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채용시장 직무와 역량 간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a Platform to resolve the Mismatch between Job and Competence in Recruitment Market

  • 투고 : 2016.08.21
  • 심사 : 2016.09.08
  • 발행 : 2016.09.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cruiting platform resolving the mismatch between corporate job and job finder's competence in recruitment market. For this, we investigated technological trends and limitation on recruit platfor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s and directions related to recruiting platform evolution and identified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recruiting platform. Two development strategies include employment of online resume and construction of database assessing job finder's competence. We also proposed target system architecture incorporating job database, competency assessment form, capability oriented resume. To analyze user requirement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core job capability evaluation model were analyzed. Next, we designed integrated database, user interfaces, and dynamic functionalities using the forms developed in earlier stage. Finally, we assessed the fidelity of form item, integrity of database, and the usability of interfac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을식. 김군수,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치 현장 실태 조사, 경기개발연구원, 2012.
  2. 박은경. 홍성화. 오상훈, "4년제 대학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30권, 제4호, 2015, pp. 29-52.
  3. 박동철. 권두순. 황찬규, "NCS 환경에서 ICT분야 교육에 ARCS 동기이론이 상호작용성과 학습 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1권, 제3호, 2015, pp. 179-200.
  4. 전영욱. 김진모,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모델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37권, 제2호, 2005, pp. 111-137.
  5. 김흥래, 구직자 채용채널로서의 인터넷 활용 및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6. 사공운, "IoT 기반의 한국형 Smart Factory 의사 결정시스템 플랫폼에 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2권, 제1호, 2016, pp. 1-12.
  7. 김정민, 채용경로 및 보상만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8. 박경원, 서울특별시 산하 공기업의 채용시스템 실태와 개선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9. 이순묵. 이주희, "업무분석의 틀에서 본 역량 모형," 노사관계연구, 제17권, 2006, pp. 137-164.
  10. 김종호. 남미라. 정동섭. 변대호, "역량이력서 교육을 통한 태도변화에 대한 연구," 산업혁신연구, 제31권, 제3호, 2015, pp. 65-83.

피인용 문헌

  1. 인테리어 리모델링 사업에서 영업사원의 핵심역량 모델 개발 - LG하우시스를 중심으로 - vol.17, pp.1, 2016, https://doi.org/10.17662/ksdim.2021.17.1.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