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언어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기술의 발전방향 예측

A Method to Forecast the Computer Technology Trends based on Computer Languages

  • 최세일 (호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투고 : 2016.08.30
  • 심사 : 2016.09.29
  • 발행 : 2016.09.30

초록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기술 발전에 있어서 발전 방향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국내 컴퓨터 기술 연구에 있어서 연구 방법은 시대적 핫이슈에 따라 연구 주제가 결정되는 연구방법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 방법은 단편적 연구 성과밖에 얻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컴퓨터 기술 연구자들이 연구 주제를 결정할 때 사화적 영향력이 큰 연구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기술 발전의 줄기를 따라가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컴퓨터 기술 발전의 줄기를 잡는 방법을 제안한다. 방법으로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 역사 속에 내재된 궤적을 찾아 그 궤적의 연장선에 근거한 발전 방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forecasting the computer technology development direction. Most computer technology researches in Korea are developed from hot research issues. This approach to take research topics mostly produces less valuable results. In order to choose more valuable research topics, researchers should company with the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This paper proposes a way to forecast the computer technologies on the way to the future. It analyzes the development history of programming languages, and forecasts future directions as extensions of the history.

키워드

참고문헌

  1. 나준호, "인공지능의 발전과 고용의 미래", 과학 기술정책연구원, Future Horizon 제28호, pp. 14-17, 2016.
  2. John Bohannon, "Fears of an AI Pioneer", Science, Vol. 349, No. 6245, pp. 252. Jul. 2015. https://doi.org/10.1126/science.349.6245.252
  3. Byoungun Yoon and Yomgtae Park,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Forecasting Algorithm: Hybrid Approach for Morphology Analysis and Conjoint 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 54, Issue 3, pp. 588-599, Aug. 2007. https://doi.org/10.1109/TEM.2007.900796
  4. 안상진,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연구 동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제20권1호, pp. 139-142, 2012.
  5. KISTI, "문헌정보분석을 통한 기술예측 시스템의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동향/연구보고서, 2001년.
  6. 윤석한, "차세대 컴퓨터 기술 발전 전망", 정보처리학회지, 제7권 1호, pp. 49-55, 2000.
  7. 이형진, "기술예측 결과를 활용한 KISTI 미래 사업 기획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동향보고서, 2007년.
  8. Samuel J. Gershman, Eric J. Horvitz, and Joshua B. Tenenbaum, "Computational rationality: A converging paradigm for intelligence in brains, minds, and machines", Science, Vol. 349, No. 6245, pp. 273-278. Jul. 2015. https://doi.org/10.1126/science.aac6076
  9. Robert J. Watts and Alan L. Porter, "Innovation Forecasting",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 56, Issue 1. 1997. Sep. pp. 25-47. https://doi.org/10.1016/S0040-1625(97)00050-4
  10. 박상현, "영화 속 인공지능의 현상학적 인간성-영 화 '트랜센던스'와 '그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55권, pp. 192-201, 2016.
  11. 최은창, "인공지능 시대의 법적.윤리적 쟁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Future Horizon 제28호, pp. 18-21, 2016.
  12. 장덕성, 박기현,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발전 동향과 특징에 관한 고찰", 계명대학교 산업기술 연구소 논문보고집 Vol. 13 No 1, pp 105-111, 1990.
  13. 이시직, "일본의 미래시대를 지배할 '인공지능(AI)' 연구 및 정책 동향", 정보통신방송정책 제27권 6호, pp23-29. 2015.
  14. 박병원,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와 제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Future Horizon 제28호, pp. 4-5, 2016.
  15. 최세일, "전자상거래의 미래에 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4권 3호, pp 68-73,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