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운선 (2015).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교육봉사 참여동기 유형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경북지역 D대학교를 대상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2(1), 111-125.
- 고경희, 김신영, 김은희, 배지희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자녀와의 공감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119-144.
- 권연희 (2013). 유아의 행복에 대한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의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25-537. https://doi.org/10.5934/kjhe.2013.22.4.525
- 권인탁 (2013). 대학평생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1(3), 139-164.
- 김도란, 김정원 (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 김동렬 (2011). 마음의 구조. 서울: 바탕소.
- 김민정, 김정원 (2010).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2), 5-28.
- 김명자, 계선자, 강기정, 김연화, 박미금, 박수선 등 (2009). 아는 만큼 행복한 결혼 건강한 가족. 서울: 양서원.
-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1.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김예리, 박지연 (2010). 장애아동 부모들의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역량강화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4(4), 445-465.
- 김은주, 서영희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육아 경험 연구. 육아지원연구, 7(1), 93-114.
- 김현령, 류수민 (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9(2), 193-209.
- 네이버국어사전 (2016). 동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198300에서 2016년 3월 25일 인출
- 류수민, 이연선, 이소민, 정계숙 (2014).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태 비교에 관한 질적 연구: 생태, 레지오, 몬테소리, 국공립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34, 365-397.
- 미래가족연구회 (2011). 결혼과 가족. 서울: 양서원.
- 민성혜, 김경은, 김리진 (2011).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아동학회, 32(1), 31-49.
- 반신환, 유옥 (2011). 결혼과 가족. 서울: 동문사.
- 박근주, 김연진 서명은, 윤매자, 이종숙, 조경옥 (2012). 영유아기 부모역할을 위한 부모교육. 서울: 양서원.
- 박정모, 김은주 (2004). 영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모성역할 긴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4(2), 235-242.
- 변경애, 김은주 (2013). 어머니 학습공동체의 경험이 영유아기 자녀, 가정, 지역사회에 주는 의미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121-145.
- 변혜정 (1991). 임신에서 초기양육까지의 어머니일 수행 경험으로 인한 어머니로의 적응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대졸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미선, 최병진, 윤숙영 (2013). 원예활동이 중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6(2), 53-59.
- 송승민, 도현심, 김민정, 김수지, 윤기봉, 김정은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참가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133-158.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4.133
- 안도희, 박귀화, 정재우 (2008). 자율성 지지, 기본적 욕구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5(5), 315-338.
- 우민정, 주봉관 (201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과정에서 겪는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3), 147-168.
- 윤수정 (2015). 영아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의 매개 및 중재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95, 173-193.
- 이경숙 (2015).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베트남이주여성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다문화교육연구, 8(1), 107-131.
- 이기숙, 박은혜, 김희진, 김현정 (2004). 우리나라 유아의 하루일과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3), 163-188.
- 이석진, 이승진 (2015). 성인 평생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평생학습사회, 11(4), 165-193.
- 이승하, 배정호 (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수준과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및 감각추구와의 관계. 교육연구논총, 37(1), 299-323.
- 이종훈, 김성환 (2014). 학습공동체 교수자의 조직학습 구축과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Andr 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7(4), 231-251.
- 이하정 (2015). 유치원 부모소모임 참여를 통해 나타나는 어머니들의 경험과 변화. 유아교육학논집, 19(4), 295-320.
- 이현, 이정숙 (2003). 집단활동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의 자존감과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사회극과 집단미술치료를 기초로. 한국영유아보육학, 34, 215-244.
- 임지혜, 문혜련 (2015).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4(2), 175-199.
- 장윤창 (2010). 어머니 배구 동호인의 참여를 통한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1), 287-300.
- 전춘애, 박성연 (1996).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5), 115-129.
- 정계숙, 김미정, 하은실 (2012).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73-97.
- 정계숙, 노진형 (2006). 부모역할에 대한 자기반성의 부모교육을 위한 함의.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79-105.
- 정계숙, 최은실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25-257.
- 정기범 (2014). 성인 여성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몰입과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구 인력개발연구), 16(3), 159-184.
- 정미라, 김지원, 이영은 (2015). 12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 어려움과 그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255-281.
- 정혜선 (2010). 영유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생활과학지, 19(3), 429-441.
- 조준오, 나정, 홍광표 (2015).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자녀의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복수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75-98.
- 조형숙, 김명하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아상태, 자기분화,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271-293.
- 한상훈 (2003).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9(3), 225-245.
- 한선혜, 박승호 (2015). 자폐성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자폐성 장애연구, 15(1), 87-120.
- 홍소영, 김경미 (2014). 유아기 아동 어머니의 시간사용과 작업균형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2(3), 125-139.
- 황지애, 김성재, 김규수 (2016).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어머니 됨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297-318.
-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https://doi.org/10.2307/1130770
- Deci, E. L., & Ryan, R. M. (1985).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2) 109-134. https://doi.org/10.1016/0092-6566(85)90023-6
- Denzin, N. K. (1978). Children of the Creche. NY: Appletron-Century-Crofts.
- Haberleitner, E. (2002). Coaching leadership, 코칭리더십(이영희 역). 서울: 국일(원판 2002).
- Koh, S. J. (1997). Parental Strain, Mastery, sex role attitude, and dyadic adjustment after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n dual earner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5), 17-32.
- Noddings, N. (2008). Happiness and Education, 행복과 교육(이지헌, 김선, 김희봉, 장정훈 역). 서울: 학이당(원판 2003).
- O'Hara, M. W. (1986). Social support, life event, and depression during pregnancy and the puerperium.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3(6), 569-573. https://doi.org/10.1001/archpsyc.1986.01800060063008
-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 Suchman, N. E., & Luthar, S. S. (2001).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ress in methadone-maintained mothers' parenting.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1(4), 285-315. https://doi.org/10.1207/S15327922PAR0104_2
- Webster-Stratton, C., & Hammond, M. (1988). Maternal depression and its relationship to life stress,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 conduct problem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6(3), 299-315. https://doi.org/10.1007/BF00913802
Cited by
-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Fathers' Self-help Group Program in Healthy Families‧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 vol.20, pp.1, 2016, https://doi.org/10.31625/issdoi.2017.20.1.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