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xperience of Cultural Facility Use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문화시설 이용 경험

  • 조혜영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 유재경 (안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04.13
  • Accepted : 2016.08.05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use of cultural facilities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by finding out their past experience of cultural facility u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3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a total of four research participants.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draw reliabl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o uses of cultural facilities,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got information about cultural facilities through the Internet community such as Internet cafes and blogs. Their considerations for using cultural facilities were diversity of activity programs and subdivision of performances and arts activities. Over 50% of mothers responded that cultural facilities were needed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their children. Second, concerning difficulties of cultural facility use, the most difficulty was high costs, and the second most difficulty was absence of cultural facilities nearby their residence. Third, as to the needs of cultural facility use, a children's library was needed the most for children's development. They responded that the most necessary policy for cultural facility use was to increase cultural vouchers for low-income households and to expand recipients of these vouchers.

Keywords

References

  1. 구은자 (2011, 5). 유년기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참여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서울.
  2. 권정숙, 유재경, 조헤영 (2015). 유치원의 문화시설 이용 실태와 어려움: 안산시 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4(4), 363-394.
  3. 권정윤, 조혜영 (2013).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특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회지, 17(4), 275-296.
  4. 권현정, 박화옥 (2008).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8(3), 535-553.
  5. 김미현, 김재범 (2015). 남한 예술 활동 참여가 북한이탈주민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예술경영연구, 34, 65-90.
  6. 김성남, 양옥경 (2015).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의 자녀양육과 교육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2(1), 5-38.
  7. 김환남, 이선애 (2013).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의 발달 및 어린이집 부적응행동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29-252.
  8. 김혜림, 신지선, 조영주, 이은용, 장애리, 한미선 등 (2014). 문화용어 번역 실태조사 및 번역 방안 연구. 서울: 국립국어원.
  9. 김희성 (2012).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문화적 역량에 기반한 사회복지실천방안 연구.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9, 23-38.
  10. 남북하나재단 (2014). 2014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서울: 남북하나재단.
  11. 남북하나재단 (2016). 북한이탈주민 통계자료. https://www.koreahana.or.kr/eGovHanaStat.do에서 2016년 8월 8일 인출
  12. 류승희, 김수정, 이정욱 (2015, 11). 미술관 기획전과 체험전의 전시 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유아와 부모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년 임시총회 및 추계정기학술대회 발표 논문, 서울.
  13. 문화체육관광부 (2012). 문화향유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4. 문화체육관광부 (2014). 2014 문화향유실태조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15.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2). 2012 북한이탈주민실태조사. 서울: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16.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3). 2013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 실태조사. 서울: 북한이탈주민지원 재단.
  17. 서울특별시 (2006). 2020년 서울도시기본계획: 전략보고서. http://urban.seoul.go.kr/4DUPIS/download/sub3_1_old/1_seoul_basic.pdf에서 2015년 12월 21일 인출
  18. 안지영 (2014). 콜롬보 슬럼지역의 유치원교육과 빈곤가정 유아의 삶. 교육인류학연구, 17(2), 111-160.
  19. 유재경, 권정숙, 조혜영 (2015).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자본이 문화참여에 미치는 영향: 문화예술 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4(3), 255-278.
  20. 이미재 (2015). 통일 독일의 문화에술 정책이 통일 한국에 주는 시사점. 한독사회과학논충, 25(1), 3-26.
  21. 이윤진, 이정림, 김경미 (2012). 북한이탈주민 영유아 자녀 양육지원 강화 방안. 서울: 육아정책 연구소.
  22. 이윤진, 이정원, 구자연 (2013). 영유아 문화인프라 이용실태와 지원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3. 이형선, 정영희 (2004). 유아교육기관의 조형활동을 위한 박물관 활용실태조사. 교육과학연구, 35(2), 337-356.
  24. 전영선, 조은희, 김태항 (2013). 맞춤형 교재개발 연구용역(북한이탈주민). 서울: 통일교육원.
  25. 정철현, 황소하 (2007, 6). 문화예술향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연예술 수용단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발표논문, 충남.
  26. 제18대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13). 제18대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안.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3441에서 2016년 1월 8일 인출.
  27. 조혜영, 권정윤 (2013).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경험에 대한 탐구. 열린유아교육 연구, 18(2), 67-96.
  28. 조혜영, 권정윤, 박희영 (2014).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자녀성취압력 및 교육신념과 교육열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4(2), 147-163.
  29. 조혜영, 김미경, 이문옥 (2013).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영어교육 실태와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201-228.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201
  30. 조혜영, 노현주 (2015).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과 유아의 자아 탄력성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59-78.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59
  31. 조혜영, 배지희 (2014). 북한이탈주민 가정의 심리적 양육환경과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91-114.
  32. 최민수, 이형선 (2004).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 및 미술활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77-105.
  33. 최성일 (2012).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현황과 과제. 경기: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34. 최성일 (2013). 2012년 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경기: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35. 하지현 (2012). 북한이탈주민의 정서적 소통 방법의 이해. 통일인문학, 53, 303-329.
  3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3 유아 문화예술교육 실태 조사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7. 허준영 (2012).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정책 방안 모색: 서독의 갈등관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 통일정책연구, 21(1), 271-300.
  38. 홍주은 (2003). 북한이탈부모의 자녀양육 변화와 문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Chao, R. K. (2000). Cultural explanations for the role of parenting in the school success of Asian-American children, In R. D. Taylor, & M. C. Wang (Eds.), Resilience across contexts: Family, work, culture, and community (pp.333-363).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40. Finnegan, E., & June, E. (2001). Looking at art with toddlers. Art Education, 54(3), 40-45.
  41. Junker, D. A., & Stockman, I. J. (2002). Expressive vocabulary of German-English bilingual toddler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1(4), 381-395. https://doi.org/10.1044/1058-0360(2002/042)
  42. Owen, E., & Shibi, S. (1998). Audiences for contemporary dance: Key issues arising from major study in Scheffield. Journal of the Market Research Society, 40(3), 273-276.
  43. Puma, M., Bell, S., Cook, R., & Heid, C. (2010). Head start impact study: Final report. Retrieved January 29, 2016, from https://www.acf.hhs.gov/sites/default/files/opre/hs_impact_study_final.pdf
  44. Szekely, I. (2014). Creating meaningful art museum experiences for young children: Discussions with future art teachers. Art Education, 67(4), 34-39.
  45.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46. Mistry, R. S., Biesanz, J. C., Chien, N., Howes, C., & Benner, A. (2008).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investments, and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s of low-income children from immigrant and native household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3(2), 193-212. https://doi.org/10.1016/j.ecresq.2008.01.002
  47. Waanders, C., Mendez. J., & Downer, J. (2007). Parent characteristics, economic stress and neighborhood context as predictors of parent involvement in preschool children's educatio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5(6), 619-636. https://doi.org/10.1016/j.jsp.2007.07.003
  48. Weaver, H. N. (2005). Explorations in cultural competence: Journeys to the four directions. Belmont, CA: Thomson.