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erical Study on Activation of uTradehub

uTradeHub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실증 분석

  • 최태광 (한국무역정보통신 금융서비스팀) ;
  • 류승열 (단국대학교 글로벌 e-SCM 학과)
  • Received : 2016.08.03
  • Accepted : 2016.08.26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As the rapid development of IT and the internet changed the trading method from the traditional offline transaction into the online e-Trading, the international documentation standards, the eUCP and the domestic laws and legislations have been established, adapting to the new e-Trading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use of uTradeHub on the domestic trading companies and trade-related organizations and suggest how to activate e-Trading. To do this, classify the users into the enterprises and the trade-related organizations, set up the hypothesis of the study with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user convenience, the new service, the system suitability and the legislation environment and carry out a survey targeting the trading companies and the trade-related offices to do an actual proof analys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IBM22.0, and the study hypothesis was test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ology. Th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trading companies set a high value on the user convenience, the new service and the legislation environment of uTradeHub, meanwhile the trade-related organizations regarded the system security and reliability, the user convenience and the legislation environment as the major affecting factor on the use of uTradeHub.

Keywords

References

  1. 경문수, "전자무역의 활용 및 성과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8. 12.
  2. 류승열, "한국 수출기업의 전자무역결제 활용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12.
  3. 류승열.정윤세, "국제무역결제의 전자화 과제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37권 제4호, 한국무역학회, 2012. 8.
  4. 안재진, "무역거래대금의 전자결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6.
  5. 윤수영, "수출입기업의 전자무역 활용수준과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6.
  6. 이상옥.임천혁, "uTradeHub 시스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51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1.
  7. 이한주, "한국수출기업의 전자무역활성화 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3. 8.
  8. 이호형, "전자무역 성과수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2.
  9. 임천혁, "전자무역 활용 및 서비스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2.
  10. 정용균, "글로벌 전자무역의 활용과 BSC 성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12.
  11. 최경주, "중소 수출입 기업의 uTradeHub 활용에 따른 효과 실증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8.
  12. 최권일, "전자무역 생활화를 위한 전자무역기반시설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6. 12.
  13. 한학희, "한국 중소기업의 전자무역 활용도 영향요인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청구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2.
  14. Al-Gahtani, Said S., "Modeling the Electronic Transactions Acceptance Using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pplied Computing and informatics, Vol.9 No.5, 2011.
  15. Bart W. Schermer "Legal Issues of Single Window Facilities for international Trade". Congress to Celebrate the Fortieth Annual Session of UNCITRAL Vienna, 9-12 July 2007.
  16. Lan Hogg and Eva Chan, "Date Harmonization Capacity Building Workshop". Bali, Indonesia(2008.9.10-12), (http://blog.naver.com/stkang11?Redirect=Log&logNo=47436772), (visited April. 2012).
  17. Yang, Y., Stafford, T., and Gillenson, M., "Satisfaction with employee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s: the impact of usefulness on systems quality perception,"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0 No.2, 2011.
  18. https://www.utradehub.or.kr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19. http://www.ktnet.co.kr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