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현대사회는 지식기반의 스마트 환경이 고도화됨에 따라 출산 둔화, 베이붐 시대의 은퇴, 평균수명의 연장 등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이러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학적 변화는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감소뿐만 아니라 노인부양에 대한 사회적 부담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선진국 어느 나라보다 빠른 고령화가 진행 중이며, 특히 경제적 자립능력이 취약한 독거노인가구가 2030년 234만 가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독거노인의 경우 전체노인계층에 비해 부양의 교환수준, 건강상태, 경제적 수준 이 매우 낮아 자신의 건강상태나 경제적 여건에 매우 비관적으로 평가하고 있다[1].
더군다나 조기 은퇴로 인한 소득상실 상태가 발생하고, 노인빈곤으로 이어짐에 따라 노인계층은 빈곤, 노령화, 질병, 외로움이라는 4중고를 겪고 있으며, 바람직한 노후생활을 위한 노후소득보장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2]. 특히 기대수명의 증가로 길어진 노후생활, 노년생할 안정을 위한 근로소득, 건강문제, 가족구성의 변화, 부양가치관의 변화 등에 대비하는 노후 준비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3].
Fig. 1.Present condition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통계청(2015)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4] 2014년 기준 65세 이상 고용률은 31.3%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고, 2015년 고령층(55∼79세)인구의 61.0%는 일자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5년 노년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5.6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해야하는 실정이며, 고령자가 취업을 원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져 노인고용에 대한 시장여건을 개선해야할 시기이다. 현재 중앙정부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노인일자리에 관해 유형별 사업을 진행하면서 다양한 일자리를 제시하고 있으나 사업집행 시 참여노인의 성향이나 특성, 욕구 등의 수요조사나 고려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만족도가 매우 낮다. 게다가 실제로 일자리를 제공받는 고령 수요자 입장에서 일자리의 유형, 기간, 보수 등의 기준만 제시되고 노인 개개인 상태에 적합한 일자리 구직은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현대사회는 고령화 현상의 심화와 어려운 구직문제로 인해 다양한 노인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높은 노인빈곤율과 연금제도의 미성숙, 노인 고용을 위한 시장여건이나 제도, 서비스 등이 매우 미흡하여 시급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자의 노후 생활은 대부분 가족에 의해 보호되어왔으나 핵가족화, 가족해체, 여성 취업률 증가와 같은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로 부양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노인 스스로 자립생활을 위한 고령 취업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고령자계층을 위한 서비스의 경우 생활밀착형 서비스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주어진 상황을 인지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5].
본 연구는 경제활동인구 감소에 따라 고령계층의 부양능력이 악화되어 노후 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의 경제활동 참여를 적극 지원하고자 공간정보를 활용한 위치기반의 고령자 일자리검색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기존의 고령자일자리 검색을 위해 제시되었던 검색 기준을 강화하고, 노인 개개인의 신체적, 인지적 상태를 고려하여 노인 스스로 출퇴근이 가능한 거리범위 안에서의 직장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시각화에 초점을 둔다. 특히 정보화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계층을 위해 쉽고 간편한 정보접근 체계를 마련하고, 직관적인 시각화 기법을 적용하여 고령계층의 경제활동 활성화를 지원하고자 한다.
2. 고령자 일자리
2.1 고령 경제 인력 및 일자리의 개념과 취업의 필요성
노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그 능력이나 적응성이 퇴화현상을 나타내어 사회기능수행에 장애를 초래하는 시기이다[6] 일반적인 노령계층 대부분은 신체적 노화현상과 사회기능수행에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심리적으로도 권태와 고독감으로 불안정한 시기이며, 특히 경제적으로도 고용 생산능력의 후퇴로 임금 중심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인이라는 용어를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지역과 환경에 따라, 또는 시기와 역사에 따라 연령의 개념이 변화할 뿐 만 아니라 개개인의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행동의 변화가 적용하는 복잡형태의 과정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국제노동기구(ILO)1)의 규정에 따라[7] 5세 이상을 고령근로자로 보고 있으나 최근 수명의 연장과 노인근로능력 향상으로 인해 65세 이상으로 보는 경향이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런 고령화 추세를 감안한다면 노동계층 범위 안에서의 연령구분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노인인력이란 연령의 구분으로 일정 연령 이후 직장을 퇴직했거나 퇴직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이 제공하는 노동력으로 정의 할 수 있다[8]. 아래의 Fig. 2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노인일자리 관련 서비스 사례이며, 대부분 직종, 지역, 보수, 근무시간 등의 항목선택으로 일자리 검색이 가능하다.
Fig. 2.Plans and information of the senior job positions.
국내의 경우 고령자의 노후 생활은 대부분 부양가족에 의해 보호되어왔으나 현대 사회진입과 동시에 핵가족화, 여성취업률의 증대, 가족해체 및 가족구조의 변화, 가족경제의 취약성, 노인부양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으로 가족 부양체계가 악화되고 있다[9]. 이처럼 가족부양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노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노후대책은 물론 고령자 취업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일자리 사업 및 서비스 체계가 확립되어야 할 시점이다. 그러므로 노인일자리의 개념은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노인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적극적인 사회활동 참여 확대를 통한 사회적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노인 개개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고령자 일자리에 대한 인식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한 “노인맞춤형 일자리”로 정의할 수 있다.
이처럼 오늘날 고령사회에 있어 고령자의 취업문제는 중요한 과제이며, 그들의 취업 활동은 노후생활을 대비한 소득보장, 심리적 고립감과 외로움을 덜어줄 일에 대한 재미, 점차 저하되는 신체 및 정신적 건강유지, 고령사회에 발생되는 다양한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여가시간 활용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된다.
2.2 고령자의 일자리 현황과 유형
고령사회로 이미 진입한 우리나라는 고령화 문제가 큰 국가적 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고령자 계층의 희망수명이 이미 80세를 넘어섰고, 의료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노령인구가 최대 75세까지 근로에 종사한다는 개념 정립이 필요하며, 현재 60∼75세 취업률 20%에서 50%로 상향조정하여 단순히 일자리 제공이 아닌 산업계의 구조조정도 필요한 상황이다[10].
2015년 통계청의 보도자료[11]에 따르면2014년 65세 고령자 고용율은 31.3%로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4년 60∼64세 인구의 고용률이 20대를 추월하고 있다. 65세 취업자는 지난 12년 사이에 2.2배가 증가하였고, 2015년에는 38.3%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2015년 고령층(55∼79세)이 향후 취업을 희망하는 비율이 61.0%로 근로 사유는「생활비에 보탬」이 가장 많았고,「일하는 즐거움 때문」으로 나타났다. 근로 희망자 일자리 선택기준은「일의 양과 시간대(27.7%)」가 가장 높았고,「임금수준(23.2%)」,「계속근로가능성(18.0%)」의 순으로 나타나 과거에 비해 일의 양과 시간대를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임금수준보다는 일의 내용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일자리 선택의 기준으로 가장 중요한 척도인 일의 양과 시간기준은 고령층 개개인의 신체 건강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계속 근로가능성 경우도 직장으로의 출퇴근 문제와 물리적 접근성과도 직결된 사항이라 판단되어진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현상 가운데 노인의 안정적인 경제력 미확보로 발생되는 사회문제를 대비하고자 정부·지자체는 물론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민가사업수행기관 등이 사업운영주체가 되어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노인적합형 일자리2)”를 제공하는 노인일자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12].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경제적 효과분석 연구결과에 따르면 참여노인의 소득 보충뿐 만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뿐 만 아니라 참여노인들의 생활패턴을 변화시켜 노인들이 적극적인 노년기를 영위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혔다[13]. 노인일자리사업의 유형은 사회공헌형, 시장진입형, 재능나눔활동 등으로 구분되며, 아래 Table 1과 같다.
Table 1.
위의 Table 1의 노인의 일자리 예시에서와 같이 노인일자리는 그 유형에 따라 분류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일자리를 찾는 노인의 개인 상태를 고려한 일자리 구분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정부나 지자체, 공공기관에서 소개하는 노인일자리의 경우 노인들의 능력과 기존 경험을 활용할 만한 직업은 극히 일부에 그치고 대부분 단순 노동직이라 점이다. 특히 노인 일자리의 문제점은 노인취업 시 보장받는 임금 수준이 열악하여 취업 의욕을 상실한 정도로 낮은 수준이며, 취업 고령자의 대부분이 농어업에 종사하거나 도·소매업, 음식 또는 숙박업 분야에 종사하고 있어 생산성이 극히 낮은 농촌에 잔류하거나 저소득층으로 전락하는 등 이를 해결할 방안이 시급한 사항이다.
2.3 고령자 일자리 검색 현황
정보통신 패러다임의 변화와 고령화로 인해 노인들의 원활한 정보 활용을 하지 못함에 따라 정보화의 벽이 높아가고, 세대 간 정보소통과 격차의 수준이 큰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14]. 특히 사회 전 분야가 ICT기술과 결합되어있어 노인의 정보화 수준과 정보 접근성은 곧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직결되며, 사회 속에서 하나의 시민계층으로써 소외감과 무력감이 줄어드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
국내의 경우 노인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스스로 일자리를 구하기는 쉽지 않다. 각 구청의 일자리사업팀이나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노인인력개발원(www.kordi.or.kr), 민간이 운영하는 실버잡(www.silverjobs.co.kr) 등 구직사이트가 있지만, 정보력이 떨어지고 인터넷 사용 등에도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에겐 일자리 검색을 위한 정보접근성이 매우 낮은 상황이다[15].
다만 최근 들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노인일자리 개발에 나서면서 이를 이용하는 노인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긴 하지만 대부분 검색 조건에 있어서 아주 단순한 항목만을 제시하고 있어서 실제로 노인이 취업에 연결되기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일자리를 구하는 노인은 일자리 상담 및 위업 알선, 취업 전 교육 및 훈련 등 노인의 능력이나 적성에 맞는 일자리지원사업을 전문적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아래 Table 2와 같은 전담기관을 두고 있다[16].
Table 2.Dedicated organization for senior employment
3. 공간정보를 활용한 검색 서비스
3.1 공간정보의 활용과 매쉬업 서비스
무선인터넷망이 보편화되고 공간정보와 관련된 위치기반의 서비스가 산업활성화를 촉진하고 있다. 무선뿐만 아니라 유선통신망과 GPS 음영지역인 실내, 빌딩숲 속의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 및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위치기반서비스(LBS)가 우리 생활에 보편화되고 있다[167]. 특히 최근 국가가 보유한 다양한 공간정보를 개방·공유·통합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OpenAPI 등을 이용한 매쉬업서비스(Mash-up)3)는 위치기반의 공간정보활용체계를 구성하여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오픈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18]. 매쉬업이 공간정보서비스의 핵심개념이 된 계기는 구글지도와 부동산정보를 조합시킨 하우징맵(Housing Maps.com)으로 최근에는 이러한 공간정보와 뉴스, 방송정보, 교통정도, 생활정도 등을 지도 기반에 API로 데이터를 지도 위에 실시간 오버레이(Overlay)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19]. 아래 Table 3은 위치기반의 매쉬업 기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의 사례이다.
Table 3.The location-based public services using mash-up
3.2 공공데이터와 장소검색을 위한 공간정보의 융합
공공데이터의 개방을 통한 정보의 공유는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원하는 조건에 따라 서비스 대상이 검색되고, 그 서비스가 어느 위치 또는 장소에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공간정보와의 융합을 통해 가능한 일이다.
일자리 검색의 경우 구인, 구직에 관한 조건에 따라 추천된 결과를 일정 구간이내의 반경거리 또는 이동거리와 이동시간에 따라 표출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방법에 따른 경로분석의 결과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두 지점 간의 직선거리만을 계산하는 단순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실질적인 경로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정보를 활용한 장소검색과 접근성 및 경로 분석은 일자리 검색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3.3 고령자의 정보 접근과 노인일자리 검색 서비스
정보화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정보소외계층은 정보를 잘 활용하는 사람들과 구별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삶의 모든 측면에서 상대적인 불이익을 당하게 되는데, 고령자 계층도 누가 얼마나 양질의 정보를 확보하는가 하는 문제는 개인생활의 윤택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20] 미래부의 ‘2015 정보접근성4) 싵태조사’[21]에 따르면 정보접근성 수준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웹과 앱에서 공통적으로 접근성을 준수하지 못하는 항목에서는 대체텍스트5)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지원, 교육,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령계층의 일자리 검색을 위한 정보접근에 있어서도 노인의 신체적, 인지적 문제점으로 인하여 모바일 SNS를 활용한 구직정보 획득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구직 정보공유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계층별 상태 조건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구직정보에 접근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검색조건 및 정보접근성을 강화한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제공되는 국내 노인일자리검색서비스의 경우 대부분 지자체나 정부기관의 웹사이트에 노인일자리정보 콘텐츠를 활용하거나 모바일을 이용한 앱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다음의 Table 4와 같다.
Table 4.Examples of senior job search service in Korea
국내 노인일자리검색 서비스의 문제점은 첫째, 일자리 정보에 대한 최종 업데이트, 즉 최신성에 대한 유지 문제이고, 둘째, 정부 및 시, 지자체를 포함하여 많은 기관이 데이터 개방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 셋째, 관련 정보의 파일 다운방식으로 정보접근이 여의치 않은 고령 구직자가 직접 검색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넷째, 실제 일자리 검색에 대한 내용보다는 일자리지원사업에 대한 현황이나 관련 행정통계정보가 대부분이다. 다섯째, 검색조건 항목에 있어서 근무지역, 희망직종이나 임금, 기간 등과 같은 일반 사항에 대한 선택 항목만 있을 뿐 고령자 개인의 상태를 고려한 실질적인 항목이 부재한 상황이다. 특히 자주 찾는 직종의 경우 경비원, 택배원, 환경미화원, 주차운전원, 간병인, 가사도우미 등과 같이 단순노무직이 대부분이며, 고학력 고령자를 위한 취업정보는 부재한 상황이다.
해외의 노인 일자리검색 서비스 사례를 살펴보면 국내 사례와는 달리 고령자 상태에 대한 항목을 제공하고 있는데, 현재 고령자가 살고 있는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의 직장의 위치를 지도 기반의 시각적 정보표현을 통하여 고령 검색자가 직관적으로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GPS 센서나 수신 기능을 통해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위치기반으로 가까운 일자리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고령 검색자가 원하는 요구와 일치하는 항목으로 위치, 키워드, 급여범위 등과 같은 맞춤형의 일자리 검색 항목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해외 사례의 경우 쉽게 앱이나 웹에 일자리의 위치와 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함으로써 고령 검색자가 정보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아래 Table 5와 같다.
Table 5.Examples of foreign search services ofr senior job positions
4. 위치기반의 고령자 일자리 검색 서비스
4.1 SSJS(Smart Senior Job Search)의 개념 및 정의
고령자일자리검색서비스(SSJS: Smart Senier Job Search, 이하 SSJS로 표기)는 고령자를 위한 위치기반의 일자리 검색서비스로 지역, 직종, 보수, 기간 외교육수준, 건강척도, 정보접근성 등등 검색조건을 강화하여 사용자 여건에 따라 일정 범위 안에 일자리를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특히 사용자 거주위치 중심으로 단위 범위의 섹터를 구분하여 사용자 이동 가용한 범위 안의 일자리를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일자리 위치를 매쉬업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것이 큰 특징이고 정보접근에 미숙한 고령계층에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정보를 출력해준다. 이는 고령계층의 신체적, 정신적, 생활여건의 상태조건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수용가능한 경제활동의 일터가 개개인의 상태조건에 적합한지의 정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 것이며, 이를 통해 고령 사용자에 대한 일자리정보에 대한 적합성과 접근성을 적극 지원해주고자 한다.
4.2 SSJS 서비스 특성과 차별화 전략
65세 이상 고령계층의 경우 기본적으로 신체건강이나 정신적 건강상태에 따라 이동가능 유무 및 이동 가능 범위, 이동수단의 이용 유무 등 선택한 직장까지의 접근 가능정도가 매우 다르다. 본 서비스는 지도 기반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직종, 급여, 근무시간은 물론 노령사용자 개개인의 신체 상태 척도에 따라 직장의 위치, 이동수단, 소요시간 등을 고려하여 일자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검색조건을 강화한 것이 핵심요소이다. 아래 Fig. 3은 SSJS 플랫폼의 기본 프레임이다.
Fig. 3.Basic composition of Smart Senior Job Search.
먼저 본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령 검색자가 거주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주소 또는 위치를 선택하고 직종과 맞춤형 조건을 입력하면 반경 5km 단위의 범위가 설정되며, 그 안에서 검색 가능한 일자리의 위치가 매쉬업된다. 직종의 경우 신체노동과 정신적 근로, 봉사활동으로 구분하여 세부사항을 선택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한 개인맞춤형 서비스 선택을 원할 경우 본인의 건강상태, 급여수준, 업무형태, 기간, 시간 등을 선택하여 일자리를 검색할 수 있다.
4.3 SSJS 핵심기능 및 프로토타입
본 서비스는 기존의 다른 일자리 정보제공을 위한 포털이나 앱서비스와는 달리 사용자 위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지도 위에 출력된다. 또한 고령검색자의 선택 조건에 해당하는 가장 근접한 일자리의 위치를 표시해줌으로써 고령 검색자의 일자리 정보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정보 인식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시각화에 중점을 두었다. 아래 Fig. 4는 고령자일자리 검색서비스 “SSJS”의 프로토타입 예시이다.
Fig. 4.Basic composition of Smart Senior Job Search.
5. 결 론
일반적으로 고령자의 구직 서비스의 경우 현재 거주 장소에서 직장까지의 이동거리 및 수단, 작업 활동 가능유무, 작업 활동에 대한 집중도, 지속적 작업을 위한 육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상태, 조직(기업)의 생산성, 고령자 개개인 삶의 질과 만족도 기여정도 등 개개인의 상태정보가 매우 중요한 검색항목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노인의 경우 직장까지의 이동 가능유무, 대중교통수단의 활용, 이동시간 등이 고령자 취업에 매우 중요한 선행조건이 되며, 신체적 건강정도에 따라 거주지에서 직장까지의 이동과 관련 된 조건 항목들이 세심하게 고려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조건을 고령자에 개개인의 상태에 맞춤형의 검색조건을 강화하였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또한 고령자가 현재 거주 위치를 중심으로 단위거리별 직장의 위치를 쉽게 파악함으로 서 보다 현실적인 구인, 구직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기존에 제공되는 구직서비스와는 달리 고령자 개개인의 요구를 검색의 선택조건으로 제공하고 매쉬업으로 위치기반의 지도에 디스플레이함으로서 고령자에 대한 정보접근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고령자일자리검색서비스(SSJS)는 일자리 검색의 기능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SNS상 기업의 평판, 고령자 구직경험담 또는 직장에서의 처우 환경, 고령자문화 속성 등을 고려하여 백세 시대의 경제적 활동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또한 공공정보의 지속적 활용을 통하여 고령자 고용의 지속적 유지율을 향상하고, 동종간 급여수준과 이에 따른 비교, 만족도 등에 대한 분석과정을 병행하여 보다 나은 고령자 경제활동여건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References
- Unprotected Loneliness Dea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7609745&code=11131100, (accessed July, 2, 2016).
- B.Y. Song, I.S. Yang, S.M. Gil, S.H. Cha, and J.P. An, Increase Effectiveness Measures of Elderly Jobs Projects, Policy Focus,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 2012.
- Seoul Information Disclosure Policy, The Main Changes to the Statistics of the Seoul Health and Welfare, e-Seoul Statistics 78-2014-01 1-31, 2014.
- 2015 Elderl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2015.
- M.Y. Kim, "Developing the Core Modules of for Viz-Platform for Supporting Public Service in the City",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8, No. 9, pp. 1131-1139, 2015 https://doi.org/10.9717/kmms.2015.18.9.1131
- The National Council of Sport for All, http://movsvr.sportal.or.kr/noin/html/mainlink_01_b.html, (accessed July, 2, 2016).
-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ILO), http://www.ilo.org/global/lang—en/index.htm, (accessed July, 2, 2016).
- B.W. Park, A Study on the Current Utility of Elderly's Manpower and a Plan of Activating Elderly Employment, Master's Thesis of Yeungnam University 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2008.
- Y.K. Kim, Y.B. Lee, S.E. Choi, G.H. Kim, and S.E. Lim, The Diversificstion of Family Structure and the Role of Families and Governments in Family Support, Research Paper 2015-1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Elderly Jobs Comprehensive Proposal for Happy to Work of Aged, 2013.
- M.J. Yoon, H.B. Whang, and Y.R. Kim, 2015 Elderl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Press Release, Korea, 2015.
-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http://kordi.or.kr, (accessed July, 2, 2016).
- 2014 Health and Welfare White Pape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 J.H. Lee, "Development of Information Education Contents through Improve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 Knowledge Infoemation Technology, Vol.6 No.5, pp. 20, 2011.
- J.Y. Choi and S.H. Lee, Why the Elderly Jobs are not Only a Security Guard?, OhmyNews, Seoul, Korea, 2013. 9. 13
- Find Easy Life Legal Information, Elderly Welfare, To Work and to Make Money, http://oneclick.law.go.kr/CSP/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673&ccfNo=3&cciNo=1&cnpClsNo=1, (accessed July, 2, 2016).
- S.H. Lee, K.W. Min, J.C. Kim, J.W. Kim, and J.H. Park, "Location-based Services(LBS) Technology Trend," TTA Journal, Vol. 20, No. 3, pp. 79-91, 2005
-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ttp://www.spacen.or.kr/main.d, (accessed July, 2, 2016).
- M.Y. Kim, W.H. Yeo, and J.W. Choi, "A Semantic Web-based Urban Space Information Service Model Integrating Mash-up Function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 9, pp.3-11, 2009.
- S.I. Lee, Stat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essibility and the Design of Universal Approach, KADO Issue Report, 2005.
- 2015 Survey on the Access to Informatio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5.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5.
Cited by
- Research on Mathematical Model of Smart Service for the Elderly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Based on Image Processing vol.2021, pp.None, 2016, https://doi.org/10.1155/2021/1023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