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WOT Analysis by Market Size Forecasting and a Business Analysis of Korean Ship Management Companies

우리나라 선박관리기업의 시장규모추정과 경영분석에 의한 SWOT분석

  • Received : 2016.05.19
  • Accepted : 2016.06.29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the ship-management market size and to propose a management improvement scheme to support Korean ship management companies in the stagnating world shipping market. Recently, global shipping companies have begun outsourcing all ship management activities. However, the Korean ship-management market represents just 3.75% of ocean shipping companies' sales, making it necessary to enlarge this market. This study performs a business analysis of ship management companies in Korea. The findings show that these companies' profitability and financial structures are not very good, mainly because of insufficient management ability and small firm sizes. Therefore, we propose that the Korean government supports crew training programs and shipping financial systems.

본 논문은 우리나라 최초로 선박관리산업의 시장규모를 추정하고 경영실태분석을 수행하여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경영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글로벌 해운선사들은 해운원가절감과 서비스의 제고를 위한 전문선박관리업체에 선박 선원관리 일체를 아웃소싱하는 추세이지만 우리나라 선박관리산업의 시장규모는 외항선사 매출규모의 3.75%에 지나지 않고 있어 시장규모 확대가 필요하다. 경영실태분석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선박관리업체는 경영능력, 국제비지니스역량 및 마케팅 역량이 미흡하여 수익성이 매우 미흡한 편이다. 또한 규모의 영세성과 재무구조가 취약하여 전문적인 선박관리를 위해서는 국제화 및 대형화가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는 선원의 노령화와 승선기피를 방지하기 위한 선원양성 및 지원정책과 더불어 금융지원과 세제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범(2012), "선박관리산업 육성방안, 선박관리산업 발전방안 및 부산시 대응전략세미나자료".
  2. 김재관(2011), "선박관리업의 물류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종태(2008), "효율적 선원관리제도 구축을 위한 선박관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박준원(2008), "한국선박관리업의 발전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송성규(2007), "IPA를 이용한 우리나라 선박관리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안기명.양창호.나영.박수만(2009), 해운항만물류회계, 박영사, 316-432.
  7. 우수한(2012), "선박관리산업발전법 제정에 따른 부산시 대응전략", 선박관리산업 발전방안 및 부산시 대응전략세미나.
  8. 윤여상(2012), "우리나라 선박관리업의 국제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인애(2006), "외항해운기업 선박관리회사 설립 붐", 해양한국, 399호, 44-47.
  10. 이창호(2010), "선박관리기업 경쟁력 결정요인과 파트너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창호.류동근.신용존(2010), "선박관리기업 경쟁력 결정요인과 파트너십싱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7집 제4호, 25-52.
  12. 이홍식.왕윤종(2004). "한중일 FTA 체결에 따른 무역구조의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제경제연구, 제10집 제3호, 33-61.
  13. 전영우(2012), "선박관리산업 글로벌화", 선박관리산업 발전방안 및 부산시 대응전략세미나.
  14. 전형진(2015), "해운시황 포커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71-273.
  15. 조영수(1984), "한국선원관리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한경화(2007), "해운기업 프로세스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한국선박관리협회, http://www.kosma2020.or.kr/
  18. Asuquo, M., Ian, C. & Zaili, Y.(2014), "Modeling selection of third party ship management services," Case Studies on Transport Policy, Vol.2, 28-35. https://doi.org/10.1016/j.cstp.2013.11.002
  19. BIMCO(2011), What is third party ship management, https://www.bimco.org/ (첨부참조)
  20. Ismail, B. C. & Cerit, A. G.(2014), "Turkish shipowener' perceptions of third party ship management companies," A market research study, 111-136.
  21. Ole, J. & S. Gailus(2014), "Model for a specific decision support system for crew requirement planning in ship management,"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47, pp.275-283.
  22. Porter, M.(1985), Competitive advantage: creating and sustaining superior performance, N.Y.: The Free Press.
  23. Prahalad, C. K. & Gary, H,(199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May-June.
  24. Sletmo, G.(1989), "The transformation of shipping and the role of ship management, Research for Tomorrow's Transport Requires," World Conference on Transport, Vol.1, p.6.
  25. Willingale, M.(1998), Ship management, Business of Shipping Series. Clarksons, https://sin.clarksons.net/
  26. DREWY, http://www.drewry.co.uk/
  27. IMO, http://www.im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