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R 비디오의 플리커 저감효과를 위한 톤 안정화 알고리즘 연구

  • 발행 : 2016.08.31

초록

영상의 화질 개선과 높은 대비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HDR(High Dynamic Range)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시키기 위한 톤매핑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단일프레임이 아닌 다중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비디오에 이러한 톤매핑기술을 적용할 경우, 프레임 간 명암도 차이로 인하여 시각적으로 깜빡이는 현상인 플리커(Flicker)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눈에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영상의 품질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리커 판별을 위해 영상의 명암도 측정법을 제안하여, 프레임별 명암값을 학습하기 위한 다양한 특징벡터를 정의한다. 학습된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기를 이용하여 플리커 발생 프레임을 선별하고 플리커 제거를 위한 톤 안정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 제안한 방법을 통해 86.7%의 플리커를 검출하였으며, 프레임 간 톤 안정화 알고리즘의 최적화를 통해 플리커 발생빈도를 69.8% 감소시켰다.

키워드

참고문헌

  1. Tumblin. J. and Rushmeier. H."Tone Reproduction for Realistic Computer Generated Images," Technical Report GIT-GVU-91-13, pp. 2-27, 1991.
  2. Tumblin. J. and Rushmeier. H. E. "Tone Reproduction or Realistic Images,"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pp. 42-48, 1993.
  3. Jobson. D. J. and Woodell. G. A."Retinex processing for automatic image enhancement," Journal of Electronic Imaging, pp. 100-110, 2004.
  4. Drago. F., Myszkowski. K. and Annen. T. and Chiba. N."Adaptive Logarithmic Mapping For Displaying High contrast Scenes," EUROGRAPHICS, pp. 419-426, 2003.
  5. Kiser. C., Reinhard. E. and Tocci. N. "Realtime Automated Tone Mapping System for HDR Video," In Proceedings of th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pp. 2749-2752, 2012.
  6. TOCCI. M.D., KISER. C., TOCCI. N. and SEN. P. "A versatile HDR video production system," ACM Trans, pp. 41:1-41:10, 2011.
  7. Yang H. S., Park J. W. and Y. S. Moon. "Flickering Effect Reduction Based on the Modified Transformation Function for Video Contrast Enhancement,"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pp. 358-365, 2014.
  8. Perlin. K. and Hoffert. E. M. "Hypertexture," Computer Graphics, pp. 253-262, 1989.
  9. 김정태, 이현규, 최연재, 이상철. "비디오 플리커에 강건한 다항 곡선 적합 기반의 적응적 톤 안정화 알고리즘,"IPIU, 2016.
  10. Larson. G. W., Rushmeier H. E. and C. Piatko. "A Visibility Matching Tone Reproduction Operator for High Dynamic Range Scenes,"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pp. 291-306, 1997.
  11. Francesco. B., Alessandro. A., Kurt. D. and C. Alanl."Advanced High dynamic Range Imaging: theory and practiceg," AK Peters/CRC Press, pp. 12-26, 2011.
  12. Reinhard. E., Ward. G., Pattanaik. S. and Debevec. P."High Dynamic Range Imaging," Morgan Kaufmann Publishers, pp. 83-95,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