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vestigation and Practices on Mathematics Essay Test i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대입 수리논술고사에 대한 고찰과 실제

  • Received : 2016.08.09
  • Accepted : 2016.09.12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study aimed at determining the identity of mathematics essay test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For this purpose, a document research was conducted for higher order thinking and mathematics essay ability and it analyzed the goal of assessment and the tendency of problem settings and looked into mathematics essay problems of twenty-five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out that evaluation factors of mathematics essay test requires higher order thinking ability including mathematical knowledge and essay ability such as mathematical knowledge, understanding, problem solving,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creative ability, power of expression, argument skills. Also, problems from previous mathematics essay tests were set mainly to assess mathematical knowledge,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Based on the findings, the past mathematics essay tests i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Korea that requir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creative ability, power of expression, argument skills were a rather small percentage of ques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대입 수리논술고사의 평가요소를 통하여 수리논술고사에 대한 정체성을 규명하고 실제 수리논술고사가 어떻게 출제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수리논술고사에 관한 이해를 얻기 위해 2016학년도에 수리논술고사를 실시한 우리나라 25개 대학교 홈페이지에 있는 논술자료집에서 수리논술고사의 평가목표 및 출제방향을 분석하여 수리논술고사의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2015학년도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실제 수리논술고사가 어떻게 출제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수리논술고사의 평가목표 및 출제방향에 나타난 평가요소는 수학적 지식, 이해력, 논리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표현력, 논증력으로 수리논술고사의 정체성은 이런 능력, 즉 수학적 지식을 포함하는 고차원적인 사고능력과 논술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수리논술고사 평가요소에 따라 수리논술 평가기준을 정하고 수리논술고사 기출문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수리논술고사는 평가요소 중 수학적 지식, 이해력, 문제해결력을 요구하는 문제 위주로 출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옥기, 이장주, 이환철, 손정화(2015). 수리논술의 이론과 실제. 서울: 경문사.
  2. 강옥기, 허난, 조현공, 박경은, 이환철(2011). 수학교육학 정론. 서울: 경문사.
  3. 경기도교육청(2012). 2012년 경기도 교육과정. 경기: 경기도교육청.
  4. 교육인적자원부(2005). 논술고사 기준 설정 및 심의 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권오남, 김정효(1997).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초등교육연구, 11.
  6. 권오남, 김정효(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 교육과정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A <수학교육>, 39(2).
  7. 김경자(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평가 모형. 초등교육연구, 13(2).
  8. 김선희, 이종희(2003). 수학적 지식점유를 위한 학습 모델. 학교수학 제5권, 제3호.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지.
  9. 김영정(2005). 고등사고능력의 7범주. 대한토목학회지 제53권 제6호.
  10. 김영채(2007).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서울: 박영사.
  11. 김판수, 김난영(2013). 문제해결 방법의 차등화를 통한 수학적 창의성 평가에 대한 소고.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3).
  12. 김홍원, 김명숙, 송상헌(1996). 수학영재판별도구 개발연구(I). 연구보고 CR 96-26. 한국교육개발원.
  13. 남승인(2007). 수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수학교육 논문집> 21(2).
  14. 문인천(2006). 수리논술,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계간(논), 51-55. 초암네트웍스.
  15. 박정호, 권혁진(2009). 교과서 비교분석을 통한 수리논술 교육 제언. 교과교육연구, Vol.2, No.1. 서울: 고려대학교.
  16. 박제남(2011). 수리논술 평가목표의 분류 및 실제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Vol.17, No.3.
  17. 서울특별시교육청(2007). 통합교과형 논술 예시문항 자료집.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18. 성태제(2001).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19. 신현용, 한인기(1999). 수학영재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방향 모색. 청람수학교육, 8.
  20. 원진숙(1998). 논술 능력 평가 기준과 논술교육의 방향.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학술발표논문집.
  21. 이명준, 조용기, 김명화, 박영석, 신명선(2005). 논술․면접 지도 요령.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AT 2005-11-1.
  22. 표성수(2011). 수리논술평가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3.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0). 논술교육 길라잡이V. RM 2010-7-384.
  24.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3). 논술지도의 원리와 실제V 자연계(수리). RM 2013-14-578.
  25.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5). 2016학년도 대입전형.
  26. 한길준, 정승진(2002). 창의력 신장을 위한 변증법적 방법의 수학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15(1).
  27. Balacheff, N.(1988). Une etude des processus de preuve en mathematiques chez les eleves de College, These d'etat. Grenoble: Universite Joseph Fourier.
  28. Brookhart, S. M.(2010). How to Asses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 Your Classroom. 2014 ASCD Conference on Educational Leadership. October 31-November 2, Orlando, Florida.
  29. Davis, E., A.(1978). A New model for understanding school mathematics, Arithmetic Teacher 26.
  30. Douek, N.(2007). SOME REMARKS ABOUT argument and Mathematical proof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I.U.F.M. de Creteil, de Livry Gargan, 45 avenue J. Zay, 93190, Livry Gargan, France.
  31. Ervynck(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42-53). Dordrecht: Kluwer.
  32. King, F.J., Goodson, & L., Rohani, F.(2010). High Order Thinking Skills. Assessment & Evaluation Educational Services Program. CALA. Florida State University.
  33. Kulm, G.(1994). Mathematics Assessment: What Works in the Classroom. San Francisco : Jossey-Bass.
  3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5). Asses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5. Pedemonte, & Bettina.(2007). How can the relationship between argument and proof be analysed?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1/2007, Vol.66, Issue1. Springer
  36. Thomas, A., & Thorne, G. (2009). How to Increase Higher Order Thinking. Metarie, LA: Center for Development and Learning.
  37. Thurston, W. P.(1994). On proof and progress in mathematics.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0(2).
  38. Torrence, E. P.(1988). The nature of creativity as manifest in its testing.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pp.43-75).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Toulmin, S. E.(2003). The use of arguments (Updated edi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