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U-T SG17(보안) 국제표준화 동향

  • 오흥룡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화본부) ;
  • 염흥열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발행 : 2016.08.31

초록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UN 산하에 신설된 국제기구로써, 산하에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전기통신개발부문(ITU-D), 그리고 전파통신 부문(ITU-R) 등 3개의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1],[2]. ITU-T는 역할과 임무에 따라 11개의 연구반 (SG, study group)을 구성하고 있으며, 각 업무에 맞는 선두 그룹(Lead Study Group)을 지정하여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이중 SG17(보안)은 전기통신 분야 정보보호 국제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다[2]. 본 논문에서는 ITU-T 내에 정보보호 국제표준화 활동에 대한 상위수준의 PP-14 결의(Resolution) 분석과 SG17 국제표준화 활동의 최신 동향 및 차기 연구회기(2017-2020) 구조조정 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키워드

참고문헌

  1. ITU-T 홈페이지, http://www.itu.int
  2. 오흥룡, 김영화, 염흥열, "ITU-T SG17 국제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 정보보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2013.06.
  3. 염흥열, 오흥룡, "정보보호 기술 및 국제표준화 동향(ITU-T SG17)", 정보보호학회지, 제24권 제4호, 2014.08.
  4. ITU Plenipotentiary Conference 2014 : PP-14, http://www.itu.int/plenipotentiary/2014/
  5. ITU PP-14, Final acts of the plenipotentiary conference (Busan, 2014), http://www.itu.int/pub/S-CONF-ACTF-2014
  6. WTSA-12, http://www.itu.int/en/ITU-T/wtsa12/Pages/default.aspx
  7. ITU-T SG17 TD2240/R4, "ITU-T Study Group 17 REPORTS TO THE WTSA-16 - PART I - GENERAL", 14-23 March 2016.
  8. ITU-T SG17 TD2250/R4, "ITU-T Study Group 17 REPORT TO THE WTSA-16 - PART II - QUESTIONS PROPOSED FOR STUDY DURING THE NEXT STUDY PERIOD (2017-2020)", 14-23 March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