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음악청취가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Listening o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 장철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신현석 (경남정보대학교 사회복지과)
  • Jang, Che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
  • Shin, Hyunsuk (Dept. of Social Welfare,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 투고 : 2016.08.23
  • 심사 : 2016.09.26
  • 발행 : 2016.09.30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music listening program and investigate its effects on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Method : 30 male and female at K university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 of this study and a half of them was experimental group, other were control group. An academic stress tester form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sentences and vocabularies of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Oh, Mi Hyang and Cheon, Seong Mun (1994) to help understanding of students was used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y Beck(1967), both before and after conductance of music listening program. Result : First of all, In the Academic stress was no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period. Second, Score of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was decreased after application of music listening program than control group's. Third, Score of de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control group's, depending on period. Conclusion : Pu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ogether, music listening program dosen't affect the academic stress. But this program deceased the depression. In further study, it will be required to subdivided for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study from evaluation of the several times and apply a variety of disea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아, 김경희(2004). 음악치료를 적용한 학교 부적응 예방 프로그램 효과. 대학간호학회 정신간호학회지. 13(4), 411-419.
  2. 김성옥(2003). 인지-행동적 학업스트레스 대처 훈련이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윤겸, 김수지(2011). 장애아동 재활치료 서비스 바우처 사업 내 음악치료 현황. 재활복지, 15(1), 179-204.
  4. 김주경(2007). 클래식 음악청취가 중학생의 시험에 따른 불안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문지영(2010).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입원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14(2), 199-221.
  6. 박선미(2008).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정성, 스트레스, 우울 감소를 위한 음악 및 명상의 치료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방성아(2012). 음악 감상이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 감소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오미향(1993).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이영호, 송종용(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0(1), 98-113.
  10. 임지혜(2009).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청소년의 시험불안 감소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정호숙(2007). 학급중심 집단음악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불안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정현주(2002). 청소년 우울증 및 정서장애에 대한 음악치료의 효과성 입증 및 프로그램개발. 대한음악치료학회지, 3(1), 38-53.
  13. 천애영(2009). 음악 감상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최해림(1986). 스트레스 예방훈련(Stress Inoculation Training) : Meichenbaum 등에 의한 인지 행동적 모델. 성심생활, 5(1), 27-39.
  15. 최현정(2009). 여성 국가고시 준비생의 시험 스트레스에 대한 음악심리치료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Beck AT(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p.186-207.
  17. Beckham EE, Leber WR, Youll LK(1995).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Depression.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depression: In handbook of depression. 2nd ed, New York, Guilford, pp.36-60.
  18. Bruscia K(1989). The practical side of improvisational music therapy. Music Therapy Perspectives, 6(1), 11-15. https://doi.org/10.1093/mtp/6.1.11
  19. Kaser VA(1993). Musical expressions of subconscious feelings: A clinical perspective. Music Therapy Perspective, 11(1), 16-23. https://doi.org/10.1093/mtp/11.1.16

피인용 문헌

  1.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성 메타분석 : 우울과 불안 중심으로 vol.5, pp.1, 2017, https://doi.org/10.15268/ksim.2017.5.1.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