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ception of Gifted Science Teachers Regarding a Individualized Instruction for Scientifically Gifted

영재 개별화 교육에 관한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의 인식

  • Received : 2016.07.04
  • Accepted : 2016.08.11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much gifted science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the class realize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ed curriculum and program for scientifically gifte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gifted science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exploring them in depth in the light of the reality in the gifted scienc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o draw implications about the applicable direction of more aggressive individualized curriculum and program for scientifically gifted. I chose 15 people with the incumbent teachers who have ever taught scientifically gifted and have a degree in the gifted education or science subject education as study participants and had a depth interview with them. According to result of the study, 14 of 15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ed education in science should understand the personal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gifted students and should be a study led by students themselves. Of the problems in gifted science education, teachers regarded the reduction in the financial support as the biggest problem and the vocation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were referr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With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ere were plenty of opinions that can't ignore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environment associated with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re is excessive expansion of the agencies and the target for gifted students, no standardized measurement tools and programs and the lack of the system for the coherent observation as a teacher. Also, the unified curriculum of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ions were pointed out as the problem and the individualized programs which were already under way have a lot of weakness and being offered marginally. Thus, from now on, to apply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of gifted science, teachers demanded optimized education conditions and consistent policy support, and expressed the opinion that there needs of a possible continuous observation system. Besides, the curriculum and programs matched the needs of the students should be taken priority the most, and there were another answers that fellow learning within the cooperative learning can be an alternative of the individualized. Along with that, there were lots of opinions that the treatment to overcome an inferiority complex according to the individualized should be followed.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를 위한 개별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관해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들은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과학영재 교육기관의 현실에 비추어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문제점들을 짚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앞으로 보다 적극적인 과학영재 개별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한 방향에 관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과학영재를 지도한 경험이 있고, 영재교육 혹은 과학교과교육 분야로 학위를 가지고 있는 현직 교사를 중심으로 15명을 섭외하여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 대부분은 과학영재교육에 있어 이상적인 영재교육은 학생의 성향에 따른 개인적 요구를 이해해야 하고, 학생이 스스로 주도하는 연구방향이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개별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영재 개별화 교육과 관련한 과학영재교육 기관 운영의 문제점으로 교사들은 재정적 지원의 감소를 가장 큰 문제로 들었으며, 교사의 소명의식 및 전문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었다. 시간, 장소의 제약과 함께 대학입시와 관련된 교육환경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 영재교육기관 및 대상자의 과도한 확대와 표준화 된 측정 도구 및 프로그램이 없다는 것, 교사의 일관된 관찰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또한, 영재교육기관들의 획일화된 교육과정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고, 이미 진행되고 있는 개별화 교육프로그램도 단점이 많고 미미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앞으로 과학영재 개별화 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교사들은 최적화 된 교육환경과 일관된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였으며, 교사의 지속적 관찰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또, 학생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하며, 협동학습 내에서의 동료학습이 개별화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응답도 있었다. 이와 함께 개별화 교육에 따른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처치가 뒤 따라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3). "영재교육 최적화를 통한 창조적 인재육성"을 위한 제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서울: 교육부.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김미숙 (2008). 시도교육청과 대학의 영재교육기관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 2008-3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성연 (2014). 미국 테네시 주 벤더빌트대학교 영재교육센터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주는 시사점 탐색. 영재교육연구, 24(2), 243-268. https://doi.org/10.9722/JGTE.2014.24.2.243
  5. 김순식, 이용섭 (2013).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신념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2), 152-158.
  6. 손정우 (2012). 영재 교육과정의 이해. 2012년 영재 교육 업무담당자 워크숍 자료집. 서울특별시 과학전시관 영재교육지원센터.
  7. 송인섭, 도승이, 이정규, 김누리, 성은현 (2011). 한국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 융합형 창의 인재육성. 영재와 영재교육, 10(3), 75-95.
  8. 양일호, 박선옥 (2015). 과학실험수업에 대한 초등과학영재들의 인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64-182.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2.164
  9. 오필석 (2013).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405-424.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405
  10.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1. 이신동, 이정규(2014). 영재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망: 탁월한 성취 패러다임. 영재와 영재교육, 13(2), 25-41.
  12. 이정규, 성은현, 이신동 (2015). 우리나라 영재교육 정책의 변화와 향후 전망. 영재와 영재교육, 14(2), 49-67.
  13. 전은선, 이형철 (2015). 수업형태와 수업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선호도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46-354.
  14.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15. 조석희 (2004). 영재교육백서 2004(연구자료 RM 2004-6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6. 최병연, 김주연 (2014). 그들은 왜 영재교사를 그만 두었는가?: 초등영재교사의 영재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3(2), 99-116.
  17. 태진미 (2014). 초중등 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영재 상담 실태 및 요구. 영재와 영재교육, 13(3), 149-173
  18. 한국교육개발원 (2014). 2014년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19. 한국방송공사 (2015.4.26.). 오늘 미래를 만나다: 미래혁명 1부 미래직업.
  20. 한기순 (2006).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21. Betts, G. T., & Neihart, M. (1988). Profiles of the gifted &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32(2), 248-253. https://doi.org/10.1177/001698628803200202
  22.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3. Dai, D. Y. & Chen, F. (2013). Three paradigms of gifted education: In search of conceptual clarity in research and practice. Gifted Child Quarterly, 57(3), 151-168. https://doi.org/10.1177/0016986213490020
  24. Feldhusen, J. F., Asher, J. W., & Hoover, S. M. (1984). Problems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talent, or ability. Gifted Child Quarterly, 28(4), 149-151.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402
  25. Kaplan, S. (1982). Myth: There is a single curriculum for the gifted! Gifted Child Quarterly, 26(1), 32-33. https://doi.org/10.1177/001698628202600111
  26. Kaplan, S. (2008). Advocacy: Projects: Yay or Nay. Gifted Child Today, 31(2), 47-53. https://doi.org/10.4219/gct-2008-785
  27. Marshall, C., & Rossman, G. B. (2006). Designing Qualitive research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28. Passow, A. H. (1981). The nature of giftedness and talent. Gifted Child Quarterly, 25(1), 5-10. https://doi.org/10.1177/001698628102500102
  29. Polkinghorne, D. E. (1989).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R.S. Valle and S. Halling(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in psychology: Exploring the breadth of human experience(pp.41-60). New York: Plenum Press.
  30. Renzulli, J. S., Reid. B. D., & Gubbins. E. J. (1992). Setting an agenda: Research prioritie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through the year 2000.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31. Renzulli, J. S., & Reis. S. M.(2003). The school wide enrichment model: Developing creative and productive giftedness. In N. Colangelo & G. 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184-203).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32. Siemer, E. A. (2009). Bored out of their minds: The detrimental effects of no child left behind on gifted children. The Free Library.
  33. Silverman, L. K. (1993).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Denver, CO: Love.
  34. Tannenbaum, A.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Macmillan.
  35. Tomlinson, C. A. (1999). Mapping a route toward differentiated instruction. Educational Leadership, 57(1), 12-16.
  36. Tomlinson, C. A. (2005). How to differentiate instruction in mixed-ability classrooms. Upper Saddle River, N. J. : Person/Merrill Prentice.
  37. Slavin, R. E.(1987). Cooperative learning and cooperative school. Education Leadership, 45(3), 7-13.
  38. Van Tassel-Baska, J. (1986). Effectiv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odels for talen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0(4), 164-169. https://doi.org/10.1177/00169862860300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