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Korea's R&D Activities on Expansion of Contingent Job

우리나라의 연구개발활동이 비정규직 확산에 미치는 영향

  • 노정휘 (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 Received : 2016.06.07
  • Accepted : 2016.06.27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paper explains the one of the most problematic factor in the society that leads to social inequality - increase in non-regular work. Theoretically, this expansion of non-regular work can be explained by technologies that are designed to save the labor force, especially since corporations in Korea have strategies to replace the regular workers with temporary workers, to save money. OECD also noted that Korea's income inequality is pretty high in ranking when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OECD members, and says that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the factors of this problem. To refine the argument, this study also looks at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made in sciences - which can be stated as a proxy variable to look at the advances made in technology - and expansion of temporary work force by using VAR method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 the future temporary/regular workers ratio started with decline, then turn to rise. These temporary/regular workers ratio sustained growth prediction shows that the expansion of the temporary expansion contributes to instability and social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and technological change are interrelated.

본 연구는 기업들이 효율성 제고 전략의 일환으로 정규직을 임금이 낮은 비정규직 노동력으로 대체하는 현상과 연구개발 활동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정규직을 비정규직 노동력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서 비정규직의 확대로도 제품 경쟁력의 유지를 가능하게 만드는, 연구개발의 방향성에 주목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실증하기 위해, VAR 방법론에 의한 추정결과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 지출 증가세가 GDP 증가는 물론, 정규직의 대리변수인 상용직 변화와 비정규직의 대리변수인 임시직 및 임시일용직의 비율의 변화에 모두 Granger Causality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충격반응 함수 추정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개발비에 외부적 충격이 가해지고 6~7분기 후에는 상용직 증가세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시직 고용은 120분기 뒤에는 다시 상승세로 전환되는 등의 반응 양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임시직/상용직 비율의 변화를 전망한 결과, 일정 기간의 감소세를 보이다 상승세로 반전하여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직/상용직 비율의 증가세가 지속된다는 예측 결과는 연구개발비 지출의 확대에 따른 기술 변화가 노동시장의 불안정성과 연관성이 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기업의 비용절감 위주의 경쟁전략이 수정되어야 하며, 보다 적극적인 연구개발 인력 양성 계획의 수립 및 실천, 축적된 숙련에 기반하는 산업의 육성책 도입 등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규호 (2005), 기술혁신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 강규호 (2006), 기술혁신과 고용창출,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3. 고용노동부 (2011), 비정규직 종합대책.
  4. 고용노동부 (2014), '12년도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보도자료
  5. 금재호 (2005), 일자리 문제의 실태와 원인, 국가경영전략연구원.
  6. 김배근 (2012), 기술혁신은 고용 없는 성장을 야기하는가?, 경제학연구, 제60집 제3호, pp. 5-54
  7. 문권순 (1997), 벡터자기회귀(VAR) 모형의 이해, 통계분석연구, 제2권 제1호, 통계청. pp. 23-56.
  8. 박추환.한진미 (2008), 출산, 고용, 성장 간 상호연관성연구: 구조적 VAR 모형을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제8권 제1호, 한국노동연구원. pp. 1-26.
  9. 심정민(2015), 과학기술인력의 임금격차에 대한 실증적 연구-정규직.비정규직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 윤종인 (2005), 인플레이션.명목이자율에 대한 단위근 검정, 금융학회지, 제10권 제2호, pp. 143-164.
  11. 이종원.이상돈 (2005), RATS를 이용한 계량경제분석, 제3판, 박영사.
  12. 전병유 외 (2005), 한국의 노동수요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pp. 49-82
  13. 전병유 (2007), 한국 노동시장의 양극화에 관한 연구 : 중간일자리 및 중간임금계층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의 분석, 제13권 2호, pp. 171-244
  14. 전병유 (2009), 비정규직 문제의 쟁점과 대안, KNSI 코리아연구원 현안진단, 제146호, pp. 1-7
  15. 조하현.황선웅 (2007), 기술변화에 대한 고용반응의 이질성 : 거시시계열 분석, 응용경제, 제9권 제3호, pp. 151-188.
  16. 하태정 (2005), 기술혁신과 구조적 실업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7. 하태정.문선웅 (2010), 기술혁신이 구조적 실업에 미치는 영향 : 패널연구, 노동정책연구, 제10권 1호, pp. 2-8.
  18. 헤럴드경제(2015.9.15), 정부출연 과학연구기관 51%가 비정규직
  19. Autor, D. H, Levy, F and Murdane, R. (2003), "The Skill Content of Recent Technological Change: An Empirical Exploration",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8, No. 4, pp. 1279-1333.
  20. Gali, J. (1996), "Technology, Employment and the Business Cycle: Do Technology Shocks Explain Aggregate Fluctuation?", NBER Working Paper, No. 5721
  21. Gali, J. (1999), "Technology, Employment and the Business Cycle: Do Technology Shocks Explain Aggregate Fluctuation?",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98, No. 1, pp. 249-271
  22. OECD. (2012), Inequality in Labour Income: What rate it's Drivers and How can it be reduced?, pp. 1-4.
  23. Sargent, T. J. & Sims, C. A. (1977), "Business Cycle Modelling Without Pretending to Have Too Much A Priori Economic Theory", Working Paper, No. 55.
  24. Sims, C. A. (1980), "Macroeconomics and Reality", Econometrica, Vol. 48, No. 1, pp. 1-48. https://doi.org/10.2307/1912017
  25. Wasmer, E. (1999), "Competition for Jobs in a Growing Economy and the Emergence of Dualism", The Economic Journal, No. 109, pp. 349-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