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tential as a Geological Field Course of the Northwest Coast, Goheung Gun

고흥군 북서 해안의 지질학습장으로서의 활용가능성

  • Received : 2016.06.27
  • Accepted : 2016.08.15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ological features distributed in the northwest coast, Goheung Gun as a geological field course of all levels. The study area is about 1.6km coast in direction of northwest from Sumundong ferry to Jangsun beach.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geology units in science textbook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was analyzed and, geomorphology and geology of study area was investigated for this study. In this study area, lots of geomorphology and geology elements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geology units in science textbooks were founded such as gravel beach, sea cliff, granite, rhyolite, andesite, gneiss, sedimentary rocks, fault, unconformity, stratification, cross bedding, graded bedding, intrusion structure, vein, dyke, plant fossil and spheroidal weathering. Characteristically, strata, stratification, granite, sedimentary rocks(conglomerate, sandstone, mudstone and shale), fault, plant fossil and weathering phenomenon were commonly involved with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geology uni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middle school science and high school earth science I, II. This area is to be recommended as a site of geological field course for all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as various field work materials for geological learning were distributed and, geological observation trail of about 400m in length for observation of strata and so on was installed along the coast in direction of the northwest from Sumundong ferry.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 북부에 위치한 대서면 남서 해안을 중심으로 지질 및 지형요소 그리고 환경 및 시설 등을 조사하여 야외 지질 학습장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연구지역인 약 1.6km 길이의 해안에서는 해식애, 자갈해안, 파식대와 같은 지형 그리고 암석으로는 화강암, 유문암, 안산암과 같은 화성암, 역암, 사암, 이암(셰일)의 퇴적암 그리고 편마암인 변성암 등이 분포하고 있다. 여러 종류의 암석 이외에 단층, 부정합, 암맥, 관입구조, 구상풍화 및 식물화석과 같은 지형 및 지질요소들은 초등학교과학, 중학교 과학 그리고 고등학교 지구과학I, II교과 지질단원의 학습내용과 밀접히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지형 및 지질요소는 야외지질 학습자료 또는 야외지질학습장소로서도 활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제안할 수 있다. 특히, 연구지역 남측인 수문동 나루터에서부터 해안을 따라 북서방향으로 약 400m 길이의 지질탐방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설은 조석 시각과 관계없이 지층에 접근하여 직접 관찰 활동을 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야외지질학습장소의 조건으로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야외지질학습장소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찰 지점별 안내판의 제작과 설치 그리고 학교 급별에 따른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4). 초등 과학(3-1, 3-2, 4-1), (주) 미래엔
  2. 권혁재(2004). 지형학(제4판), 법문사, 3-5.
  3. 김덕호, 홍승호(2012). 세계지질공원 제주도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초등과학 지역자료개발, 교원교육, 28(3), 135-158.
  4. 김해경(2015). 지역 지질을 활용한 초등학교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28-138.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2.128
  5. 김화성, 함호식, 이문원(2013). 화성암 지역의 야외 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74-285. https://doi.org/10.5467/JKESS.2013.34.3.274
  6. 안건상(2013).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금당산의 지질 학습장으로서 활용성,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35-248.
  7. 위수민, 곽정실, 조현준, 김현정(2008). 초등학교 과학과 교수-학습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4), 420-436.
  8. 이광춘(2014). 법률과 관련된 지질유산: 그 가치와 의미, 지질학회지, 50(1), 165-191.
  9. 이양락, 곽영순, 김동영(2006).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지, 함께하는 지구과학 교육, 5(1), 44-57.
  10. 전남대학교(1999). 전남도서 해안지역 지질환경 연구, 244.
  11. 조규성, 양우헌, 신순선, 오재명, 정덕호(2012). 변산반도 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3(7), 658-671. https://doi.org/10.5467/JKESS.2012.33.7.658
  12. 조석희(2000). 전남 고흥 북부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분지의 고환경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 대학교 대학원 지구환경과학과 : 160.
  13. 최변각, 이해신, 추병수, 문병권, 소영무, 이지은, 이정은, 조명아(2015). 고등학교 지구과학 I, 천재교육, 319.
  14. 최변각, 이해신, 추병수, 문병권, 소영무, 이정은, 조명아(2015).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천재교육, 351.
  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2002). 목포.여수도폭 지질보고서(1:250,000), 45.
  16. 한영욱, 심재윤(2005). 초등학교 암석원의 실태분석 및 암석단원 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 모색, 부산교육대학교 논문집, 7(1), 59-78.
  17. Daum(2016). http://map.daum.net/

Cited by

  1. Exploring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vol.39, pp.3, 2018, https://doi.org/10.5467/JKESS.2018.39.3.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