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s of public astronomical science museums and science curriculum revision, 2009

천문과학관의 전시자료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분석

  • Received : 2016.06.30
  • Accepted : 2016.07.29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Since Daejeon observatory has been built as the first astronomical science museum(ASM) whose theme is astronomy and space, many ASMs have been built or are being built by the governmental support. ASMs are requested to perform an important role as the educational venue that can be experienced the scientific activities for supplementing regular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the connection to astronomy-related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revised in 2009 for exhibits of 17 ASMs. As a result, exhibits of ASMs show the low reflectivity to science curriculum and are very biased to standard of accomplishment. That is, they are not sufficient enough for the students to reach the learning objectives. However the astronomical scientific activities which are hard to be performed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can be experienced at ASMs. Additionally, since exhibits of ASMs are easy to access and accept, they can provide the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ies and learning effect. Therefore, ASMs have to be improved for supplementing regular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informal curriculum of astronomical scientific activities by the producing and displaying good astronomy-related exhibits.

2001년 천문우주를 주제로 건립한 천문과학관인 대전시민천문대를 시작으로 정부의 지원에 의해서 현재 전국에 많은 천문과학관이 건립 또는 건립중이다. 지방 천문과학관이 정규 과학교육을 보완하여 과학 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서 중요한 역할 수행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전국의 17개 천문과학관의 전시자료에 대해 천문과학관의 2009 개정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천문과 관련된 내용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천문과학관의 전시자료는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반영률이 비교적 낮고 천문과 관련된 특정 성취기준에 편중되어 있다. 즉 학생들이 학습목표의 성취기준을 도달하기에는 천문과학관의 전시내용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정에서 실제로 수행하기 어려운 실험, 실습을 위한 천문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천문과학관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전시자료는 접근 및 수용이 용이하므로 효과적인 교육활동 및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잘 반영한 천문과학관 전시자료 제작 및 전시하여 학교 밖의 천문과학 활동에 대한 비형식 교육을 통해 정규 과학교육을 보완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a).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9] 과학과 교육과정.
  2. 교육과학기술부 (2011a). 전국 국.공.사립 과학관 현황.
  3. 김성진 (2011). 논증과 스토리텔링의 조화를 통한 국립과천과학관 전시물 제안,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윤경, 이용섭 (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태양계와 별’ 단원 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97-105.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97
  5. 김정엽 (2011). Booth의 논증을 이용한 과학관 천문 우주과학 영역 전시형태의 분석과 제안: 국립중앙과학관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미래창조과학부 (2014). 제3차 과학관육성기본계획('14-'18) [참고 2, 3] 국립.공립.사립과학관현황.
  7. 박승제, 신수현, 유준희, 윤성규, 전태일, 박정혜, 김소정 (2007). 과학관 육성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보고서.
  8. 유지현 (2008). 전시패널 주목도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윤광아 (2007). 천문과학관 프로그램과 과학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윤광아, 최상인, 정구송, 이호 (2009). 천문과학과 프로그램에 반영된 교육과정의 분석.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33(1), 142-151.
  11. 이용섭, 김윤경 (2016). 소집단 탐구기법을 활용한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 수업이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 학교육학회지, 9(1), 88-96.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88
  12. 이현배 (2012). 시민천문대 건립특성과 칠갑산천문대 운영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장형규 (2012). 천문과학관의 전시물과 과학교육과정의 연계성.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채동현, 임성만, 이효녕, 한제준, 이상균, 김은정 (2016).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15-26.
  15. 한국연구재단 (2007). 지방과학관 운영 자료집.
  16. 한국연구재단 (2008). 지방과학관 운영 자료집.
  17. 한국연구재단 (2010). 지방과학관 운영 자료집.
  18. 한국천문학회 (2015). 한국천문학회 50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