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소비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주관적 연령 차이와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 및 의복추구혜택

A Study on the Gap between Subjective Age and Real Age,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lothing Benefits Pursui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Middle-Aged Consumers

  • 김나미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
  • 정성지 (동덕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김태은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
  • 안시현 (디지털 서울문화예술대학교) ;
  • 이민지 (동덕여자대학교) ;
  • 장미순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최소라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 Kim, Na-Mi (Graduate School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
  • Chung, Sung Ji (Dept. of Fashion Design, Dongduk Women's University) ;
  • Kim, Tae-Eun (Graduate School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
  • Ahn, Si-Hyun (Dept. Digital Seoul Culture Art University) ;
  • Lee, Min-Ji (Graduate School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
  • Chang, Mi-Soon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Choi, So-Ra (Graduate School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6.02.28
  • 심사 : 2016.05.26
  • 발행 : 2016.06.30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lothing benefit pursuit the gap between subjective age and real ag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of middle-aged consumers. For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and distributed to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forties or fifties on september 1~10, 2014. A total of 470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Tukey's test, using the SPSS 18.0 Package Program.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age of middle-aged consumer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Female consumers in their fifties perceived their subjective age to be younger than male consumers in forties and fif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ppearance satisfaction of male consumers in their fifties having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than female consumers in their for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factors of clothing pursuit benefits including pursuit of fashion, pursuit of youth, pursuit of rationale, pursuit of leisure, and pursuit of loyalty,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ith female consumers placing more importance on clothing-related benefit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Local fashion businesses to consumers who target middle-aged consumers, this study can provide a basic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미, 박은주. (2009). 주관적 연령이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 지각, 만족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실버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3(3), 355-365. https://doi.org/10.5850/JKSCT.2009.33.3.355
  2. 강혜원. (2009). 의상사회심리학. 파주: 교문사.
  3. 고려대학교부설행동과학연구소. (1999). 심리척도핸드북1. 서울: 학지사.
  4. 고애란, 남미우, 조윤정. (2002). 주부의 가치관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의복추구혜택과 구매 관련 행동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0(5), 119-132.
  5. 김문호. (2013, 8, 31). 급성장 안티에이징 시장. 주식시장도 관심, 파이낸셜뉴스, 7, http://www.fnnews.com/news/201308310341201723에서 검색.
  6. 김상민. (2008). 회상 집단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순안, 김승용. (2011).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중년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2, 109-129.
  8. 김양진, 강혜원. (1992). 의복 및 신체 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6(2), 197-209.
  9. 김용숙. (1990). 전북지역 중년기 여성들의 신체만족도와 유행지향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28(4), 177-189.
  10. 김원경. (1990). 성인.노인기의 주관적 연령지각에 따른 심리적 적응 양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은지. (2013. 8. 20). 꽃보다 중년, 베이비부머를 잡아라!,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82013440689001에서 검색.
  12. 김정실. (2007). 뉴실버 여성 소비자의 지각 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연구: 라이프스타일과 쇼핑성향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구, 서미아, 이유경, 이선희. (1996). 노년기 여성의 생활만족도 및 외모만족도에 다른 의복만족도와 의복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연구: 서울시내 거주 노년기 여성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4(1), 57-74.
  14. 남미우, 김광경. (2003). 여자 대학생의 쇼핑성향에 따른 의복추구혜택, 정보원활용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9), 55-67.
  15. 류은정, 임숙자. (1998). 소비자 가치체계와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 749-756.
  16. 박광희. (2012). 인지연령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1), 48-55 https://doi.org/10.5805/KSCI.2012.14.1.048
  17. 박솔리. (2013, 6, 23). '다운에이징' 패션이 뜬다!, 한국일보, http://news.nav 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8&aid=0002399586에서 검색.
  18. 박영욱. (2003).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관적 연령지각 및 여가활동 형태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박은주, 강혜원, 조길수. (1985). 직장남성의 의복행동과 지각향상 및 직업만족도와의 상관연구. 한국의류학회지, 9(3), 183-190.
  20. 손원숙. (1994). 주관적 연령지각과 자아개념 및 생활 만족도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송진영. (2014, 6, 11). 옷으로 나이 깎아볼까...패션도 다운에이징 바람, 국제신문, 18,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200&key=20140612.22018192511에서 검색.
  22. 안미선. (2013). 시니어 모델 교육프로그램 경험자와 비 경험자의 특성비교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윤유경. (1996). 주관적 연령의 예측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윤유경. (2000). 주관적 연령지각과 관련요인에 관한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19(1), 61-78.
  25. 이고은. (2009). 30-4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금실. (1992). 사회계층변인에 따른 여성의 의복태도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미숙, 서서영. (2011). 남자 대학생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니트웨어 선호이미지와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3(4), 51-67.
  28. 이미아. (2010).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의 소비가치 및 의복추구혜택의 비교연구: 20-30대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4(5), 808-818. https://doi.org/10.5850/JKSCT.2010.34.5.808
  29. 이미향, 유화숙. (2011). 샹그릴라 신드롬에 따른 외모 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2), 194-204. https://doi.org/10.5805/KSCI.2011.13.2.194
  30. 이영윤, 강혜원. (1982). 중년기 여성들의 신체적 만족도와 의복행동과의 상관연구. 한국의류학회지, 6(2), 17-24.
  31. 이윤선. (2009). 노인 소비자 연구에서 인지연령의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은아, 김미숙. (2000). 주관적 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8), 1254-1265.
  33. 이은아. (2000). 주관적 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혜경. (1997). 배우자가 없는 여성 노인의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가족관계, 사회활동 참여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전경란, 이명희. (2003). 신체만족도와 심리적 특성이 외모향상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6), 643-653.
  36. 정성지. (2012). 중년 남녀 소비자의 의복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6(1), 1-13.
  37. 정성지. (2013). 중년 여성 소비자의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가 의복만족도와 의복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1), 84-94. https://doi.org/10.5805/SFTI.2013.15.1.084
  38. 정찬진, 박재옥. (1996). 노년층 소비자의 인지연령에 따른 쇼핑성향과 의류점포 속성 중요도. 한국의류학회지, 20(1). 28-42.
  39. 정희용, 임숙자. (1988). 노년기 여성의 자아지각과 의복관심과의 상관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2(3), 333-342
  40. 최일경, 고애란. (1995a) 혜택세분화와 인식도에 의한 진의류 브랜드 이미지 연구(I): 진의류에 대한 추구혜택을 기준으로 한 소비자 세분화. 한국의류학회지, 19(4), 651-662.
  41. 최일경, 고애란. (1995b) 혜택세분화와 인식도에 의한 진의류 브랜드 이미지 연구(II): 인식도에 의한 브랜드 이미지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19(5), 699-712.
  42. 최정원. (2010). 신중년층 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연령에 따른 추구의복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최지홍. (2014, 1, 29). '꽃보다 누나', 2014년 4050 여성타깃 화장품 유망, 한국일보(http://beauty.hankooki.com),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8&aid=0002462373에서 검색.
  44. 하종경, 김주희. (2009). 20대 남녀소비자의 의복추구혜택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8(4), 879-889. https://doi.org/10.5934/KJHE.2009.18.4.879
  45. 홍경희. (2008). 여성 노년층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인지된 연령에 따른 의복쇼핑행동: 서울지역 거주 60-70대 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홍금희. (2010). 중년 여성의 TV미디어관여도가 차이연령과 젊음추구 의복행동 및 유행선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3), 310-317. https://doi.org/10.5805/KSCI.2010.12.3.310
  47. 홍희숙, 고애란. (1996). 상황과 소비자 특성의 추구 혜택과 선호 브랜드 유형에 대한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0(5), 738-752.
  48.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Y. The Free Press.
  49. Barak. (1987). Cognitive age: A new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measuring age identity.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25, 109-128. https://doi.org/10.2190/RR3M-VQT0-B9LL-GQDM
  50. Barak & Shiffman, L. G. (1981). Cognitive age, A variabl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8, 602-606.
  51. Baumeister, R. F. & Tice, D. M. (1985). Self-esteem and responses to success and failure; Subsequent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53, 450-467. https://doi.org/10.1111/j.1467-6494.1985.tb00376.x
  52. Baumeister, R. F. (1994). Self-esteem.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 4, 83-97.
  53.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 of self-esteem. SanFrancisco: W. H. Freeman.
  54. Kastenbaum, R., Durbin, V., Sabatini, P., Artt, S. (1972). The age of me: Toward personal definions of functional aging. Aging and Human Development, 3(2), 197-211. https://doi.org/10.2190/TUJR-WTXK-866Q-8QU7
  55. Montepare, J. M., & Lachman, M. E. (1989). 'You're only as old as feel': self-perception of age, fears of aging, and life satisfaction from adolescence to old age. Psychology and Aging, 4(1), 73-78. https://doi.org/10.1037/0882-7974.4.1.73
  56. Peter, J. 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Markerting strategy perspectives. Homewood, IL: Irwin.
  57. Peters, G. R. (1971). Self-conceptions of aged, ageidentification and aging. The Gerontologist, 11, 69-73. https://doi.org/10.1093/geront/11.4_Part_2.69
  58. Ward, R. A. (1977). The impact of subject age and stigma in older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32, 227-232. https://doi.org/10.1093/geronj/32.2.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