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을 통한 정치 혹은 정치를 위한 지식 언론학자의 정치 참여 현황과 특징 연구

Politics through Academic Career or Academic Career for Politics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of Media scholars' political participation

  • 김성해 (대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
  • 서보윤 (저널리즘학연구소) ;
  • 진민정 (대구대학교) ;
  • 강국진 (서울신문.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투고 : 2016.03.13
  • 심사 : 2016.09.22
  • 발행 : 2016.10.15

초록

언론학은 순수문학이나 자연과학과 달리 정치성이 짙다. 게다가 미디어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언론학자가 정책에 직접 개입할 기회는 확대되고 있다. 차관급에 해당하는 방송통신위원회를 비롯해 직접 권력을 행사하는 학자들도 많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작업은 없었다. 그들은 누구이며, 어떤 근거에서, 어떤 자격을 통해 정치에 참여하고 있는가를 살펴본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먼저 미디어 관련 법률과 이를 근거로 설치된 각종 이사회 및 위원회를 조사했다. 법에서 규정하는 참여 자격과 선정 방식 등을 다음 단계로 정리했으며 최종적으로 실제 참여한 언론학자 164명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폈다. 분석 결과, 언론 관련 이사회 위원회는 의결, 심의 자문, 중재 규제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지역적으로는 서울 소재, 대학은 서울대를 비롯한 상위권, 유학을 한 곳은 미국에 편중된다는 점이 밝혀졌다. 다양성을 중요한 덕목으로 생각해야 하는 미디어 정책에 있어 우려가 제기될 수 있는 부분이다. 2016년 현 시점에서 언론학자의 정치 참여는 피할 수 없는 책무에 속한다. 그러나 전문성이나 공익에 대한 소명의식이 아닌 정치권력에 대한 야망이 참여를 결정한다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연구진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했으며 언론학자들의 더욱 바람직한 정치 참여 방향을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as an academic field is believed more politicized one than pure literature and natural science. With the growth of the media, there follows additional opportunities for media scholars to take a part in politics as well. Few attention was given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mechanism of political intervention either as advisers or decision makers though. This study attempts thus to fill this vacuum. For this, first of all, it examines a various types of laws related to media politics. Total number of 164 scholars who participated in 12 councils and commissions were analyzed on the following step.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patterns which favor Seoul National University, U.S. trained Ph. D and geographic preference to the capital. Neither academic excellence nor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appear to have impact on taking those positions. Taking into account media's expansion into politics, it is inevitable for media scholars to take responsibility not only in policy making but in taking leadership. Accordingly, the question of necessity is not who but how as much as manner. The authors hope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opportunity to establish a kind of ethical standards in media poli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명구 (2014). 어떤 학자와 교수를 키울 것인가: 대학평가와 지식생산. <커뮤니케이션이론>, 10권 1호, 127-168.
  2. 강준만 (1994). 방송정책 수립과정과 교수참여의 문제점: '끝발주의' 방송정책에 '소모'되는 언론학자. <저널리즘비평>, 13호, 한국언론학회, 45-54.
  3. 권순택 (2012, 8, 16). 조선일보 사장이 KBS 이사돼도 법적 문제 없다. <미디어스>. URL: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117
  4. 김건우 (2015, 10, 21). 근대화 인텔리겐치아론과 지식인의 변절 논쟁, <주간동아>, 통권1009호, 64-67.
  5. 김경자 (2015). 풍요와 결핍의 딜레마: 언론학의 숙명인가, 변화의 출발선인가?. <커뮤니케이션이론>, 11권 2호, 4-17.
  6. 김남석 (1989). 한국 언론학 연구의 동향. <사회과학연구>, 1권, 61-82.
  7. 김동민 (1999). 언론개혁과 언론학자의 처신. <인물과사상>, 통권 15호, 162-167.
  8. 김만흠.손혁재.김동춘.홍일표.김갑식 (2003). <한국의 언론정치와 지식권력>. 서울: 당대
  9. 김상봉 (2004). <학벌사회: 사회적 주체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서울: 한길사.
  10. 김성해.반현 (2011). <저널리즘의 복원>.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11. 김승수 (2014, 11월). <진실과 격투하는 미디어 지식인>. 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2. 김영모 (2009). <한국 권력지배층 연구>. 서울: 고헌.
  13. 김학수 (1999). 언론학자의 두 가지 사회적 책무. <저널리즘비평>, 27권, 104-105.
  14.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URL: http://www.mcst.go.kr/index.jsp
  15. 박노자 (2001). <당신들의 대한민국>. 서울: 한겨레신문사.
  16. 박진우 (2013). 어떤 인문학적 상상력이 필요한가: 언론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의 인문학의 현실과 과제. <커뮤니케이션이론>, 9권 3호, 4-34.
  17.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 URL: http://www.kcc.go.kr/user.do
  18. 변동현 (1998). TV선거보도의 공정성 개념에 관한 인식틀 연구: 언론학자와 방송언론인을 중심으로. <언론문화연구>, 15권, 33-82.
  19. 설진아 (2014). 신뢰 잃은 주류언론, 시민의 감시대상. <신문과방송>, 6월호, 10-14.
  20. 손석춘 (2014). 도구적 지식과 지식인의 도구화: 대학, 자본, 권력의 '삼각동맹'론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 10권 1호, 25-56.
  21. 이봉수 (2012, 6, 26). 우리방송을 망친 이데올로그들. <한겨레>, 29면.
  22. 이정철 (2010). <대동법: 조선 최고의 개혁>. 서울: 역사비평사.
  23. 이태희.신윤동욱 (2002, 12, 23). 한국사회 '주류'가 바뀐다. <한겨레>, 1면.
  24. 이한우 (2004). <지식의 성장>. 서울: 살림출판사.
  25. 임영호 (2013). 한국 언론학의 제도적 성공담과 내재적 위기론. <커뮤니케이션이론>, 9권 1호, 6-38.
  26. 정명환 (2003), 프랑스 지식인과 정치: 정치 참여의 세 가지 유형에 관하여. <세계의문학>, 28권 1호 (통권107호), 225-277.
  27. 중앙일보 (2006). <대한민국 파워엘리트>. 서울: 황금나침반.
  28. 진덕규 (2011). <권력과 지식인>. 서울: 지식산업사.
  29. 최낙진.김성해 (2016). 언론학자와 권력: 정치화된 지성의 위험한 줄다리기. <의정연구>, 48권, 103-135.
  30. 최장집 (2009). 한국의 진보적 지식사회와 지식인의 변형. <황해문화>, 209-246.
  31. Bourdieu, P. (1987). Choses dites. Paris, FR: Minute.
  32. Debray, R. (2000). i.f. suite et fin. 강주헌(역) (2001). <지식인의 종말>. 서울: 예문.
  33. Domhoff, W. (2009). Who Rules America? (6th ed.). New York, NY: McGraw-Hill.
  34. Foucault, M. (1969). L'Archéologie du savoir. Paris, FR: Gallimard.
  35. Foucault, M. (1972). Les intellectuels et le pouvoir. Dits et ecrits, Tome II, $n^{\circ}106$
  36. Jacoby, R. (1987). The Last Intellectuals: American Culture in the Age of Academe. New York, NY: Basic Books.
  37. Lyotard, J. F. (1984). Tombeau de l'intellectuel et autres papiers. 이현복 (역) (1993). <지식인의 종언>, 서울: 문예출판.
  38. Mills, C. W. (1956). The Power Elite. London & New York: Oxford Press.
  39. Roi, M. (1995). Chomsky's Politics, Verso. 김석근.장휘 (2004). <촘스키와 정치: 지식인의 사회적책임과 정치 참여>. 서울: 산해.
  40. Said, E. (2012). Representations of the Intellectual. London, UK: Vinti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