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A Peculiarity of Mise-en-scene Found in Animation :Focused on Russian Animation

애니메이션 미장센 특성 연구 - 러시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7.18
  • Accepted : 2016.08.26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In this thesis, the movie with mise-en-scene established was compared with the peculiarity of the play that is the etymological source of the term to identify the peculiarity of mise-en-scene which was substituted into animation to find the peculiarity of mise-en-scene in animation. To emphasize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frame's visual peculiarity and the director's opinions, the mise-en-scene of director centered animation created under a restricted environment was reviewed. Mise-en-scene which started from movie critics theory does not simply mean the arrangement of images in a frame. Mise-en-scene emphasizes the exposure of the work's motive by the visual components. The animation's assuming the middle point of environmental share possessed by play and movie when schematizing the genre peculiarity of animation, play and movie was a noteworthy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cause is that the animation's peculiarity yiel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making methods; we verified that this is a key factor in the analysis of animation's mise-en-scene. I emphasized that the peculiarity of animation mise-en-scene is in its making method and material and suggested identifying the work's making methods and analyzing the work's aesthetic results derived in this way. The russian animation which was perceived as peripheral arts was relatively free from the burden of censorship while receiving support from the Soviet as a media for propaganda. The russian animation's mise-en-scene which found the material for its works in the country's folklore was metaphorical, focused on new expression forms and achieved experimental elements. Russian animation pursues a unique aesthetic world through space expression based on the forms of opera or ballet and heavy motions formed static inbetweens.

애니메이션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하나의 예술 장르로서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음에도, 예술 장르로서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은 같은 뿌리를 둔 또 하나의 영상 예술인 영화에 비하면 아직까지도 개선을 요구하는 부분이 많다. 영화 이론이 대중에게 영화를 예술의 한 장르로서 각인하는데 밑거름이 된 것을 생각하면, 애니메이션 이론도 폭넓게 연구되어야 하며 애니메이션 미학에서 스크린의 비중이 높은 만큼 시각적 특징에 집중한 애니메이션 미장센에 관한 관심은 당연하다. 미장센은 시각적 요소들이 작품의 주제를 내보이는데 의의를 두며 용어가 쓰이는 예술 분야마다 약간의 의미 차이를 갖는다. 영화 비평에서 시작된 미장센은 미학 표현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나, 영화, 연극, 뮤지컬, 애니메이션 등 영상 및 무대 예술을 넘어 회화나 게임, 패션 등의 예술과 문화 분야에서도 거론되면서 분야별 미장센의 의미에 관한 의견이 분분하며 그 개념이 달리 쓰이거나 확장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중예술로서 애니메이션이 자리 잡기 위한 방안으로 미학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미장센'에 중점을 두어 애니메이션의 표면적 예술성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 방법으로 미장센을 하나의 미학 이론으로 확립한 영화와 용어가 처음 쓰인 연극의 매체 특성을 비교해 두 매체의 미장센 특징을 찾고, 이를 애니메이션에 대입하여 애니메이션 미장센의 특징을 알아본다. 또한, 애니메이션 미장센에서 프레임의 시각적 요소가 작가의 의견을 직접적으로 표출한다는 것을 밝히기 위해 제한된 환경에서 만들어진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의 미장센을 살핀다. 위와 함께, 상업 애니메이션이 특정 집단의 기호에 맞춰 제작된 것을 감안하여 소비에트의 지원 아래 제작된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실험적인 제작 방식과 그에 따른 독창적인 미장센을 분석한다. 작품의 소재를 자국의 민담에서 찾은 러시아 애니메이션이 이를 오페라와 발레의 공연 양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공간 표현, 무거운 동화(Inbetweens), 라이브 액션 활용 등의 미장센으로 은유적으로 표현하며 독특한 미학적 세계를 구축한 점을 염두에 두고, 작품의 주제나 작가 의견이 어떠한 외적 장치를 통해 미장센으로 드러나는지 확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석만,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연출, 풀빛, 2013.
  2. 김윤아, 예술로서의 애니메이션, 일지사, 2010.
  3. 데이비드 보드웰 . 크리스틴 톰슨, 주진숙 외 역, 영화 예술, 지필미디어, 2011.
  4. 루이스 자네티, 박만준 외 역, 영화의 이해, K-books, 1995.
  5. 모린 퍼니스, 한창완 외 역, 움직임의 미학, 한울, 2001.
  6. 배상준, 영화예술학입문,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7. 배상준, 유럽 애니메이션 대표작가 24인, 쿠북, 2006.
  8. 뱅상 아미엘, 곽동준 외 역, 몽타주의 미학, 동문선, 2009.
  9. 베르나르 제넹, 윤락로 역, 애니메이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10. 스티븐 디 캐츠, 김학순 역, 영화연출론, 시공사, 1998.
  11. 오노 고세이, 김준양 역, 상상에 숨을 불어넣다, 나비장책, 2006.
  12. 이철우.유인경, 연극 영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3.
  13. 존 할라스, 황선길 역, 세계 애니메이션 작가와 작품, 범우사, 2002.
  14. 토마스 소벅.비비안.C 소벅, 주창규, 영화란 무엇인가, 거름, 1998.
  15. 피에르 소르랭, 이선형 역, 영상예술미학, 동문선, 2009.
  16. 한옥근, 연극의 이해, 국학자료원, 1998.
  17. 허버트 리드, 박용숙 역, 예술의 의미, 문예출판사, 1985.
  18. 황의웅, 나치독일의 기술로 색깔 입은 소련의 망아지, 돌도래, 2013.
  19. 나기용, "유리 놀슈테인의 애니메이션이야기속의 이야기의 詩的 이미지 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9).
  20. 함종호, "페인트 온 글라스(Paint on Glass)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에 관한 연구 : 작품 '금강'을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1. 공덕외, 중국 문화대혁명 시기의 애니메이션과 모범극의 상광관계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pp.71-80.
  22. 금보상, 애니메이션, 실사영화, 디지털영화의 프레임과 미장센 특성 비교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통권 제 11호(2007), pp.41-53.
  23. 이태구 . 이화세, 애니메이션 미장센 분석,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통권 제 18호(2008), pp.153-162.
  24. 이혜승, 1960-1980년대 초반 사회, 문화적 상황과 관련해 본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변화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통권 제 15호 (2009), pp.29-47.
  25. Russell, R..Starr, E., Experimental Animation, Da Capo. press, 1988.
  26. Caro, A. M., "Cinematic poetry: a study of Yuri Norstein's Tale of Tales", The National Film And Television School Master's Thesis, UK, 2012.
  27. Laurila, H. J., "Envisioning the City: Moscow in the Mind and on Film", Lane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Atlanta, USA, 2012.
  28.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com, 검색어 : 누벨바그, 플립 북애니메이션, 샌드 애니메이션, 페레스트로이카, 문화대혁명, 멀티플레인 카메라, 컷 아웃 애니메이션, 셀 애니메이션, 2015. 08.
  29.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 검색어 : 알렉산더 알렉세예프, 클레어 파커, 유리 놀스테인, 알렉산더 페트로프, 2015.08.
  30. 전자잡지 매거진 애니메이툰, http://olv.moazine.com
  31. 나의 사랑(My Love, 2006)
  32. 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 1999)
  33. 민둥산의 밤(Night on Bald Mountain, 1933)
  34. 세 가지 테마(Three Themes, 1980)
  35. 소(The Cow, 1989)
  36. 안개속의 고슴도치(Hedgehog In The Fog, 1975)
  37. 어리석은 자의 꿈(The Dream Of A Ridiculous Man. 1992)
  38. 여우와 산토끼(The Fox and the Hare, 1973)
  39. 왜가리와 학(The Heron and Crane, 1974)
  40. 이야기 속의 이야기(Tales Of Tales, 1979)
  41. 인어(The Mermaid, 1997)
  42. 코(The Nose,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