록을 후향 분석하여 진단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 방법 2015년 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 내분비내과를 내원한 여아 1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후향 분석하여 대상 환아들은 진성 성조숙증(true precocious puberty) 57명, 조기사춘기(early puberty) 39명, 유방 조기발육군(premature thelarche) 22명을 진단별로 분류하였다. 진단 당시의 신장, 체중, Tanner stage, 골연령, 역연령, 부모의 키, GnRH 검사에서 LH, FSH와 E2 (Estradiol) Basal 값도 함께 조사하였다. 성선 자극호르몬 결과값 LH (Basal,30min,45min,60min) FSH(Basal,30min,60min)을 비교하여 각 그룹별 LH, FSH Peak치 분포도와 LH 최고치/LH 기저치 비율에 대한 평균${\pm}$표준편차와 LH 최고치/FSH 최고치 비율에 대한 평균${\pm}$표준편차를 비교하여 각 3그룹 간 유의확률(P-value) 값을 구하였다. 골연령의 측정은 Greulich-Pyle법(왼쪽 수근골 X선 사진을 촬영하여 골성숙도를 평가하는 방법- 6개월 단위의 표준손목사진을 보고 비교해서 골연령을 유추하는 방식)을 이용한 소아 청소년 내분비내과 교수가 직접 판독한 결과로 사용하였고 GnRH 검사는 합성 LHRH 100 ug을 정맥 주사하여 LH는 Basal, 30분, 45분,60분 후에 채혈된 결과값과 FSH는 Basal, 30분, 60분후에 채혈된 결과값을 조사하였다. 3. 결과 진성성조숙증그룹의 평균 키는$131{\pm}14.85$, 평균체중은 $8.80{\pm}4.93$, 평균역연령은 $7.1{\pm}0.81$, 평균 골연령은 $9.9{\pm}0.9$, 조기사춘기 그룹의 평균키는 $134{\pm}5.10$, 평균체중은 $28.50{\pm}4.43$, 평균역연령은 $8.05{\pm}0.03$, 평균 골연령은 $10.0{\pm}0.62$, 유방조기발육군의 평균 키는 $129{\pm}6,01$ 평균체중은 $28.65{\pm}5.98$, 평균역연령은 $7.02{\pm}0.58$ 평균 골연령은 $8.04{\pm}1.29$로 세 그룹간에 키와 체중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역연령(P < 0.0001), 골연령( P< 0.0001), 골연령과 역연령과의 차이(P < 0.0002 )에서는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각 그룹별 LH, FSH Peak치 분포도 비교시 진성성조숙증 그룹은 LH 30분-82.5%, 45분-12.3%, 60분-5.3%, FSH 30분-8.8%, 60분-91.2%로 높은 Peak치를 보였고 조기사춘기 그룹은 LH 30분-79.5%, 45분-17.9%, 60분-2.6%, FSH 30분-7.7%, 60분 -92.32%로 높은 Peak치를 나타내었다. 유방조기 발육군 그룹에서는 LH 30분-30%, 45분-59%, 60분-9.09%, FSH 30분 -0%, 60분-100%로 Peak치를 나타내었다. LH Peak/LH basal ratio 비교시 진성성조숙증 그룹은 $19.09{\pm}17.15$, 조기사춘기 그룹은 $15.23{\pm}10.88$ 유방조기 발육군 그룹은 $4.93{\pm}4.36$으로 3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01). LH Peak/FSH Peak ratio 비교시 진성성조숙증 그룹은 $1.222{\pm}0.77$, 조기사춘기 그룹은 $1.34{\pm}1.23$ 유방조기 발육군 그룹은 $0.3{\pm}0.09$로 3 그룹간 유의한 차이(P < 0.0001)를 보였다. 4. 결론 여아들의 진성성조숙증을 진단하기 위한 GnRH Test 검사는 자극 후 30분과 60분 사이에 LH 최고치가 기저치에 비해 2~3배 이상 증가 되어 있거나 또는 5~10 IU/L 이상 증가되었을 때 유용한 판정 자료로 이용 될 수 있는 핵의학 연속검사라고 사료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성조숙증 진료지침(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Clinical Guidelines), 2011.
  2. 중추성 성조숙증 진단시 역연령과 골연령의 관계,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제 10권 제 1호, 2005.
  3. 성조숙증 아동의 임상 및 내분비 검사의 특징,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 제 12권 제 2호, 2007.
  4. 성조숙증의 진단과 최신 치료 경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5. 비전형 유방 조기발육증과 진성 성조숙증 여아에서 임상 및 생화학적 인자의 비교, 대한 소아내분비학회지 :제 14권 제1호, 2009.
  6. 특발성 진성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소아의 원인 및 임상적 분석, 대한한방소아학회지 제 25권 제 2호, 2011.8.
  7. 성조숙증 영아에서 생식샘 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검사 결과의 분석,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52, NO. 12, 2009.
  8. 혹시 우리아이도 성조숙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