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Conflicts of Landfill, Seoul Metropolitan Region: Through the Concept of Territory as an Effect of Networks

수도권매립지 입지갈등의 전개: 네트워크 효과로서의 영역 개념을 중심으로

  • Jung, Won-Wook (Geography Department, College of Science, Konkuk University) ;
  • Kim, Sook-Jin (Geography Department, College of Science, Konkuk University)
  • 정원욱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 김숙진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Received : 2016.08.30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Landfill has been a long pending issue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ince it was created. Adopting Painter's notion of "territory-effect," this paper analyzes the network formation and change of diverse actors and territory as an effect of networked relations according to four periods from the creation of the landfill to current extension of landfill use.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the network formation and composition of major actors has been changed together with historical-geographical conditions. Second, these networks created territory as an effect and re-articulated the configuration of conflicts and solidarity of diverse actors. Third, territory created as an network-effect are different in each period, and is continuously reterritorializ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rritory is never complete and always in the making.

단일 면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로 조성된 수도권매립지는 입지선정 과정에서부터 오늘날까지 줄곧 수도권 지역의 핵심 현안으로 자리매김해왔다. 본 연구는 페인터의 "네트워크 효과로서의 영역" 개념에 착안하여 수도권매립지가 조성되기 직전 김포 공유수면 매립시기에서부터, 최근 매립지의 사용 연장을 둘러싼 갈등 국면에 이르기까지, 매립지의 입지갈등 전개 과정을 주요 행위자들의 네트워크의 변화와 영역의 생산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매립지 입지갈등의 전개는 다음의 변화와 맞물려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특정한 역사 지리적 조건에 따라 행위자들의 구성과 네트워크가 변화되었다. 둘째, 이러한 네트워크는 동시에 그 효과로서의 영역을 생성하면서, 이해당사자들의 갈등과 연대의 구조를 재편시켰다. 셋째, 네트워크의 효과로서 추동된 영역은 시기별로 상이하며, 지속적으로 재영역화 되는 과정에 놓여 있음을 통찰할 수 있었다. 요컨대, 매립지 입지갈등의 국면에는 지난 35년간에 걸쳐 주요 행위자들이 자기 이해의 실현을 위해서 갈등과 연대의 네트워크 과정을 통해 그 효과로서의 영역을 생산해내고 재영역화하는 과정이 담겨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석, 1995, 한국의 폐기물관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경향신문, 1977, "제방축조 끝낸 난지도, 쓰레기처분장 고시," (1977/8/3).
  3. 경향신문, 1992, "산업쓰레기, 버릴 곳이 없다," (1992/4/24).
  4. 김남걸, 2011, 폐기물처리시설 입지 및 운영에 따른 갈등 연구: 천안시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문조.문형만, 1995, "한국의 지역환경운동, 민족문화연구," 28, 423-445.
  6. 김숙진, 2010,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과학과 자연의 재해석," 대한지리학회지, 45(4), 461-477.
  7. 김숙진, 2016, "아상블라주의 개념과 지리학적 함의," 대한지리학회지, 51(3), 311-326.
  8. 김용하, 2009, 인천 공유수면매립에 따른 토지이용현황 및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9. 김학훈.이인현.장원, 1997, "환경피해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차이: 수도권 매립지의 사례연구," 환경정책, 5(2), 22-34.
  10. 박배균, 2006, "네트워크적 영역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스케일의 정치," 대한지리학회 연례학술대회 발표자료집, 45-46.
  11. 박배균, 2012,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지, 47(1), 31-59.
  12. 박배균, 2015, "도시-지역 연구에서 관계론적 사고를 둘러싼 논쟁," 허우긍.손정렬.박배균(편), 네트워크의 지리학, 푸른길, 261-279.
  13. 박배균.김동완, 2013, 국가와 지역: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 알트.
  14. 박병익, 2003, 혐오시설 입지결정의 갈등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안성시 보개면 북좌리 쓰레기 소각장을 중심으로,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14, 수도권매립지통계연감 제12호.
  16. 시민일보, 2015, "대법원, '매립지관리공사, 어민들에게 배상하라' 원심 확정 판결," (2015/3/26).
  17. 신윤선, 2009, 매립지 가치변화를 통한 수도권매립지의 가치혁신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안대희, 2013, "수도권매립지 갈등해결을 위한 대안모색," 한국환경정책학회 20주년 기념세미나 발표 자료집, 75-86.
  19. 오마이뉴스, 2012, "현장취재: 경인운하 현장을 가다," (2012/ 4/27).
  20. 이강웅, 2008, "혐오시설 입지갈등관리의 우선순위 모색," 지방정부연구, 12(2), 179-199.
  21. 이상헌, 2015, "닐 스미스의 자연의 생산 개념에 의한 청계천 복원사업의 비판적 해석," 공간과사회, 25(4), 88-121.
  22. 이우형, 2011, "도시의 일반폐기물 처리시설 입지문제에 관한 분석,"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 43(2), 17-32.
  23. 이정임, 2015, 수도권매립지 이슈와 시사점, 경기연구원 이슈&진단 195호.
  24. 이희승, 2012,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연장 갈등 사례," 공존협력연구, 창간호, 167-181.
  25. 임정빈, 2007, "님비와 핌피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한 지방정부간 갈등관리전략," 지방정부연구, 11(3), 155-179.
  26. 조강희, 2015, "표류하는 수도권 매립지 논란," 황해문화 (여름호), 194-209.
  27. 조선일보, 2013, "한삼희의 환경칼럼: 매립지 건, 서울이 인천을 배려해야," (2013/7/13).
  28. 진종순, 2004, "조직의 내부결속력과 갈등행태: 김포수도권매립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6), 71-91.
  29. 파이낸셜뉴스, 2015, "수도권매립지, 테마파크.에너지복합타운 갖춘 글로벌 명소로 개발," (2015/12/8).
  30. 한국경제, 1991, "대전에 배달환경연구소 설립...순수민간자본으로," (1991/8/12).
  31. 환경일보, 2015, "수도권매립지 '수술' 가능할까," (2015/7/20).
  32. Agnew, J., 1994, The territorial trap: The geographical assumption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1, 53-80. https://doi.org/10.1080/09692299408434268
  33. Amin, A. 2004, Regions unbound: towards a new politics of place, Geografiska Annaler, 86B, (1), 33-44.
  34. Belcher, O., L. Martin, A. Secor., 2008, Everywhere and nowhere: the exception and the topological challenge to geography, Antipode, 40(4), 499-503. https://doi.org/10.1111/j.1467-8330.2008.00620.x
  35. Brenner, N., 2004, New State Spaces: Urban Governance and the Rescaling of Statehoo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6. Castells, M., 1996, The Information Age, Vol I: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Blackwell, Oxford.
  37. Cox, K.R., 1998, Spaces of dependence, space of engagement and the politics of scale, or: Looking for local politic, Political Geography, 17, 1-23. https://doi.org/10.1016/S0962-6298(97)00048-6
  38. Giddens, A., 1985, The Nation-State and Violence, Polity, Cambridge.
  39. Gregory, D., 1994, Geographical Imaginations, Blackwell Publishers Ltd, Oxford.
  40. Hinchliffe, S., Allen, J. and Lavau, S., 2013, Biosecurity and the topologies of infected life: From borderlines to borderlands,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8(4), 531-543. https://doi.org/10.1111/j.1475-5661.2012.00538.x
  41. MacLeod, G. and Jones, M., 2007, Territorial, Scalar, Networked, Connected: In What Sense a 'Regional World'?, Regional Studies, 41(9), 1177-1191. https://doi.org/10.1080/00343400701646182
  42. Marston, S, Jones, III JP and Woodward, K., 2005, Human geography without scale,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0, 416-32. https://doi.org/10.1111/j.1475-5661.2005.00180.x
  43. Messey, 1993, Power-geometry and a progressive sense of place, in Bird, J., Curtis, B., Putnam, T. and Tickner, N. (eds.), Mapping the Futures: Local Cultures, Global Change, Routledge, London, 59-69.
  44. Messey, 1997, A global sense of place, in Barns, T. and Gregory, D. (eds.), Reading Human Geography, Arnold, London, 315-323.
  45. Messey, 2005, For Space, Sage, London.
  46. Messey, 2011, A counterhegemonic relationality of place in McCann, E. and Ward, K., (eds.), Mobile urbanism: cities and policy-making in the global a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1-14.
  47. Mitchell, T., 1991, The limits of the state: Beyond statist approaches and their critic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5, 77-96. https://doi.org/10.1017/S0003055400271451
  48. Murdoch, J., 2006, Post-structuralist Geography: A Guide to Relational Space, Sage, London.
  49. Paasi, A., 2001, Bounded spaces in the mobile world: deconstructing 'regional identity', Ti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93, 137-148.
  50. Painter, J., 2006, Territory-network, Paper presented in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51. Painter, 2008, Cartographic anxiety and the search for regiona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A, 40, 342-361. https://doi.org/10.1068/a38255
  52. Painter, 2010, Rethinking territory, Antipode, 42(5), 1090-1118. https://doi.org/10.1111/j.1467-8330.2010.00795.x
  53. Weber, M., 1968, Economy and Society, Bedminster Press, New York.
  54. Wise, J. M., 2005, Assemblage, in Stivale, C. J. (eds.) Gilles Deleuze: key concepts, McGill and Queen's University Press, Montreal and Kingston, 77-87.
  55. 드림파크문화재단, http://www.dreamparkcf.com/dpmain/main/main.jsp
  56.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http://www.slc.or.kr/design/index.asp
  57. 환경부, http://www.me.go.kr/home/web/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