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isterhood Shown in an Animation in the Feminist Perspective

페미니즘 관점으로 본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자매애

  • Received : 2016.07.29
  • Accepted : 2016.08.28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image of woman shown in an animation was pretty extraordinary as Disney has kept the conservative tendency so far. The two princesses in were described as independent women getting out of the traditional gender role and dependence on men. For this reason, there is a tendency that interprets as a feminist work. Even though the character showing the image of independent woman could be an essential index to define feminist work, it is not enough to define the tendency of works. Thus, this study reviewed if it would be valid to interpret as a feminist work. First, the 'sisterhood' which is the main theme of contained the feminist concept as 'women's solidarity' on top of friendship between sisters. Therefore, when analyzed focusing on the core concept of women's solidarity like difference, empathy, and solidarity, reflected 'differences' in narration, character, and image, etc. When differences in sisters which became the cause for misunderstanding and conflict were acknowledge based on their true love, the process of forming empathy and solidarity was described. The solidarity between Elsa and Anna not only became the power to defeat the enemy, but also reflected the feminist value of forming the community of coexistence like Adelen which was rebuilt after getting back the spring. Thus, it was verified that is a feminist work.

그동안 보수적 성향을 고수하던 디즈니가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에서 보여준 여성상은 파격이었다. <겨울왕국>의 두 공주는 전통적 성역할과 남성 의존에서 벗어난 주체적 여성으로 그려졌다. 이러한 이유로 <겨울왕국>을 페미니즘 작품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주체적 여성상의 캐릭터는 페미니즘 작품을 규정하는 데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으나 이것만으로 작품 성향을 규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겨울왕국>이 페미니즘 작품으로서 타당한가를 검토하였다. 우선, <겨울왕국>의 주제의식인 '자매애'에는 자매간의 우정 이외에 '여성 연대'라는 페미니즘적 개념이 내포되어 있었다. 여성연대의 핵심 개념인 차이, 공감과 연대를 중심으로 <겨울왕국>을 분석했을 때, <겨울왕국>은 서사와 캐릭터, 이미지 등에서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그리고 진정한 사랑으로 오해와 갈등의 원인이 된 자매의 차이를 인정하자 공감과 연대가 형성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었다. 공감과 희생으로 맺어진 엘사와 안나의 연대는 적대자를 물리치는 힘이 되었을 뿐 아니라, 다시 봄을 찾아 재 건립된 아델렌처럼 상생의 공동체를 이룬다는 페미니즘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었다. 따라서 <겨울왕국>을 페미니즘 작품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겨울왕국>, (Frozen, 2013)
  2. 엘리자베스 그로츠, 임옥희 역, 뫼비우스 띠로서 몸, 여이연, 2004.
  3. 찬드라 탈파드 모한티, 문현아 옮김, 경계없는 페미니즘, 여이연, 2005, p.22
  4. 찰스 샌더스 퍼스, 김성도 편역, 퍼스의 기호 사상: 찰스 샌더스 퍼스의 기호론과 현상론 선집, 민음사, 2006.
  5. 크리스티앙 메츠, 이수진 옮김, 상상적 기표 : 영화, 정신분석, 기호학, 문학과지성사, 2012.
  6. Spivak, G., 태혜숙 역, 제 3세계 여성과 탈식민주의, 세계사상 4호, 1998.
  7. 마리아 루고네스, 엘리슨 M. 제거, 공동체, 아리리스 마리온 영 편집, 한국여성철학회 옮김,여성주의 철학, 서광사, 2005, pp.201-204.
  8. 강선미, 자매애에 대하여, 여성과 사회 제11호(2000), p.66
  9. 강준수, <겨울왕국>에 나타난 여성의 젠더 정체성 연구, 인문콘텐츠 제37권(2015).
  10. 공현희, <겨울왕국>의 서술구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제 38호(2014).
  11. 김경혜, 팸 젬스의두자, 피쉬, 스타스 그리고 비에 나타난 ------여성공동체속의 자매애에 관한 연구, 현대영미드라마 제8권 (1998). pp.5-28
  12. 김미덕, 미국 여성주의 이론들, 현상과 인식 제35권 제4호 (2011), p.175.
  13. 김상욱, 한국 애니메이션 소비자 이용 형태 분석에 따른 제작 지원 정책 방향 모색, 애니메이션 연구, 제7권 제2호(2011).
  14. 김영희, 이명호, 김영미, 포스트모던 여성 해방의 딜레마, 여성과 사회 제3권(1992).
  15. 김태영, 김정환,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장르 관습 변화에 관한 연구: <겨울왕국>에 대한 20대 여성 수용자 연구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0권 제1호(2015).
  16. 박세영, 애니메이션 영화흥행요인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제6권 제4호(2010)
  17. 배은경,사회 분석 범주로서의 '젠더' 개념과 페미니스트 문화 연구, 페미니즘 연구, 제4권 제1호(2004), p.56.
  18. 문현아, 찬트라 탈파드 모한티, 경계없는 여성주의를 향한 저항의 실천, 여성이론 12호(2005), p.266.
  19. 소요환, 애니메이션 관객의 집단별 관람동기와 선택 기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2008).
  20. 안주아, 애니메이션 영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등장인물의 이미지 및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사회연구 2호(2004). p.261.
  21. 양세혁, <겨울왕국 캐릭터에 나타난 두려움과 왜곡된 욕망의 정신 역동,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7권(2014)
  22. 오동일, 최혜림,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담론에 관한 연구 :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2014).
  23. 이란, 백선기,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여성 젠더 표상과 다층적 이데올로기, 한국방송학보 제29권 제6호(2015).
  24. 이석구, 페미니즘과 아이덴티티의 정치학, 안과밖 4호(1998).
  25. 이윤종, 마녀와 왕녀 사이:<겨울왕국>의 흥행으로보는 한국의 오늘, 문화과학 제78호(2014).
  26. 이정은, 헤겔 법철학에서 여성적 자매애와 사회적 우애의 관계-여성의 가족애와 남성의 직업 단체적 배려를 통해, 한국여성철학 제3권(2003), pp.58-59.
  27. 이종한, 기호학적 틀 안에서 만화애니메이션의 상징적 표의 체계,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7호(2003), p.165
  28. 이준수, <겨울왕국>의 엘사 캐릭터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의 변화: 퀴어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연구 제38권(2015).
  29. 정주연, 3D 애니메이션 슈렉2에 관한 기호학적 연구, 디자인학 연구 제17권 4호(2004), p.336
  30. 조주현,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80-90년대 한국 여성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12권 1호(1996)
  31. 한지운, 김보연,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적용된 색채의 이미지와 상징에 대한 연구, 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3호(2014), P.221.
  32. 김명희, "겨울왕국 성공 DNA는 '전통 바탕에 수용한 혁신'", 전자신문, 2014년3월10일, 6면
  33. 이학후, "애니메이션 왕국 디즈니, '겨울왕국'에 강한 의지를 담다", 오마이뉴스, 2014년1월18일
  34. Gorsz, E., Sexual Difference And the Problem of Essence, Indiana Press, 1994.
  35. Sandoval, C., Feminism and Racism, SF: Aunt Lute Books, 1990, p.67.
  36. Stefano, C.D., "Dilemmas of Difference", Feminisim/Postmodernism, Routledge, 1990.
  37. Hegel, G.W.F., "Phaenomenologie des Geistes", Hamburg;Felix Meiner Verlag, 1952, p.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