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문제해결 측면에서의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Social Intuitionist Model of Haid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최경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 강문봉 (경인교육대학교)
  • Choi, Kyounga (Graduate School,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ang, Moonbong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6.07.10
  • 심사 : 2016.08.16
  • 발행 : 2016.08.31

초록

수학문제해결에서 직관은 문제해결의 실마리,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중요한 인지로 논리와 함께 그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왔다. Fischbein은 직관을 기원에 따라 일차적 직관과 이차적 직관으로 분류하고, 직관에 있어서 개인의 경험과 학교 교육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직관이 사회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직관의 사회적 성격을 표면적으로 드러낸 도덕 심리학자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수학문제해결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수학문제해결과 직관 교육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학문제해결에서도 직관의 사회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변형하여 직관이 작용하는 수학문제해결과정을 모델화할 수 있었다. 셋째, 수학문제해결에서 직관이 중요하고, 직관에 관한 의미 있는 경험이 교육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직관의 강건함과 전체성 등으로 인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직관을 확인하는 교육, 즉 메타인지를 강조한 직관 교육이 요구된다.

Intuition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been stressed the importance with the logic because intuition is the cognition that give significant clue or idea to problem solving. Fischbein classified intuition by the origin; primary intuition and secondary intuition And he said the role of the personal experience and school education. Through these precedent research, we can understand the social influence. This study attempt to investigate social intuition model of Haidt, moral psychologist that has surfaced social property of intuition in term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he major suggestions in problem solving and the education of intuition are followed. First, I can find the social property of intuition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eco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odel by transforming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Third, the role of teacher is important to give the meaningful experience for intuition to their students. Fourth, for reducing the errors caused by the coerciveness and globality of intuition, we need the education of checking their own intuition. In other words, we need intuition education emphasized on metacogn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정 (2014), 가추법과 강제 선택-무의식의 논리에 대한 경험적 정당화. 기호학 연구, 제41집, 9-40.
  2. 강윤수, 김민주 (2013).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특성.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6권 제1호, 241-263.
  3. 강인구 (2003). 도덕적 판단의 인과적 과정으로 도덕적 직관에 관한 교육적 논의. 교육심리학연구, 제17권 제3호, 53-75.
  4. 김선희 (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대학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5(1), 61-75.
  5. 김선희, 김부미, 이종희 (2014). 수학교육과 정의적 영역. 서울: 경문사.
  6. 나카하라 타마오 (2007). 구성주의에 입각한 초등수학 학습.지도. 임문규 역 (2014), 서울:경문사.
  7. 류성림, 박신정 (2003). 인터넷을 활용한 패턴학습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5(4), 459-476.
  8. 류희찬, 류성림 (1997). 수학교육에서의 직관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7(2), 103-116.
  9. 문승한, 김수용 (2015). 정서유형에 따른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교사교육연구, 54(2), 333-343.
  10. 박미애 (2006). 직관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시각화 자료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1. 박병기, 김민재 (2012). '사회적 직관주의'가 지니는 도덕적 함의, 한국윤리학회 윤리연구 84호, 127-158.
  12. 우정호 (2010).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3. 원소연 (2009). 소그룹 협동학습이 중학생의 수학불안 감소 및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상담평가연구. Vol. 2, No. 2, 31-46.
  14. 왕문옥, 서정철, 임인경 (2005). 민속수학과 목제주령구의 확률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제18권 제4호, 67-84.
  15. 양해성 (2015). 헤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6. 유연진, 박만구 (2009). 초등수학 문제해결 활동에서 나타나는 아동 간 스캐폴딩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1) 75-95.
  17. 이대현 (1999).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직관과 논리의 역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8(2), 159-164.
  18. 이대현 (2001).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고등학생의 직관적 사고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19. 이대현, 최승현 (2011). 문제해결을 통한 수학적 경험. 서울: 경문사.
  20. 이대현 (2015). 직관적 수준에서 초등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8권 제3호, 241-258.
  21. 이민애, 강완 (2012). 수학적 문제해결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표상의 변환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427-450.
  22. 이종희, 김기연, 김수진 (2011).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국가의 수학-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및 측정 동일성 검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제13권 제2호, 307-321.
  23. 이지영 (2007). 아동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 사례분석 - Schoenfeld의 문제해결 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4. 송상헌 (2004), 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추론 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논총 17, 17-34.
  25. 전평국 (1991). 정의적 특성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 제30권 제3호, 25-38.
  26. 정동권, 김수미, 김지원 (2010). 수학 문제해결지도의 이해. 서울: 학지사.
  27. 정창우 (2011).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적 함의 -헤이트(J. Haidt)의 뇌과학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초등도덕교육 제37집, 95-130.
  28. 조규판 (2009),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조직에 따른 초.중등학생들의 수학 불안 및 수학자아개념, 수학태도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2), 399-424.
  29. 조유미, 송상헌 (2013). 교사의 신념에 따른 수학영재교실의 사회수학적 규범 비교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3(3). 373-388.
  30. 조차미 (2008). Fischbein의 직관에 기초한 독립성에 관한 확률지도.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제10권 제3호, 319-337.
  31. 조광희 (2002). 경험이나 직관을 강조한 발문학습이 수학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5권 제1호, 123-134.
  32. 최인숙 (2011). 문제해결과정에서 수학적 추론이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33. 홍인숙 (2003). 민족수학 탐구학습 활동이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34. Arthur. J. 외 (1998).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권성룡 외. 2006. 서울; 경문사.
  35. Fischbein. E. (1999). Intuitions and Schemata in Mathematical Reaso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8: 11-50. https://doi.org/10.1023/A:1003488222875
  36. Fischbein. E. (1987) . 수학 과학 학습과 직관. 우정호 외 역 (2010). 서울: 경문사
  37. Haidt, J. (2001). The Emotional Dog and Its Rational Tail: A Social Intuitionist Approach to Moral Judgment. Psychological Review. vol. 108. No. 4, 814-834. https://doi.org/10.1037/0033-295X.108.4.814
  38. Haidt, J. (2001).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 강인구 역 (2003). 경기도: 서현사.
  39. Haidt, J. (2012).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Are Divided by Politics and Religion. Pantheon books.
  40. Hersh. R. (1997). 도대체 수학이란 무엇인가?. 허민역 (2003). 서울: 경문사.
  41. Kline. M. (1985). 지식의 추구와 수학. 김경화, 이혜숙 역(1998),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2. Lithner. J. (2008). A research framework for creative and imitative reasoning. Education Studies in Mathematics, 67, 255-276. https://doi.org/10.1007/s10649-007-9104-2
  43. NCTM (1995).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외 역 (2012). 서울: 경문사.
  44. NCTM (2009). 고등학교 수학에서 추론하기와 이해하기. 김성경 역 (2014). 서울: 경문사.
  45. Poincare, H. (1914). Science and Method. Maitland. F 역 (2013). Dover Publication, Inc.
  46. Poincare, H. (1970). 과학의 가치. 이정훈 역 (2015), 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
  47. Polya, G. (1981). 수학적 발견 I, II. 우정호 외 역 (2005). 서울: 교우사.
  48. Polya, G. (1971).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2010). 서울: 교우사.
  49. Reys, R, E. 외 (2009).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2012). 박성선 외 역. 서울: 경문사.
  50.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thinking. Academic Press, Inc.
  51. Suppes. P. (1965). The Axiomatic Method in Highschool Mathematics. Stanford University, Technical report No. 95.
  52. Tirosh. D, Stavy. R (1999) Intuitive Rules: A Way to Explain and predict student's reaso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8, 51-66. https://doi.org/10.1023/A:1003436313032
  53.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Harcourt. Brace and company.
  54. YBM si-sa 사전편찬실 (2004). 시사 엘리트 영한.한영 사전. 서울: YBM si-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